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명환 Aug 09. 2021

스타트업은 관련 언제 사업자등록을 하는 게 유리할까?

STEP 1

스타트업 생존경영 로드맵의 ① 예비창업


#스타트업 #창업 을 준비하면서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사업자등록 을 언제 하는 게 좋은 것일까? 라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에 합격한 뒤에 하는 것이 사업자등록을 하기에 가장 좋은 타이밍이다.


즉, 6~12월 사이에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면 #사업아이템 구상, #비즈니스모델#팀빌딩 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본격적인 시제품제작과 사업화는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에 합격한 후 진행하면 된다.


예비창업자 또는 3년 이내 초기창업자가 신청할 수 있는 대표적인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이 공고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청년창업사관학교 (창업성공패키지)


- 공고시기 : 매년 1~2월

- 지원대상 : 창업 후 3년 이하 만 39세 이하 청년창업자

- 합격난이도 : 중


2. 예비창업패키지 --> 추천


- 공고시기 : 매년 2~3월

- 지원대상 : 사업 공고일 기준 사업자가 없는 예비창업자(청년, 중장년)

- 합격난이도 : 하


3. 초기창업패키지


- 공고시기 : 매년 4~5월

- 지원대상 : 창업 후 3년 이하 스타트업, 나이 제한 없음

- 합격난이도 : 상


과거의 창업환경은 말 그대로 내 돈을 가지고 시작하거나 대출, 또는 주변 지인에게 빌려서 시작을 했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창업 환경이나 정부 정책에 눈을 기울인다면 예비창업자부터 창업 7년 이상의 도약 단계에 이르는 단계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에 반드시 합격해야 하는 현실적인 조언을 주자면 다음과 같다.


1. 자부담이 없다. (타 지원사업의 경우 최소 10% 이상의 자부담의 조건이 있다.)

2.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을 졸업 후에 청년창업사관학교 or 초기창업패키지에 다시 도전할 수 있다.

3. 비교적 경쟁률이 낮은 편이고, 창업자가 창업아이템과 관련된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면 사업계획서만 잘 써도 합격확률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정부지원사업의 경우 사업계획서 외에도 매출, 고용, 지식재산권, 인증 등을 추가로 검토한다.

4. 평균 5,0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대출이 아니다. 정부지원금이다.)

5. 지자체 창업지원사업과 중복 지원된다.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 합격 후 지자체의 창업지원사업에 추가로 도전해서 자금을 추가로 확보하자)

6.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을 통해 1차적으로 창업자의 사업아이템을 검증받을 수 있다.


만약 지금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라면 사업아이템, BM 모델, 팀빌딩에 집중하고 2022년 예비창업패키지에 합격 후 사업자등록을 하도록 하자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 중 고민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


https://brunch.co.kr/@maru7091/13


매거진의 이전글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 좋은 멘토 고르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