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덕근 Nov 03. 2020

순간의 감정으로 커리어를 포기하지 말자

며칠전 지인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갑자기 일을 그만둬야하나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아직 배우는 단계지만 착실히 잘해나가고 있는거 같은데 갑자기 그런말을 하여 좀 의아하게 생각했었는데 알고보니 직장 내 사람과 트러블이 있었던 것. 상대방이 자기를 바보만든것에 대해 분노하고 그게 잘 식혀지지 않아 크게 싸움이 번지면서 생긴 회의감이었다.


나역시 비슷한 경험이 있다. 회사를 다니면서 어떤걸 기획하고 있었는데 그게 무시당하면서 지나간 사건을 다시금 꺼내 신경을 긁는 상황. 그래서 이 일을 계속해야 하나 하며 멘붕이 왔었다. 당장이라도 사표쓰고 떠날 수 있을것 같았다.


생각은 불길과 같다. 처음에는 회사와 내가 안맞는가보다 생각했다. 그러다 이 일이 정말 나와 맞는지를 고민하면서 부터 문제가 시작됐다. 내가 이 일을 하기 때문에 겪는 경험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더러운 꼴을 더 많이 볼텐데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겠다고 이러고 살아야하는가 하며 불만이 가득할 때 였다.


하지만 특정 장소에서 겪은 불합리한 사건은 일시적인 현상이다. 그리고 사건은 잘 따져보면 나의 커리어와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황에 대한 스트레스지 나의 커리어에 대한 문제는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은 어떤 현상을 확대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사건하나가 여러갈래로 퍼져 마침내 나의 근간을 뒤흔들때가 있다. 훈련이 잘되어있는 사람은 이런것을 넘기는데 능숙하다. 타인이 말하는 비난과 부정적인 말이 순간을 의미하지 나의 인생을 통틀어 말하는게 아니라는 것을 알며, 설령 그렇게 말했다 하더라도 그들이 나의 인생에 눈꼽만큼도 관여할 수 없다는 것을 안다. 때문에 그런이야기를 들어도 커리어, 자신의 길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는다. 상황에 대한 고민만 한다.


그러나 자신의 근간이 흔들린 사람은 극단적으로 커리어를 리셋시켜버린다. 그것을 해내기 위해 노력한 몇개월~몇년간의 세월을 한순간에 내동댕이 쳐버리는 것이다. 이런 성향은 전문성이 낮다고 스스로가 폄하하는 것이거나 혹은 자격요건의 커트라인이 낮아 누구든 진입할 수 있는 것일수록 그렇게 생각하기 쉽다. 실상은 그게 아닌데 말이다.


지인에게 내가 해줄 수 있는 말은 하나였다. 그사람이 했던 말, 그 상황이 주는 스트레스는 당신의 경험과 커리어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으며 그들의 세치 혀 때문에 지금껏 열심히 살아온 스스로의 경험을 무산시키지 말라고. 그런 상황은 지금까지 해온 학습량과 고생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지 않느냐 라고 말하니 고개를 끄덕였다.


자신의 커리어를 상황과 일치시켜서 버리는 실수를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스스로의 인생을 존중할 줄 모른다면 타인의 말에 쉽게 흔들리게 된다. 뿌리깊지 않은 나무가 비바람에 빨리 쓰러지는 것처럼 말이다. 그 뿌리는 나의 노력을 먹고 자라며 내가 지금껏 쌓아올린 커리어의 근간이요 스스로에게 갖는 믿음이며 신념의 결과물이다. 상황은 잠시 지나가는 비바람일 뿐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글:

https://brunch.co.kr/@lemontia/256

https://brunch.co.kr/@lemontia/253


매거진의 이전글 돈 받는다고 프로는 아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