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라일러플 Jan 26. 2018

민체를 생각하며

민시(民詩)가 있어야 하겠다고 생각하는 까닭이다


민체를 생각하며

황현민



민체를 생각하면 민요가 떠올랐다. 그리곤 민시를 상상했다. 민시는 왜 없지? 민시를 검색하면, 국민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주의와 방침이라는 해설이 나온다. 나쁘진 않다. 아무튼 民詩는 역사상 존재하지 않았다. (민체와 민중체의 차이는 또 뭘까? 민요와 민중가요, 그리고 대중가요의 차이는 또 뭘까?) 아무튼 민시는 없지만 민중시는 있지 않은가? 현재로선 민시는 민중시가 가장 유력하다. (혹 사설시조를 민시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나는 민중시에 가깝다고 본다. 지은이가 평민이라지만 글씨를 알고 시를 지을 줄 아는 사람은 일부 지식인이었을 테니까) (혹자는 민요가 민시 아니냐고 할 수도 있겠으나 민요라는 낱말은 있었지만 민시라는 낱말은 없었다) 그러고 보면 시라는 장르는 꽤 고상한 분야다. 민시가 없는 것을 보면 더 그러하다. 노래는 누구나 다 부를 수 있고 글씨도 누구나 다 쓸 수 있다. 그러면서 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이 있고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이 있는 것일 뿐이다. 시는 왜 누구나 쓰지 않는 것일까? 과연 아무나 쓰지 못해서 일까? 옛날에야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 많았으니까 그렇다고 치더라도 오늘날은 누구나 다 글자를 읽고 글씨를 쓸 수 있지 않은가? 어려서부터 누구나 동시 하나쯤은 짓지 않았던가? 왜 시를 어렵게 생각하고 고상하게 만들었던가? 고로, 민시가 필요하다. 민시의 존재 가치가 오히려 높을 수 있겠다. 누구나 민시를 지으며 살 수 있는 세상이어야 하겠다. 이런 의미에서 민시는 민중시와도 다르다. 다르지만 민중시가 그나마 있어서 민시에 가까워서 (민시라고도 우길 수 있어서) 다행이다. 민중시는 낯설기보다는 일상적이다. 시어도 쉬운 일상어들로 시를 짓는다는 점이 민시라고 할 수 있지만, 민중시도 소수의 사람들(문인들)이 지었다. 일반 국민들 남녀노소 누구나가 짓는 시가 아니기 때문에 민시라고 단정지을 순 없겠다. 앞으로 민시(民詩)가 많이 생겨났으면 좋겠다. 시의 작품성을 떠나서 누구나 자유롭게 시를 짓고 시낭송을 할수 있는 민시가 여기저기 생겨났으면 참 좋겠다.


민체와 민중체를 따져보자. 민체가 민중체를 포함한다. 민중체는 최근에 생겨났으며, 민중체는 쇠귀 신영복체를 주로 의미한다. 일명 어깨동무체라고 부른다. 민중체의 존재는 실제 글씨를 보면 누구나 손뼉을 치며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민체는 민중의 모습을 닮았다. 오늘날 민중은 서민들이며, 광범위하게는 국민들이다. 글씨를 보면 산과 들, 강과 나무, 새와 달, 사람과 집 등을 보다 강하게 느낄 수 있다. 특히, 신영복체는 글씨체 자체가 매우 낮고 낮아서 욕심없고 순박하고 부끄럼 많이 타는 서민들을 많이 닮았다. 아무튼 민중체와 민체는 매우 가깝다. 또한 민체는 누구나 쓸 수 있으며 한글 창제 이래 예나 지금이나 꾸준히 명백을 이어가고 있으며, 과거보다 현재 더 많은 빛을 발하고 있다. 한글로 쓴 민체는 정말 아름답다. 이미 글씨에서는 진선미가 판가름 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민체가 궁체보다 훨 다양하고 훨 자연스럽고 훨 아름답고 훨 건강하고 훨 창조적이고 훨 세계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팩트다.


이에, 민시(民詩)가 있어야 하겠다고 생각하는 까닭이다.





*



컴퓨터 대신 직접 손글씨로(민체로) 누구나 자유자재로 시 한 편을 지으면서 살아가는 세상을 꿈꿔 봅니다. 더불어 민요의 부활도 곁들여 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한해를 보내면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