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덕근 Aug 18. 2021

인생에 변화를 주려면 이것을 고려해야 한다

변화가 필요하다면 자기부터 변해야 한다. 이 당연한 논리를 알고는 있지만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어렵다. 많은 변수들이 존재하고, 나는 가만히 있는데 주변때문에 무너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딱히 남 핑계를 대려는건 아니지만 주변으로부터 오는 자극을 뿌리치는건 쉽지 않다. 예를들어 다이어트를 마음 먹었는데 옆에서 고기냄새가 폴폴 풍길때, 운동가기 싫은데 같이가기로 한 친구가 마침 오늘 쉰다고 하거나 등 그렇다.


스스로 다짐을 하면 되는거 아냐? 라고 생각이 들수도 있지만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게 가능했다면 다이어트, 건강, 독서 등 내게 좋은 취미를 갖는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변하기 위해서는 나 자신부터 변해야 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그게 가장빠르고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반응하는 것은 나 자신이다. 자극에 취약하다는 것을 안다면 자극을 줄이는게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활동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그런 자극에 덜 영향 받도록 환경설정 해두는 것이다. 이런 환경설정 역시 내가 변하겠다고 마음먹고 필요한것과 불필요한 것을 하나씩 분류하고 제거한다는 점에서 나로부터 시작한다 볼 수 있다. 이전에 어떤 활동으로 인해 시간을 잡아먹고 있다면 그것을 포기할 줄 알아야 빈 시간이 생기고 원하는 것에 노력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또한 시작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것일수록 시작하는데 많은 것을 고려해야 한다. 나로부터 시작하게 된다면 다짐을 하고 실천하는데 일사천리로 진행되며 결과에 따른 피드백도 빠른 편이다. 때문에 복잡하게 하려고 하거나 '혹시 실패하면 어쩌지?'와 같은 마음에 같이 할 사람이나 모임을 찾는 것보다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를 고민하는게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다.


우선순위는 혁신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빨리 나타나는 순서로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부에서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어 빠르게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가 최우선이고, 내부에서 통제할 수 있지만 시간이 걸리는 분야가 다음이며, 마지막으로는 내부에서 통제할 수 없고 외부의 호응과 협력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 <초격차, 리더의 질문>


취미를 추천할때 가볍게 해보라고 추천하듯, 내 삶을 변화시키는 시작점도 작게 시작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행동만큼은 과감하고 집중해야 한다. 자그마한 힘, 분산된 힘은 무언가를 움직이는데 부족하다. 과감한 결단력을 내리는데는 단순한 것이 힘을 모으고 내기 좋다. 나부터 변화한다는 것은 힘의 초점을 맞춘다는 뜻이다. 인생에 커다라 변화를 주려면 나라는 지랫대부터 움직여야 한다.




함께 보면 좋은 글:

https://brunch.co.kr/@lemontia/530

https://brunch.co.kr/@lemontia/441


매거진의 이전글 선택지에 매몰되지 말아야 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