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별것 아닌 의학용어 Sep 02. 2022

뜻밖의 병원 구경

의학용어, 병실, 병원 내부에 관한 의학용어들

갑작스런 친구의 입원 소식에 병문안을 갑니다. 간단한 검사만 하러 입원한 것이란 친구의 말에, 반은 놀러 간다는 생각으로 간식거리를 사서 병원에 들어섰습니다. 친구가 있다는 내과 병동에 도착합니다.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는 순간, 익숙하지 않은  냄새, 흰색 벽, 바쁘게 움직이는 사람들 속에서 어디로 가야 할지 정신이 멍해집니다. 직원들은 한국말을 하는 것 같은데... 알아듣지는 못할 말들을 하고 있습니다. '드라마랑은 좀 다르네...' 하며, 마치 외국에라도 온 것처럼 움츠러드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1. 병동(Ward)

방금 들어선 그 공간을, 병동 또는 워드(ward)라고 합니다. 사전적 의미는, 같은 진료과의 환자들이 모여있는 공간이란 뜻입니다. (A ward is a room in a hospital which has beds for many people, often people who need similar treatment.) 예를 들어, 정신과 병동(psychiatric ward), 산과 병동(maternity ward), 소아과 병동(pediatrics ward)이라고 합니다. 지금과 같이 전염병의 유행 속에서는 격리 병동(isolation ward)을 운영하기도 합니다. 중환자실은 특별히 ICU라고 하는데, intensive care unit의 약자입니다. 직역해서 집중치료실입니다.

일반적으로 병원은 층마다 다른 워드가 있고, 경우에 따라 같은 층에 여러 개의 워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2. 간호사 스테이션(Nurses's station)

2월 어느 날 새벽 3시, 모 대학병원의 간호사 스테이션. 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

친구가 어디 있는지 몰라 헤매다가, 간호사 선생님들이 모여있는 커다란 데스크를 발견하고는, 쭈뼛쭈뼛 다가섭니다. 바빠 보이는 스테프들은 아무도 나에게 눈길을 주지 않네요... 나같은 인프피 아싸는 어떻게 말을 걸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이 공간을 보통 간호사 스테이션이라고 부릅니다.


미국의 간호사 스테이션(오른쪽)


3. NPO / ABR

뻘쭘히... 반 강제로 스테이션을 구경하다가, 가장 상냥해 보이는 스테프에게 물어 어렵사리 친구의 병실을 알아냅니다. 병실에 들어가니 환자복을 입은 친구가 몹시 낯설게 보입니다. 평소와 달리 힘이 없어 보이는 친구가 나를 보고 웃습니다. 친구가 좋아하는 간식거리를 친구 앞에 펼처놓습니다. 그런데, 친구는 침대에 걸린 푯말을 가리킵니다. 거기엔 아크릴 판에 마커로 크게 NPO라고 쓰여있습니다. 이전에 처방전에서 PO가 무슨 뜻이었는지 기억하시나요? 입으로(per os)였죠?  No PO니 아무것도 못 먹게 하란 뜻이에요. 사실은 No가 아니라 라틴어 Nil입니다. Nil per os, 금식이란 뜻이에요. 친구는 내일 검사를 마칠 때까지 아무것도 먹지 못한답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바로 퇴원(discharge)할 수도 있다네요.

때에 따라(보통 수술 후나 중병의 경우) ABR란 사인도 볼 수 있는데요, 이는 Absolute Bed Rest, 즉 절대 안정이란 뜻입니다. 보통 먹고 싸는 것을 모두 침대에서 해결해야 합니다. 참 곤욕이죠.
중국의 한 병원에서 유학생의 침대에 걸린 간호사의 메모


4. 입퇴원

아무것도 먹지 못하는 친구 옆에서 가져간 간식거리를 혼자 맛있게 먹고, 냉장고에 있는 음료수까지 거덜 내었지만, 나를 본 친구는 마냥 좋아합니다. 아프면 사람이 그리워지는 것 같습니다. 엄살 그만 부리고 빨리 퇴원하라고, 친구에게 윽박을 지르고는 병실을 나섭니다. 입원은 의학용어로 admission이라고 합니다. admin이라고 짧게 이야기하고, 차트엔 보통 adm이러고 적어요 . 이는 병원 입장에서의 표현이고, 환자 입장에서는 hospitalization이 됩니다. 퇴원은 discharge라고 해요. 역시 병원 입장에서 '퇴소시킨다'정도의 느낌입니다. 실제 군대를 퇴소할 때도 discharge라고 표현합니다. 일단 admin을 하면, 입원 환자(inpatient)가 됩니다. 외래 환자(병원 입장)는  in의 반대가 되니, outpatient라고 해요. 외래는 outpatient department라고 하고, 줄여서 OPD라고 많이 사용합니다.  이 단어들은 소견서나 진료의뢰서에서도 자주 보실 수 있습니다.

어서 빨리 친구가 퇴원해서 건강한 모습으로 나타났으면 좋겠습니다.

admission, admin,adm 입원
discharge 퇴원
inpatient 입원 환자
outpatient 외래 환자
outpatient department(OPD) 외래


날은 금방 어두워 별이 총총합니다. 택시 정거장에 이미 많은 사람이 줄 서 있습니다. 아까 친구 병동에서 보았던, 친절한 간호사 선생님도 이제 퇴근을 하는 듯 건물을 나섭니다. 어두워진 병원은 아무리 예쁘게 꾸며 놓아도, 을씨년스럽고 쓸쓸니다.


서울대학 병원


이런 곳에 절대 오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내일부터 운동을 열심히 해야겠다는 다짐과 함께 병원을 나섭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내가 헷갈려서 정리해 본 사일런트 E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