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덕근 Mar 29. 2021

우연에 기대지 말자

유튜버에 성공하는 사람들을 보면 우연한 계기로 크게 성공하는 성공신화를 이야기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그러나 성공신화는 신화일 뿐이고 대다수의 사람에겐 통하지 않는다는 점이 함정이다. 100 명중 1명이 성공했다 하면 내가 그 1명이 될 확률은 1/100이다. 이것도 좋게 쳐줘서 그런 것이지 1000명 10000명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예전에 앱 서비스를 알아봤을 때 한 해에 출시되는 앱이 10만 개 인데 반해 성공하는 앱은 100개가 채 되지 않는다는(1% 미만) 말에 놀랐던 기억이 난다.


우연, 행운은 분명 있다. 그러나 그것이 왜 내 것이 아닌가 라고 생각하면 괴로움만 남는다. 소유하지 않은 것을 소유하려 할 때 고통이 따르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고통이라는 게 막연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여지가 아무것도 없다는 점이다.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고통을 없앨 수 있지만 막연한 문제점,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갈망으로부터의 문제점은 해결방법이 없다. 오히려 그것을 따라 하겠다고 이것저것 투자하다가 손해보는 경우가 더 많은 게 사실이다. 때문에 행운에 기대는 인생을 사는 것은 일찍 그만둘수록 좋다.


주사위 3이 나오면 1000만 원을 준다고 할 때, 주사위 한 번 던져서 3이 나오는 것은 우연이다. 그러나 주사위를 던지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더 이상 우연이 아닌 필연으로 바뀐다. 필연의 영역은 얼마나 많이 하느냐가 중요하며 때문에 과정에서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선택, 발전시킬 수 있다. 시도하면서 피드백을 받기 때문이다.


우연에 기대게 되면 한 번의 실패에도 감정이 크게 동요된다. 기회 횟수가 적기 때문에 한 번에 잘되려는 욕심이 반드시 들어가기 때문이다. 우연, 성공신화에 기대하지 않을 수 있다면 시도하는 것에 거부감이나 두려움이 많이 사라지고 더 많은 시도를 해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쌓이는 노하우는 축적되고 필연의 결과를 만든다.


때문에 필연을 만들겠다는 생각이 중요하며 더 많이, 자주 실행할 수 있도록 환경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선 딱 2가지만 수행하면 된다. 작은 것부터 시작하고 안정적으로 될 때까지 계속 노력하는 것이다.


행운이라는 불확실한 것에 나를 내던지지 말자. 그것보다 내가 믿을 수 있는 것, 내가 확신할 수 있는 것을 더 발전시키는 게 훨씬 값지고 뒤탈이 없다.




함께 보면 좋은 글:

https://brunch.co.kr/@lemontia/412

https://brunch.co.kr/@lemontia/291


매거진의 이전글 무엇이든 정리하는 버릇을들이는 게좋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