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봉반장 Oct 21. 2019

주요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참을 수 없는 내 기획서의 가벼움

프레임워크(Framework)란?

프레임워크는 얼개라는 의미로 번역되며 틀에 맞춰 무엇인가를 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매일 동일한 작업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자기 나름의 방식이 정해지기 마련인데

이러한 방식은 일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효율화된 프레임워크의 일종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아침에 일어나 집을 나오기 까지의 자신만의 일련의 흐름도 프레임 워크라 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목적은 일상의 행동을 효율화 하기 위한 규칙이라 할 수 있다.


기획서를 작성할 때도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시간을 관리하며 기획서 작성 할 수 있다.

특히 비즈니스 환경에서 검증된 프레임워크를 사용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이번편에서는 <비즈니스에서 사용하는 주요 프레임 워크>를 살펴보겠다.

<비즈니스에서 사용하는 주요 프레임 워크>

<6W3H>

6W3H는 왜, 무엇을, 누가, 누구를 위해, 어디에서, 언제, 어떻게, 얼마의 비용으로, 얼마의 기간동안의 영문 약자로, 비즈니스 상황/문제를 구체적으로 정리할 때 편리한 프레임워크 이다.


<6W3H 내용>

6W3H는 육하원칙의 확장개념으로 '이정도야 뭐 껌이지.. 이걸 모를까?' 정도로

쉽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막상 각각의 요소를 기획서에 제대로 담아내는 사람이 흔치 않다.


예를 들어 매출 하락의 현상/문제을 파악할 때  영업 사원별(누가), 지역별(어디에서), 시간별(언제), 상품별(무엇을), 단가별(얼마나)등의 다양한 시점에서 분석하면 깊이 있는 내용을 정리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과제 실행 계획을 세울 때도 6W3H를 사용하여 필요한 주요 항목의 누락을 사전에 방지하고, 완성도를 높여준다.



<3C 분석>

3C 분석은 비즈니스 시장/환경에 대해 거시적으로 분석할 때 주로 사용한다.

먼저, 3C 각각의 요인에 대해 각각 살펴보자.


Customer(고객) 관점은 기본적으로 시장 현황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실시한다.

즉 시장 현황 및 고객의 니즈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

현재 시장 규모, 시장 성장률, 시장 트렌드와 구조 등의 분석과 함께 고객의 유형과 니즈, 형태등이 종합적으로 필요하다.


Competitor(경쟁사) 관점은 경쟁사의 강점 및 약점은 무엇인가? 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경쟁사와 차별화 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를 찾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Company(자사) 관점은 자사의 현재 역량은 어떠한가? 에 대한 대답이다.

자사의 현재 시장 점유율, R&D 역량, 판매 및 서비스 역량, 브랜드 인지도 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 진다.



<PEST 분석>

PEST 는 정치, 경제, 사회, 기술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기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치, 경제, 사회, 기술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일반적으로 PEST 분석은 기업의 중장기 전략 수립시 거시 환경 분석을 위해 활용된다.

PEST 분석의 세부 항목별 예시는 다음과 같다.

Political(정치/제도) : 정부 정책, 법규 및 규제, 한-미 FTA, 주 52시간 근무 등

Economic(경제) : 인플레이션, 금리, 환율, 실업률, 저성장 시대

Social(사회/문화) : 인구 추이,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여성의 사회적 진출, 싱글족 증가 등

Technological(기술) : 4차 산업혁명, Digital Transformation, AI/5G 기술 확산 등



<SWOT 분석>

SWOT 분석은 내/외부 환경 분석을 종합하여 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할 때 주로 쓰인다.  

특히 분석 항목이 이해하기 쉽고, 직관적이라 프레임워크를 훈련하기 위한 도구로 유용하다.


SWOT은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Opportunity(기회), Threat(위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Strength / Weakness는 회사 내부 인프라로 잘할 수 있는 것과 못하는 것을 정리 하는 내부 분석이고,  Opportunity / Threat는 회사가 어찌할 수 없는 외부 환경에 의한 유불리 함을 따지는 외부 분석이다.


SWOT 분석시 S, W, O, T 각각이 무엇인가?로 그치는 것이 아닌  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가 훨씬 중요하다. 단순하게 잘하는 것을 더 잘하고! 못하는 것은 더 잘하자 식이 아니다.


각각의 요소를 묶어 분석해야만 깊이 있는 해결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

그게 바로 4가지 요소 중 2가지씩 묶어 정립한 S.O전략 / S.T전략 / W.O전략 / W.T전략이다.


1) S.O전략(강점 X 기회) : 강점을 할용해 기회를 선점하는 전략 (공격 전략)

2) S.T전략(강점 X 위협) : 강점을 활용해 위협을 극복/최소화 하는 전략 (정면 대응)

3) W.O전략(약점 X 기회) : 약점을 보완해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 (기회 관망)

4) W.T전략(약점 X 위협) : 약점을 최소화해 위협을 회피하는 전략 (방어 전략)



<4P 분석>

4P는 제품, 가격, 유통, 프로모션의 약자로

신제품이나 판매 중인 제품의 마케팅 전략 수립시 우리가 고려하는 프레임 워크이다.


Product(제품) : 어떠한 제품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가치를 제공해 줄 것인가?

Price(가격) : 제품이 주는 가치가 판매 가격 이상의 가치를 주는가?

Place(유통) :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타깃 고객에 맞는 유통 채널을 선정했는가?

Promotion(프로모션) :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고객들에게 어떻게 알릴 것인가?


최근에는 기업 관점에서 벗어나 고객 관점의 4C 관점이 중요하게 제시 되기도 한다.

4C는 고객 가치, 고객 부담 비용, 편의성,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다.



프레임 워크 믹스

각각의 프레임 워크를 분석하는 것도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더 폭 넓고 깊이 있는 내용 분석을 위해 각각의 프레임 워크들 서로 믹스(합체) 하여 사용 수 있다.


특히 그 중심에 6W3H가 있다.

아래 예시를 살펴보자.


<6W3H와 3C의 믹스>

프레임 워크 믹스를 통해 나온 테이블은 수많은 교차 항목 만들고,

다양한 질문을 통해 핵심을 파고드는 분석이 가능다.  


ex)

 -Customer(고객) X Where = 고객은 어디에서 상품을 구매하는가?

   

 -Competitor(경쟁사) X How to = 경쟁사는 상품을 어떤 방식으로 제공/판매 하는가?

 

 -Company(자사) X Whom = 자사는 누구를 대상으로(Targeting) 상품을 제공/판매 하는가?



마찬가지로 6W3H를 기반으로 4P, SWOT, PEST 모두 믹스(합체) 할 수 있으며,

상황에 맞는 적절한 질문들을 추출하여 분석하면 완벽하고 빈틈없는 기획서 작성을 하는데 한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나만의 프레임 워크를 사용 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가능하다.

기획서 작성을 할 때마다 앞서 소개한 비즈니스 주요 프레임 워크로 분석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앞서 가설 사고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본 바 있다.

가설 사고의 중요성 다시 보기 -> https://brunch.co.kr/@mystalin/46


모든 문제를 다 분석하고 대안을 수립할 시간이 우리에게는 주어지지 않는다.

기획자라면 가설 사고를 통해 자신만의 프레임 워크로 필요한 항목을 구성하고, 해당 자료를 수집/분석해야 한다.


아래는 컨설턴트 시절 나만의 프레임 워크로 전략 방향을 도출한 예시이다.


<국내 화장품 회사 교육체계 설계 방향 도출 프레임워크>



<국내 광고 회사 인재 육성 방향성 도출 프레임 워크>


앞서 제시한 비즈니스 주요 프레임 워크(6W3H, 3C, 4P, SWOT, PEST)는 전 세계 누구나 선호하고 반세기 이상 사용된 것이기 때문에 위험부담 없이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무려 반세기 이상 전 세계는 같은 모델을 사용했다.) 그러나 기획자라면 유연함을 갖고 자신의 논리를 설득하기 위해 빠르고 정확하게 핵심 사항을 추려 분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러한 능력은 쉽게 개발 되어지지 않지만 수많은 기획 경험을 통해 점차 그 역량이 강화 될 것이다.

자신만의 프레임 워크로 기획을 하고 그 기획서가 컨펌이 되는 바로 그 순간,

마침내 당신은 진정한 기획자로서 발돋움 하게 될 것이다.




'컨설팅펌 출신 대기업 현직자가 알려주는 쉽고 재미있는 기획서/보고서 작성법'

수업(3시간)이 탈잉에 오픈 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 드려요! :)


★신청은 아래 배너 클릭!!!

https://taling.me/Talent/Detail/27061






더 자세한 내용은 도서 <필요할때 꺼내 보는 기획서 작성법>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많은 사랑 부탁 드려요~!!!


교보문고 구매하기 클릭!


알라딘 구매하기 클릭!






이전 08화 기획서의 목차와 주요 항목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