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트밀 포리지]
어릴 적 여름 방학 맞아 강원도 할머니 댁에 가면, 툇마루 위 늘 이 상이 펼쳐져 있던 게 생각이 난다. 상 위로 끊임없이 먹을 게 올라왔다. 배춧잎 한 장 누워 있는 메밀전 (식은 게 더 맛났다)이나 삶은 감자와 옥수수, 올챙이국수 등. 그중 올챙이국수는 아무리 먹어도 질리지 않고, 또 그 미끄덩 거리는 식감이 재밌어 몇 그릇이나 받아먹고는 했다. 실컷 먹고서 배가 부르면 툇마루에서 뒹굴거렸다. 졸음이 올 듯 말 듯 눈이 가물거리면 다른 계절에서 불어오는 거 같은 시원한 바람이 나를 깨웠다. 집 앞은 온통 옥수수 밭으로 줄기가 내 키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니 내게는 옥수수 밭이 아니라 옥수수 숲이나 다름없었다. 비좁은 길 따라 걸으면 족제비인지 두더지인지 정체 모를 생명체가 사사삭, 발치를 스치기도 하고, 옥수수 잎사귀들이 살갗에 닿는 느낌도 껄끄러워서 나는 늘 서둘러 그 밭을 지나치고는 했다. 길 끝에는 커다란 무덤이 한 기 있었다. 동생과 나는 거기서 쉴 새 없이 메뚜기를 잡으며 놀았다. 메뚜기 녀석은 꼭 나를 놀리듯, 무덤 위에서 폴짝거렸다. 할머니가 절대로 무덤에 올라가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기 때문에, 무덤 위 메뚜기는 그저 그림의 떡이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한 번씩 나는 주변에 누가 있는지 살핀 후, 무덤을 차마 밟지는 못 하고, 무릎으로 살살 기어 올라가 손을 오목하게 만든 후 메뚜기를 턱, 하고 잡고는 했다. 그러면 죽은 사람의 뒤통수를 턱, 하고 친 것만 같아서 죄책감을 느꼈도 후다닥, 내려오기 바빴다. 잡은 메뚜기를 통에다 모아집으로 가져가면 할머니는 그것을 마른 팬에다 소금 간, 살짝 해 볶아서 그 상 위에다 올려주었다. 징그럽다고 안 먹는 동생과 달리 나는 잘도 씹어 먹었다. 그게 의외로 참 맛이 있었다. 저물 무렵, 쌀쌀해지면 우리는 또 뒷산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놓인 작은 아궁이 앞으로 가 놀았다. 언니인 내가 늘 불을 피웠고, 동생은 덜 여문 밤을 주워다 불 안에 던졌다. 나뭇가지나 잎사귀 등을 불쏘시개로 쓰는 거는 영화에서나 가능한 일인 것인지 도통 불이 붙지 않았다. 뭐니 뭐니 해도 책이 잘 탔다. 출가한 삼촌 방으로 가 낡아 보이는 책 아무거나 꺼내와 한 장 한 장 찢어 넣으면 화르르, 불꽃이 시원하게 일었다. 많이도 태워먹은 거 같은데 기억나는 거는 헤르만 헤세의 시집뿐이다. 나는 그것을 북, 찢어 넣기 전 대강 훑어보았다. 그러면 죄책감이 덜했기 때문이었다. 할머니는 내가 책을 불에 넣어도 혼내지 않았다. 어차피 책들은 쓸모 없어진 지 오래되었으니까. 아궁이 안 불은 커지지도 작아지지도 않고서 은은하게 주변을 밝혔다. 다만, 밤은 수시로 살피지 않으면 금세 까맣게 타버려 도무지 먹을 게 못 되었다. 우리는 불장난이 지겨워질 때면, 어른을 불러 불을 껐다. 그런 후 남은 밤들은 몽땅 할머니에게 가지고 갔다. 그러면 할머니는 먹을만한 것만을 골라내 작은 냄비에 삶았다. 곧 뜨끈하게 익은 밤이 또 그 상 위에 올랐다. 아직 맛이 덜 든 밤이라 단맛이 없었다. 그러나 불장난을 하면 그렇게 허기가 졌고, 우리는 계속 밤을 앙, 깨물어 먹었다.
고작 1년에 두 어번 정도 만나는 할머니였지만, 할머니 하면 단박에 어떤 냄새가 떠오르는데 사실 도시에서 살 적에는 잘 몰랐다. 그 냄새가 말린 콩이나 잡곡, 마른풀 등에서 나는 것과 비슷하다는 걸. 먹은 것들의 냄새가 몸 밖으로 흘러나올 정도로 늙은 이의 몸은 점점 투명해지는 걸까. 자연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증거 같은 것일지. 그렇게 생각하자니 어딘가 섬뜩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할머니의 체취라는 건 참 묘하게 좋은 것이었다. 할머니 냄새가 나는 이불 같은 게 있다면 사고 싶을 정도로. 돌돌 말고서 그 안에 있으면 영원한 우주에 와락, 안겨 있는 기분이 들 것만 같다.
할머니는 별 다른 병 없이 건강하게 살다가 지지난 해에 돌아가셨다. 일평생 가까운 먹거리로 단순히 조리해적게 먹던 습관 때문일 거다. 할머니의 상차림은 늘 소박했지만, 상이 작아 그랬던 것일까? 늘 모자람 없이 푸짐해 보였다. 그렇게 그 작은 상과 할머니, 그리고 그녀의 음식에 대한 기억은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강원도의 흰 빛과 깨끗한 공기, 신선한 바람과 함께 어우러져서 마음에 한 줄기 물처럼 맑게 흐르고 있다.
그래서였을 것이다. 마땅히 쓸데도 없는데, 재래시장 구경 갔다가 그저 반가운 마음에 그 상을 발견하고는 덜컥, 사버린 이유가. 몇 년째, 그 상은 창고 안 신세를 면하지 못하다 최근 들어 그 쓸모를 발견하게 되었다. 캠핑장에 가지고 가니 그렇게 요긴하지 않을 수 없었다. 버너를 척 올리기 좋고, 땅이 젖어 있을 때 짐 올려두기도 좋았다. 무엇보다도 아침에, 간밤에 설거지한 그릇이 잔뜩 쌓여 있은 테이블, 한쪽에 밀어두고서 이 상에다 아침 식사를 차리니 편했다. 오트밀 한 스푼 넣은 누룽지에다 뜨거운 물 부어 만든 죽과 바나나, 그리고 커피. 역시, 소박한 아침 식사인데도 초라해 보이지 않았다. 이걸로 충분하다는 느낌. 갑자기 빗방울이 떨어져 식사를 차려 놓은 상을 들어 올려 텐트 안으로 옮기려는데, 사람의 한 끼 식사라는 게 이렇게 제 손으로 가벼이 들 수 있는 정도의 무게여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무게가 곧 내 몸이 소화해야 하는 음식의 무게와 아주 다르지 않을 테니까. 토독토독, 빗소리 들으며 식사를 하니, 할머니 댁에서 보낸 여름이 그리워졌다. 그 집에 늘 펼쳐져 있던 상 또한, 내 앞에 있으니 더욱 더. 문득, 나 또한 할머니처럼 바르게 먹으며 살아가야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오트밀포리지 간단 레시피
그릇에 오트밀과 누룽지, 소금 한 꼬집 넣고 뜨거운 물을 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