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두만 Dec 12. 2022

달리기를 말하는 순간

인간을 규정하는 행위




    다리가 땅을 박차고 나아갈 때, 눈앞의 풍경이 내달린 보폭만큼 다가온다. 두 걸음에 숨을 빨아들이고 또 두 걸음에 내뱉기를 반복한다. 점점 호흡이 가빠오고 근육들이 피로해짐을 느낀다. 발바닥이 뻐근하고 허벅지가 무거워진다. 한계에 치닫는 몸 상태를 느낄 때, 나는 아무 생각이 없다. 나는 그저 달린다. 정신없이 달리다 보면 어느새 제법 멀리까지 왔음을 깨닫는다.


  문명사회가 들어서기 이전의 사람은 오래 달리기로 사냥을 했다. 인간이 낼 수 있는 최고속도는 네발 동물의 그것보다 떨어지지만 지구력만큼은 남다르기에, 인간은 우월한 연비를 바탕으로 사냥감이 지칠 때까지 쫓아가는 방식을 선택했다. 즉 달리기는 생존에 필수적인 행위이자 가장 인간다운 행위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인간은 몇 백만 년 동안 달리며 살아왔다. 말이 가축화된 시기가 기원전 5000년 전후라는데, 그렇다면 인간은 원시적인 생활에서 벗어난 후에도 꾸준히 뛰어왔다는 말이 된다. 즉 진화의 기간에 비추어 볼 때, 이토록 비활동적이게 되고 좁은 행동반경을 가지게 된 것은 찰나의 순간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이다. 문제는 여기서 시작된다. 우리는 가장 인간다운 외적 행위를 하지 않고 있다.


  우리가 대상을 규정할 때는 그 대상이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혹은 꾸준히 하는 것 등을 말미암아 대상을 파악한다. 그런 의미에서 달리기는 가장 인간다운 행위 중 하나이다. 인간은 살아남기 위해서 달리기를 해왔고, 그렇기 때문에 오래 달리기를 잘하게 되었고, 끼니는 계속해서 돌아오니까 또 달릴 수밖에 없었다. 달리기를 해야 하는 이유가 우리 몸에 정립되어 있다. 쭉 그렇게 해왔기 때문이다.


  현대인에게 발생하는 문제는 현대사회에 접어들면서 이전에 해왔던 것들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달리기가 있다. 지금껏 진화해 온 방식에 가장 근접한 행위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현대인의 고질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면, 정신건강에 문제를 느낀다면, 지금 당장 달리기를 추천한다.

  

작가의 이전글 사람의 이목을 끄는 사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