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덕근 Apr 14. 2021

일이 많을수록 빠지기 쉬운 함정

요즘 프로젝트를 한 번에 여러 개 하면서 깨닫는 것 중 하나가, 생각을 깊게 한다는 것, 그리고 나를 변화시킨다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은 점이다. 각 프로젝트마다 저마다의 문제점이 있는데, 1개의 문제점이 머릿속에서 해결되면 즉각 다음 문제점으로 넘어간다. 어찌 보면 당연한 말이지만 이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든 건 바로 생각이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 그래서 내가 어떻게 변해야하는지 검토를 하지 않는다는 점, 그래서 일의 본질과 효율성을 개선하지 않는 스스로를 봤기 때문이다.


일이라는 것은 복잡한 것과 단순한 것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그리고 복잡한 일일수록 기준점을 잘 세워두는 것이 중요하다. 명확한 기준은 의사결정을 할 때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되고 일을 번복하게 하는 것을 막는다. 그런데 생각을 깊게 하지 않게 되면 이런 요소를 구태여 찾아내질 않는다. 현장에서 상황판단을 빠르게 판단하여 처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때론 시간을 갖고 전체를 보고 방향성과 지금 상황을 진단하는, 전체를 보는 시간도 반드시 필요하며 이 두 가지를 잘 조합하는 것이 중요한다. 그러나 일이 많다 보니 생각의 흐름대로, 이전에 하던 방식대로 하는 나를 발견했다.


일을 처리하는 방법은 곧 나를 드러내는 것 중 하나다. 사람은 저마다의 스타일이 있으며 일을 해결하는 데 있어 자기스타일을 해결점에 투영한다. 그래서 어떤 일을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보면 누가 했는지 갸늠되기도 한다. 그런데 상황에 치여, 일에 치여 문제에 따라가는데만 급급하다 보니 내가 가진 장점이나 단점, 상황에 따른 적합성을 고려해 끼어 맞춰 해결하는 게 아니라 예전에 가진 일처리 습관대로만 하고 있었다. 당연히 효율이 나오지 않으니 더욱 집착하게 되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나오지도 않았다. 발전 없이 습관적으로 일을 쳐내는 것이었다.


이전의 경험을 통해 갖고있는 일처리 방식과 습관은 지금의 상황에 적합하지 않다. 상황이 바뀌었는데 이전의 것을 그대로 따르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사실상 반드시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상황에는 거기에 맞는 전략과 전술이 필요하며, 상황에 따라 나를 바꿔야 한다. 그러나 정신없는 상황은 나를 바꾸는 노력보다 나를 갈아 넣는 방식을 선택하는 게 더 쉽다. 상황에 떠밀려 그것밖에 방법이 없다고 맹신하게 된다.


지금 내게 필요한 것은 바뀐 상황에 따른 적응과 새로운 업무처리능력의 혁신이지 이전의 것을 더 많은 시간을 들여하는 것이 아니다. 시간을 때려 넣어 효과를 내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 시작한 것들은 아니었다. 한정된 시간을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가를 고민하는 것, 그러기 위해 밀려오는 일에 생각의 흐름을 맡길게 아니라 나를 어떤 상황에 우겨넣어 바꿀 것인지를 생각해야 한다. 생각하고 살지 않으면 사는대로 생각한다는 말처럼 일도 마찬가지다.




함께 보면 좋은 글:

https://brunch.co.kr/@lemontia/390

https://brunch.co.kr/@lemontia/270


매거진의 이전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2가지 키워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