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료 Oct 29. 2020

달콤함은 잠시뿐이지만

            




“우습게도 느닷없이 아무래도 좋다는 마음이 들었다. 예상치 못했던 일이 주는 즐거움. 계획이 어그러진 순간에만 찾아오는 특별한 기쁨. 다 잃은 것 같다고 생각하고 있으면 어느새 한여름의 유성처럼 떨어져 내리던 행복의 찰나들”     

<나의 할머니에게_흑설탕캔디, 백수린, 74 /240>           



    

 아침부터 도넛 생각이 간절했다. 설탕을 가득 뿌린 시나몬 도넛 한 입 베어 물고 뜨거운 블랙커피 한 모금 넘기면 오늘치 기쁨을 충전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세수도 하지 않고 모자만 푹 눌러쓴 채 도넛 가게로 향했다. 집에서 도보로 십 분 거리였다. 어느 집 석류나무에 소행성처럼 열려 있는 새빨간 석류 열매를 구경하느라 오 분이 더 걸렸다. 별처럼 반짝였다. 집주인은 왜 주렁주렁 열린 석류를 따지 않을까. 비가 오면 금방 다 떨어질 텐데. 아까워서 내가 다 발을 동동 굴렀다. 둘 중 하나일 것이다. 열매 달린 걸 알아보기에 너무 바쁜 사람이거나, 다음 열매가 열릴 때까지 또 기다릴 만큼 여유가 있는 사람이거나. 어떤 열매는 ‘아-’하고 입을 벌리듯 단단한 과피를 열고 빨간 알갱이를 드러내 놓고 있었다. 꼭 사람의 머리를 쪼개 놓은 듯했다. 한 입 베어 물면 시뻘건 과즙이 턱을 타고 흘러 가슴까지 줄줄 흘러내리지 않을까. 영화 <한니발>에서 렉터 박사는 FBI 요원 크렌 들러를 납치해 두개골을 횡단으로 잘라 뇌를 꺼낸 후 프라이팬에 구워 요리한다. 고통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자신의 뇌를 맛있게 먹던 크렌들러의 모습이 왜 그 시점에 떠오르는 건지, 내 안의 잔인성을 발견할 때마다 깜짝깜짝 놀란다. 어릴 때 누군가 내게 이런 말을 했다.     


 "칼이 무서운 진짜 이유는 내가 칼에 다칠까 봐서가 아니라, 내가 칼로 누구를 해할까 봐 그런 거래"      


 일리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 자리에 함께 있던 누구도 동의하지 않아 혼자 불안했다. (나...나.. 사이코 패스인가) 그 말은 오래오래 뇌리에 남아, 나도 모르는 사이 칼을 들고 누구를 해치게 될까 봐 겁이 났다. 오래전부터 내가 ‘나’라는 걸 어떻게 알 수 있는지 궁금했다. 하룻밤 자고 나면 나 아닌 다른 것이 돼 있을지도 모른다는 얼토당토않은 상상에 자주 몰입했다. 나의 착각과 달리 어쩌면 ‘칼’은 하나의 은유였을지 모른다. 내가 상처 받는 것보다 누군가에 상처 입힐까를 더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있지 않은가. 물론 나는 아니다. 요즘 세상에서는 찾아보기 드문 귀한 존재일 것이다.      


 남의 집 석류를 따 먹고 싶은 충동을 간신히 참고 도넛 가게에 도착했다. 아침부터 설탕 덩어리가 당긴 사람들이 나 말고도 많아서 한참 줄을 서서 기다려야 했다. 커피를 주문하면 몇 분 더 기다려야 한대서 집에 돌아와 내려 마셨다. 기다린 만큼 도넛은 달콤했다. 그러나 그때뿐이었다. 아무리 오래 음미하고 싶어도 금방 사라지기 마련이었다. 


 십 분의 달콤함을 만끽한 뒤 온종일 누워있었다. 오늘은 생리가 터진 지 둘째 날이었다. 누가 처음 생리를 ‘터졌다’고 표현했는지 모르겠지만 그는 언어의 귀재가 분명했다. 생리가 터지면 짜증도 터지고 때로 눈물도 터진다. 낮 동안 <나의 할머니에게>라는 소설집에 실린 백수린 작가의 <흑설탕 캔디>를 읽다가 펑펑 울었다. 몸에서 빠져나간 빨갛고 투명한 액체의 부피만큼 외로워졌다. 생리를 기분의 변명거리로 삼지 말자고 일기에 썼건만, 몸은 99%의 확률로 마음을 굴복시킨다.      


Y에게 오늘은 백팔 배를 건너뛰면 좋겠다고 말했다. Y가 그러자고 했다. Y의 등허리를 뒤에서 안고 ‘피가 나면 왜 외로워지는 거지?’ 하고 물었다. 생리가 뭔지 죽었다 깨어나도 알 수 없는 Y는 ‘외로워?’ 하고 내게 되물었다. 그러고 나서 냉장고에 소분해 둔 하얀 순무로 밥을 지었다. ‘무밥, 무 봤나?’ 농담도 잊지 않았다. 올해로 만난 지 십 년쯤 되었는데 여전히 Y는 매일 사랑 고백을 한다. 내 몸과 마음이 힘들 때는 밥을 지어준다. 반면 나는 바늘 같은 말과 행동으로 그에게 상처 줄 때가 있다. 그때도 Y는 괜찮다고 했다. 괜찮다고. 다 잘 될 거라고. 나는 좋은 사람이라고 했다. Y와의 달콤한 시간도 언젠가는 도넛처럼, 석류처럼 사라져 버릴 거라는 생각에 울적해질 때가 있다. 하지만 ‘한여름의 유성처럼 떨어져 내리던 행복의 찰나들’을 절대 놓치지 말자고 생각한다. 피가 날 때도 눈물이 날 때도 누군가 곁에 있는 것, 일단은 그것만 생각하자고.      



밥과 함께 찐 무는 도넛보다 달콤했다.     



    

이전 08화 할머니는 고기를 맛있게 먹었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