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박사 레오 Jul 25. 2023

고통과 좌절에 절대로 지지 마라

Photo by Lucas Clara on Unsplash



1. 누군가의 삶이라도 한 편의 영화와 같다 


Photo by Fabio Comparelli on Unsplash


가만히 되돌아보면... 우리의 삶은 한 편의 영화와 같습니다. 

나름대로의 기쁨과 행복이 있으며, 아픔과 고통도 있습니다. 

때로는 희망과 기대에 부풀어 설레고 흥분되는 때도 있으나, 심한 고통과 좌절에 몸부림칠 때도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의 삶은 희.로.애.락.(喜.怒.哀.樂.)이라는 4가지 색으로 만드는 한 편의 그림과 같은 것입니다. 


우리는 종종 너무 완벽하게 행복하고 평화로운 이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삶을 꿈꿉니다. 

가족도 평안하고, 돈도 많으면서, 건강한 삶과 좋은 직업을 모두 가지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완벽하게 갖추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또는 그중 하나라도 이루었다면 그것을 이루기 위한 길고 힘든 과정이라는 것이 있었을 것입니다.  



2. 산이 높을수록 골도 깊은 법이다


Photo by Alev Takil on Unsplash


우리는 성공한 사람들의 성공 스토리를 보면서 부러움과 존경을 보냅니다. 

하지만 그들의 고통스럽고 힘들었던 과정을 감수하고 극복해야 할 용기는 내지 않습니다. 

우리는 행복해 보이는 사람들의 웃음과 만족에 초점을 둡니다. 

하지만 그들에게도 아픔과 슬픔이 있으며, 이를 잘 관리하고 해결했던 그들의 눈물과 아픔은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누구라도 부러워할만한 큰 성공을 이루어냈다면, 아마도 그에 상응하는 고통과 좌절을 이겨내고자 노력했을 것입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너무도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다면, 행복을 느끼는데 필수적인 자기 관리와 감정관리 능력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엄청나게 많은 돈을 벌었다면, 그만한 사업적 식견과 돈을 벌기 위한 피눈물 나는 노력의 과정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 어떤 것에 비해서도 빛나고 화려한 결과를 얻었다면 그 이면의 그림자와 과정도 진하고 길었을 것입니다. 

높은 산의 정상에 올라 그 누구도 맛보지 못한 장관을 보면서 성취감을 느끼고 있다면, 그만큼 길고 험한 등반의 과정을 극복한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의 멋지고 화려한 결과만을 보는 것은 그 사람의 한쪽만을 보는 것입니다. 

그 어떤 것도 그냥 이루어지는 것은 없으며, 항상 반대급부와 그림자라는 것이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 인생입니다. 



3. Optimal Frustration


Photo by Fabio Comparelli on Unsplash


심리학 개념 중에는 Optimal Frustration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는 적절한 좌절을 통해 삶의 문제들을 대처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학습하며,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심리적으로 건강한 문제대응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적절한 좌절과 이를 극복하는 경험들이 축적되면서 우리는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적절한 좌절이 충분하지 않다면 우리는 삶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지며 삶에서 겪게 되는 마음의 고통과 좌절로 인해 주저앉게 되고 말 것입니다. 


그런데 정확히 말하면, 적절한 좌절은 없습니다. 

더 정확한 표현은 '우리가 삶에서 만나는 좌절을 우리 스스로 "적절한 좌절"로 만든다!'일 것입니다.  

즉, 우리가 겪는 삶의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해결하면서 극복한다면 그것은 적절한 좌절이 됩니다. 

하지만 내 앞에 닥친 삶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거나 해결하지 않고 심리적 고통의 소용돌이에 자신을 방치하거나 좌절에 무력하게 굴복하는 순간, 그것은 '적절한 좌절'이 아니라 '치명적 좌절(Traumatic Frustration)'이 됩니다.

 

우리가 배우고 길러야 하는 것은 적절한 좌절을 선택하고 극복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어떤 고통과 좌절을 만난다고 할지라도 이를 극복하고 이겨내겠다는 마음가짐과 자세를 학습하고 개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즉, 어떤 고통과 좌절이라도 절대로 지지 않고 극복하고 이겨내고자 하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고통이나 좌절을 극복하고 이겨내지 못하더라도 적어도 버티기라도 하고자 하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적극적이고 건강한 문제 대응 및 해결능력을 우리의 안정된 태도로 만들어야 합니다.  

마치 헬스클럽에서 트레이닝의 난이도를 점점 높여가면서 점차 건강한 신체와 강도를 만들어 나가는 것처럼 마음의 근육도 적절한 좌절을 통해 강해지게 됩니다. 



4. 감당하기 어려운 위기가 온다면...


Photo by Luis Sánchez on Unsplash


하지만 살다 보면 전혀 상상도 하지 못하고, 전혀 예상하지도 못한 어려움과 좌절을 마주치기도 합니다. 

혹은 생각했던 것과는 매우 다르거나, 생각했던 것보다 엄청나게 힘든 고통을 겪기도 합니다. 

이처럼 우리가 예상하지 못하거나 예상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을 당한다면 어쩔 수 없이 흔들리고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이와 같은 엄청난 고통과 좌절은 어떻게 대처하고 해결하는지에 따라서 우리의 마음에 큰 상처와 흉터를 남길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보자면, 우리에게 급이 다른 차원으로 더 성장하고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때로는 그 일의 전후로 인생 자체가 달라지거나 삶의 원칙을 바꾸게 되기도 합니다.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더할 나위 없이 기쁘고 행복한 일을 겪기도 합니다. 

반면에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더할 나위 없이 고통과 좌절을 주는 일을 겪기도 합니다. 

이때 우리가 가져야 하는 독한(?) 마음의 자세는 '이 고통과 좌절에 절대로 지지 않겠다!'는 자세와 태도입니다. 

극복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우리에게 큰 상처와 흔적을 남길 수도 있으나 오롯이 "절대로 지지 말자!"라는 결심이 있다면 그 과정과 결과는 분명히 다를 것입니다.  



5. Resilience의 의미


Photo by Diana Polekhina on Unsplash


제가 항상 강조하는 심리학적 개념 중 하나는 바로 "심리적 복원력(Resilience)"입니다. 

정의와 개념 상으로는 '고통과 좌절이 있더라도 그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는 능력' 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좀 더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한다면 '고통과 좌절이 있더라도 그 이전의 상태로 회복함과 더불어 유사한 문제를 겪더라도 더 잘 대응하고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하는 힘' 정도로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우리의 삶에서 '고통과 좌절이란 심리적 능력과 마음의 근육을 키우기 위한 기회이자 교보재'이며, 나를 성장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입니다. 

단, 이를 위해서는 '고통과 좌절에 절대로 질 수 없다!'라는 마음가짐과 태도입니다. 

만약 이와 같은 마음가짐과 태도가 있다면 어떤 상황이라도 내 인생을 성장시키고 발전하는 재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6. 포기하기 전까지는 끝난 것이 아니다


Photo by Venti Views on Unsplash


고통과 좌절 속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명언들은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나 하늘이 무너진 상태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은 사람은 절대로 솟아날 수 있는 구멍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제 끝이라고 생각하고 생각하고 절망하고 포기하는 순간 정말 끝이 옵니다. 

만약 포기하지 않고 버틴다고 하면 아직도 기회는 있는 것입니다. 


뛰기 힘들다면 걸으면 됩니다. 

너무 힘들고 지친다면 잠시 쉬었다가 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더 이상은 희망이 없다고 생각하면 힘든 상황을 버티고 있는 자신의 대견함에만 집중하십시오. 

이제는 정말 끝이다 싶을 때에는 그동안 살아오면서 있었던 일들을 떠올리고 나에게 소중했던 사람들을 떠올리면 조금은 더 버틸 수 있을 것입니다. 


버티는 것이 힘입니다. 

그래야만 내일이 옵니다. 

포기하는 순간 정말 끝이 옵니다. 

포기하지 않는다면 진짜 끝은 오지 않습니다. 

끝을 결정하는 것은 그 누구도 아니며 환경도 아닙니다. 

오직 당신 스스로 결정하는 것입니다. 


절대로 & 반드시 & 꼭, 고통과 좌절에 밀리지 말고 지지 마십시오. 

당신의 삶과 어려움을 버티고 견디어 이겨내시기 바랍니다. 




지금도 기억하는 인재행동치료 교과서의 사례가 있습니다. 

자녀가 불의의 사고로 먼저 떠나 심한 우울과 마음의 고통을 겪는 부모의 사례입니다. 

내담자는 말합니다. 

'창자가 끊어지는 고통을 겪고 있으며, 영원히 이 고통이 영원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더 이상은 버티고 살아갈 힘이 없습니다'

그때 치료자는 말합니다.

'만약 1년의 시간이 흐른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때에도 마음의 고통이 똑같을까요? 

만약 3년의 시간이 흐른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때에도 지금과 똑같은 마음의 고통을 겪을까요?

만약 5년 또는 10년의 시간이 흐른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때에도 지금과 똑같은 고통을 겪으면서 아무것도 못한 채 슬퍼하고만 있을까요?'


오늘의 글을 쓰는 마음은 다른 글과는 다릅니다. 

제 글을 읽으시는 수십 명 또는 수백 명의 구독자 분들 중에 단 한분이라도 위로가 되었으면 합니다. 

혹은 고통과 좌절에 빠져 있는 어떤 한 분이 절망적인 마음으로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인터넷을 뒤적이다가 이 글을 보고 힘이 되시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여러 가지 이유로 고통과 좌절에 빠져 있는 저 스스로에게 다짐하고 위로하는 글이기도 합니다. 


단 한분에게라도 힘이 되고 위안이 되며 지지가 되는 글이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고통과 좌절에 지지 않고 조금 더 견디고 이겨낼 수 있는 계기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https://brunch.co.kr/@mindclinic/761



https://brunch.co.kr/@mindclinic/305


https://brunch.co.kr/@mindclinic/450


https://brunch.co.kr/@mindclinic/662


매거진의 이전글 애도에는 이유가 없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