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우성 Dec 17. 2018

시적이라는 말에 담긴 희망

구현모의 씨앗들



흔히 ‘시적이다’라고 말한다. 시적인 게 뭔데? 시인인 나도 모른다. 서정적인 문장(혹은 그런 표정이나 태도), 아름답게 묘사가 잘 된 문장(마찬가지로 그런 표정이나 태도)을 보면 ‘시적이다’라고 말한다. 서정의 기준도 다르고 아름다움의 기준도 다르기 때문에 사실 다 말이 안 된다. 게다가 정작 시인들도 시적인 것에 대해 동일한 감각을 갖고 있지 않다. ‘시적이다’라는 표현은 부정확하다. 이딴 걸 왜 따지냐고? ‘시적이다’라고 말할 때 사람들이 흔히 갖는 시에 대한 인식 속에는, 시란 그저 아름답게 풍경을 읊는 것이라는 판단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건 시가 아니고 시적이지도 않다. 

그럼 네가 생각하는 시적인 건 뭐야?라고 물을 법하다. 조금 더 들어가서, 네가 생각하는 시적인 것이라는 판단 역시 주관적이지 않냐,라고 따질 법도 하다. 맞다. 그러니까 나도 우긴다는 마음으로, 아, 그래도 이 정도면 보편적으로 시적이라고 할 수 있지 않아?라고 뻔뻔스럽게 이야기해볼 수 있을 뿐이다. 내가 생각할 때 시적인 것은, 어떤 사물에 대해 혹은 풍경이나 현상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그걸 보거나 경험하는 사람은 낯선 다른 걸 상상하게 되는 것, 혹은 그런 상태의 것을 말한다. 여기서 낯선 다른 것이 ‘아무거나’를 의미하진 않는다. 애초에 이야기하려고 했던 그 대상이 깊이 간직하고 있었을 어떤 내면과 맞닿는 것이어야 한다. 설명이 어렵다. 마침 삼청로 PKM 갤러리에서 구현모의 전시가 열리고 있는데, 이 작가의 작품을 보면 시적이다라는 게 뭔지 조금 더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작품을 보면 알겠지만 이질적인 것이 결합되어 있거나, 그것들이 섞여서 마치 하나의 것처럼 보인다. 작품 안에 어떤 맥락이 담겨 있다는 것도 느낄 수 있으며, 그것이 무엇인지 모르지만 나름의 방식으로 상상해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이 ‘아무거나’ 상상하게 하지는 않는다. 작품 내부에 생각의 씨앗이 숨겨져 있다. 그 씨앗이 이 작품들을 시적인 것으로 만든다. 시도 미술 작품도, 대상 너머의 어떤 것을 상상하게 한다는 점에서 예술의 지위를 획득한다. 예술이라… 소 풀 뜯어먹는 소리지만…. (오히려 그 소리가 더 예술적이구나!)

전시명은 <구현모: 후천적 자연>이다. 작품들은 모호한 생각의 덩어리를 형상화시켜 놓은 것 같다. 자연의 일부가 인간이 만든 문명의 일부와 결합된, 마치 그렇게 보이는 작품들이 주를 이룬다. 자연이 후천적일 수 있는가, 없다면 그것은 왜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가에 대해 ‘씨앗’은 생각을 이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구체적인 걸 보고 싶어 한다. 이해하기 쉬우니까. 하지만 세상엔 이해할 수 없는 것 투성이다. 나름의 생각을 나름의 방식으로 남겨놓을 수밖에 없다. 시적인 것이 외면받는 시대에 시적인 것이 여전히 존재해야 하는 이유다. 전시는 8월 3일까지 열린다. 


한겨레 esc, 2018.07.04, 이우성의 낙서 같아 10    

작가의 이전글 욕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