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올리가든 Apr 06. 2021

노린재 같으니라고

노린재 한 마리가 배를 보인채 뒤집어져 있다. 발만 허공에 내두르며 버둥댄다. 등을 바닥에 대고도 쭉쭉 밀고 나가는 폼이 아주 약한 놈은 아닌가 보다. 바둥거리는 힘에 의해서 몸이 이리저리 움직인다. 바닥과 창틀 사이를 마감한 실리콘 쪽으로 이동한다. 맨바닥에서 버둥거리는 것보다는 경사면이 좀 있는 그쪽이 낫겠다.


몇 번씩 밀고 가다가는 죽은 듯 가만히 있다. 죽었나? 싶으면 다시 움직인다. 지치면 쉬고 다시 버둥대기를  반복한다. 내가 지켜본 시간만도 15분이다. 이놈은 언제부터 이 짓을 반복했을까. 실리콘 위에서 곧 뒤집을 듯하다가 안되고 안되고. 다시 바닥으로 내려와 손발을 허우적 댄다. 노린재는 죽을힘을 다하고 있다. 한참을 지나도 변화가 없자 저러다가 지쳐서 죽는 거 아닌가 싶었다. 내 의심에 보란 듯이, 노린재는 어느 순간 홀딱 뒤집기에 성공했다. 미끄러운 실리콘보다는 바닥이 뒤집기에 좋은 곳이었다.


후들거리는 다리로 어정어정 기어간다. 출입문 쪽으로 가며 날개를 한 번 폈다가 접는다. 잠깐 보여준 날개는 노랗다. 암갈색 등짝에 비하면 곱기까지 하다. 죽다가 살아났음에도 날개는 멀쩡한 모양이다. 쉬지 않고 문 쪽으로 계속 간다. 바닥에서 힘을 다 빼서 날 기운이 없었는지도 모른다. 아마 날았다면 곧 사람 눈에 띄어 잡힐 수 도 있다.


갖은 애를 쓰는 노린재를 지켜보면서 황망하게 내두르는 저 다리에 휴지 한쪽 대 주기만 해도 쉽게 뒤집을 텐데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지 않은 이유는 벌레도 생명이니 그의 방법이 있을 거라는 믿음 때문이다. 죽을 듯이 지쳐 있다가도 다시 뒤집기를 반복한 것만이 그의 회생법이었다.
     
여름밤, 방 안으로 날아든 노린재에게 나는 자비를 베풀지 않는다. 휴지 뭉치로 싸서 쓰레기통 깊숙하게 처박아 버린다. 어릴 때 노린재에서 맡아본 고약한 냄새 때문이기도 하고 하여튼 곤충은 성가시다. 오늘 노린재도 어쩌다가 도서관에 날아들었을 것이다. 갑자기 추워져서 그랬을까. 잘못 들어온 실내에서 당황하고 부딪혀 떨어지며 뒤집힌 듯하다. 사람들에게 걸리지 말고 출입문을 빠져나가렴 속으로 그렇게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났다.  


내가 노린재의 발버둥을 오랫동안 바라본 이유는 있다. 오늘 아침 버스에서 밖으로 보이던 풍경, 시골도 대도시도 아닌 어중간하고 오래된 도심의 아침이었다. 오래됨이란 어느 곳에서는 찬란함이어서 감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지만 작은 도심의 그것은 남루함이었다. 나이 드신 어머니들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었다. 다리를 질뚝거리며 부지런히 간다. 도시에서는 젊은이도 늙은이도 쫓긴다. 우리의 시간이 죽음을 향해 가고 있다는 걸 잠시 잊기라도 한 듯하다.

     
노린재의 바둥거림을 보며 사람도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아침에 보았던 어머니들의 모습이 오버랩되었다. 아니, 나도 노린재처럼 안간힘을 쓰며 살지 않는가. 사람도 뒤집어질 듯한 고비들을 이겨내고 살아서 늙어가고 있다. 곤란함의 정도야 다르겠지만 아닌 사람은 없다.

삶은 누구에게나 젊음이었다가 늙음이 된다.
등으로라도 밀고 나가야 하는 바둥거림을 이겨낸 사람들, 내가 가보지 못한 길을 먼저 걸어간 사람들. 단지 늙음이어서 남루는 아닐 터이다. 요즘 들어 나도 남도 안됐다는 생각이 든다. 이것은 현실 직시인가. 갱년기 우울증인가.                                                     
























이전 14화 이파리 같은 형제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