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히천 Jan 03. 2023

신년 계획 지키는 방법 3가지

작년과 다른 내가 되기 위해


  이틀 전 다이어리를 사러 잠깐 영풍문고에 들렀는데, 평소와는 달리 사람이 많아서 한 번도 서 본 적 없던 줄을 서서 계산했다. 헬스장도 마찬가지였다. 한가한 시간대에 갔는데도 사람이 많았고, 못 보던 회원 분들이 눈에 띄었다. '왜 이렇게 사람이 많지?'하고 생각하다가, 문득 답이 떠올랐다. '아, 새해구나.'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신년 계획이란 걸 세운다. 내용은 다양하지만 주로 다이어트, 운동, 공부 등에 관한 내용들이다. 처음 계획을 세울 때는 대단한 의지와 열정, 그리고 어떤 역경이 닥치더라도 이겨낼 듯한 태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다음 해가 오면, 많은 사람들이 저번 해와 똑같은 신년 계획을 또 적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

  

  사람에게는 눈앞의 보상을 과대평가하고, 다소 먼 미래의 보상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쌍곡형 할인이라 한다. 신년 계획을 지키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 있다. 꾸준한 운동으로 만든 건강한 몸매, 꾸준한 독서로 얻어낸 날카로운 통찰력 등은 얻는 데 시간이 많이 필요한, 미래의 보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운동, 독서, 공부 등의 보상을 과소평가하고, 대신 쉽게 얻을 수 있는 눈앞의 보상인 맛있는 음식, 컴퓨터 게임을 통한 쾌락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계획을 잘 지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번 글에서는 내가 경험과 독서를 통해 깨우친 신년 계획을 잘 지킬 수 있는 방법 3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1) 계획의 구체적인 목표 설정하기


  A라는 사람이 '운동하기'를 신년 계획으로 정했다고 해보자. 이 사람은 무엇을 위해 운동을 하는 걸까? 건강해지기 위해서, 혹은 멋진 몸을 만들기 위해서 같은 목표들이 떠오를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기서 생각하기를 멈춘다. 하지만 이런 목표들은 너무나 추상적이고 불명확하다. 건강한 게 무엇인지, 멋진 몸이 무엇인지에 대한 기준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두루뭉술한 목표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A 역시 작심삼일 하게 될 확률이 높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나는 <보도 섀퍼의 이기는 습관>이라는 책에서 해답을 찾았다. 이 책에서는 '3일 법칙'을 소개하는데, 이 법칙의 골자는 사흘마다 측정이 가능한 구체적인 결과를 냄으로써 열정을 유지하는 것이다. 자신이 설정한 목표와 점점 가까워고, 이를 달성했을 때 느껴지는 성취감은 지속적으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A의 경우엔 운동의 횟수나, 중량을 설정함으로써 이 법칙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처음의 의지와 열정을 지속하지 못해 고민인 사람이 있다면 이 방법을 써보는 것이 좋아 보인다.


2) 미루지 않고 계획을 세운 바로 그날부터 시작하기


  '다이어트는 내일부터', '다음 주부터는 꼭 일찍 일어나야지.' 이런 식으로 행동을 미루는 사람들이 정말 많다. 나 역시 미루는 습관을 어떻게 고쳐야 할지 항상 고민한다. 왜 사람들은 변화해야 함을 알면서도 이를 미룰까? 이는 뇌에 있는 편도체라는 기관 때문이다. 이 기관은 환경의 변화로 두려움을 감지하면 우리의 이성적 사고를 관장하는 대뇌피질의 기능을 마비시킨다. 고민하는 대신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과거 다양한 위험들로부터 우리의 생명을 지켜야 할 땐 유용한 본능이었지만, 현대 사회에선 오히려 우리의 변화를 막고 현실에 안주하게 하는 악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미루더라도 언젠가는 할 수밖에 없는 과제나 업무 등과는 달리, 계획은 순전히 나 자신과의 약속이기 때문에 실천하지 않는다 해도 당장 큰일이 나지는 않는다. 그래서 계속 내일부터, 모레부터로 미루게 된다. 이렇게 시간을 끌면 우리의 뇌는 생각보다 똑똑하기 때문에, 그 계획을 지키지 않을 핑계를 만들어낸다. 너무 춥다거나 들이는 시간이나 돈에 비해 비효율적이라는 것 등등 핑계는 무궁무진하고, 이 지경까지 오면 결국 계획 자체를 폐기하게 된다. 그래서 나는 무언가를 해야겠다고 다짐하면 그날 당장 책을 사거나, 수업을 등록하거나, 절차를 알아보고 신청한다.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나는 크게 다르지 않음을, 오랜 경험을 통해 터득했기 때문이다.


3) 매우 작은 행동부터 시작하기


  운동과는 거리가 멀던 사람이 매일 2시간 운동하기로 계획하거나, 공부와는 담쌓은 사람이 '매일 10시간 공부하기'를 목표로 삼았다 해보자. 이들은 과연 이 계획을 지킬 수 있을까? 장담컨대 3일 안에 계획을 포기하고 원래의 삶으로 돌아갈 것이다. 수십 년을 살아온 방식을 단 몇일만에 바꾸겠다는 건 너무나 무모한 발상이기 때문이다.


  이때 필요한 게 바로 '작은 행동 전략'이다. 작은 행동 전략이란 말 그대로 매우 작은 변화부터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꾸준히 운동하기를 목표로 삼았다면, 팔굽혀펴기 1개부터 시작하자. 청소를 습관화하고 싶다면, 하루 5분 청소하기부터 시작하자. 이런 작은 행동들에 익숙해지면 개수와 시간이 점점 늘어나게 되고, 어느덧 새로운 습관으로 자리 잡는다. 이런 식으로 조급해하지 않고 작은 행동들을 천천히, 하지만 꾸준히 발전시킨다면 어느 순간 변화한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변화는 내가 모르는 사이 점진적으로 찾아옴을 항상 명심하자.



 

  새해를 맞아 계획을 잘 지키는 법에 대해 적어보았는데, 언제나 이론보다는 실천이 어려운 법. 2023년이 내가 원하는 바 전부 이루는 한 해가 될 수 있도록, 마음이 약해질 때마다 이 글을 들여다보아야겠다. 이 글을 읽는 독자 분들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매거진의 이전글 2022년을 보내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