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변민아 Dec 11. 2020

손가락 vs 목소리

손가락 vs 목소리


영화 <그녀Her> 포스터 다른 버전


스마트폰은 사실 ‘손가락’의 혁명이라고도 볼 수 있다. 10개의 손가락과 손의 근육을 다 써야 했던 키보드가 아닌, ‘손가락 하나’만으로 내가 딛고 있는 현실에서 벗어나 사이버 세계에 접속할 수 있다는 점은 인류에게 충격 그 자체로 다가왔다. 그 후로 ‘음성’으로써 집의 조명을 켜주고 음식을 배달시켜주고 음악을 틀어주는 기술이 우리 삶에 들어오면서 ‘시리(Siri)야~’ 하고 음성명령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게 전혀 이상하지 않은 세상이 도래하였다.


따라서 <그녀>가 보여주는 세상이 우리에게 완전히 낯선 세상은 아니다. 그렇기에 가까운 미래로 느껴지기도 한다. 주인공은 ‘목소리’로서 가상 세계에 접속하여 손가락이 아닌 음성으로 채팅을 하고 성관계를 맺기도 한다. 다만, 목소리는 손가락보다 그 사람에 대한 더 많은 데이터를 담고 있기에 손가락으로 교류하던 세상보다 나 자신을 더 많이 노출해야 한다. 


또한 목소리는 한 개인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고유한’ 것이며, 비언어적 단서, 즉 호흡, 휴지(멈춤), 억양, 심지어 성격과 기질까지 담고 있기에 목소리만으로도 상대의 성별, 연령뿐 아니라 기분과 감정, 성격 등을 어느 정도 알아차릴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설정은 사만다와 같은 운영체제가 감정에 대해 스스로 학습하고 하나의 인격체로서 완성되어가는 과정에 힘을 실어주게 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주인공이 손편지를 대신 써주는 회사 직원이라는 설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