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유 임민아 Sep 10. 2023

경기마을공동체미디어연대 워크숍

출범식은 2023년 9월 26일(화) 오후 4시

경기도마을공동체미디어연대(준) 회원 단체 현황

파주(4) - 협동조합 커뮤니티플랫폼 이유, 마을발전소, 봉일천스토리, 포토송이봉사단

의정부(2) - 의정부마을넷, 엄마샘아뜰리에품앗이

용인(1) - 마을미디어 인스토리 협동조합

김포(1) - 김포시민미디어연대

시흥(1) - 시흥FM

부천(1) - 한국라이브봉사단

성남(1) - 위례미디어협동조합(준)

화성(1) - 잇츠화성

고양(1) - 고양e팟캐스트제작단

광명(1) - 광명공동체라디오

수원(1) - 비모필름(청년)

안산(1) - (주)해뜨는대부도고랫부리



경기마을공동체미디어연대 출범 준비를 위한 1박 2일 워크숍이 9월 8~9일 경기미래교육 양평캠퍼스에서 열렸다. 지역을 기반으로 신문, 라디오, 영상, 출판 등 다양한 분야의 *커뮤니티 미디어(Community Media)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모였다.


*커뮤니티 미디어는 독립적이고 공동체가 소유하고 관리하는 미디어이다. 공공 매체와 상업 매체의 대안적 매체이므로 미디어 소유권 집중을 방지하고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다원적 미디어 생태에 중요하다. 이들이 이념적, 정치적, 경제적 압력 없이 합법적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법률상 그들의 명확한 정의와 인정이 필요하다.

유네스코에서 말하는 '커뮤니티 미디어'


이번 워크숍을 통해 창립총회 및 출범 기념 포럼 날짜와 장소를 확정했다. 총회에 올릴 공동대표 및 운영위원, 감사, 사무국장 후보자 추천 명단도 확정했다. 이제 뭔가 손에 잡히는 것 같다!


1. 창립총회 및 출범 기념 포럼

- 일시 : 2023년 9월 26일(화) 오후 4시~6시

- 장소 : 경기상상캠퍼스 컨퍼런스홀


2. 공동대표 및 운영위원, 감사, 사무국장 후보자 추천

- 공동대표 : 유증종, 임민아, 전상천, 김선아

- 운영위원 : (기획) 김지하, 이득규, 조성륜, 주덕봉 (교육) 정경은, 이해범 (홍보) 함인성

- 감사 : 이소연

- 사무국장 : 김은영


3. 사업계획(안)

- 마을공동체미디어 진입 단체 대상 멘토링, 단체설립 및 운영 컨설팅

- 성장 단계 사업화 노하우 전수 및 컨설팅

- 마을공동체미디어 우수사례 발굴 및 정책 연구

- 워크숍, 교육 등을 통한 기술 전수

- 경기마을공동체미디어연대 공동기획 콘텐츠 제작


A팀의 메모





'마을발전소' 구성원이자 '교하시청각클럽'이라는 이름으로 파주에서 활동하는 김지하, 이해범 선생님이 <아시타청(我視他聽)>이라는 워크숍 프로그램을 진행해 주셨다. '나를 들여다보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의미의 '아시타청'은 파주시사회적경제마을공동체지원센터가 주관하는 '문턱없는 공동체실험실'을 통해 알게됐다.


자신의 마음상태를 잘 설명할 수 있는 키워드를 뽑아 들고 돌아가며 이야기를 나눴다. 다들 진지하게 임해주신 덕분에 연대에 참여하게 된 이유와 현재의 고민 등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둘씩 짝을 지어 충분히 이야기를 나눈 후, 서로 사진을 찍어 출력한 후 종이에 붙이고 그림을 그렸다. 아주 짧은 시간이었지만,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람들이라 그런지 예상치 못한 결과물에 서로 깜짝 놀랐다.


가장 깜짝 놀란 그림은 바로 김은영 선생님 작품이었다. 차마 그림 원본은 못 올리겠고, 내 표정으로 현장 상황을 리얼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 같다. (뒤통수 말곤 정말 그릴 데가 하나도 없었던 거예요?)




마을공동체미디어는 주민들이 주체적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하는 과정에 참여하면서 마을의 사회적 자본을 만들어가는 활동이다. 지역사회 의제를 공론화하는 과정에서 시민의 권리를 이행하는 주민으로 성장한다. 지리적 영역, 공동의 유대감,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직접적인 행동에 나서게 한다(임민아, 2021).


2004년부터 잡지사, 지역신문 기자로 일하면서 터득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3년부터 지금까지 커뮤니티미디어, 마을공동체미디어를 표방하며 활동해 왔다. 협동조합으로 지역신문을 창간하고 활동한 경험, 잡지와 팟캐스트를 제작해 본 경험, 뉴미디어 시대 영상 콘텐츠 제작과 SNS 활동까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이제 막 진입하는 단계의 활동가나 단체가 나와 똑같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게 돕고 싶었다. 20여 년 간 현장에서 경험하고 터득한 노하우를 회원들에게 나누고 싶다. 고비가 와도 외롭지 않게, 포기하지 않게, 손을 잡아주고 싶다.




자료 찾다가 제주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함주현 선생님 논문을 봤다. 내 석사 논문 중 일부를 인용해서 쓰신 걸 보고 고맙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했다. 제주와 연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겠다. 경기마을공동체미디어연대 창립총회에 정식으로 초대하고 싶다. 연락처를 어떻게 수소문하지?


제주 마을공동체미디어에 관한 연구(함주현, 2022)


매거진의 이전글 마을공동체미디어, 경기도 버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