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넬의 서재 Oct 27. 2024

치매 노인은 유치원생을 키우는 것과 같다.

<어느 치매 노인의 일기> 8편

*<어느 치매 노인의 일기>는 90대 치매 할머니와 60대 딸, 20대 손녀가 함께 살며 겪는 따듯하고도 슬픈 이야기를 엮은 장편 소설입니다. 본 소설은 완결까지 탈고된 상태로 브런치 공모전 용도로 맛보기차 업로드합니다. 공모전이 끝나면 다시 처음부터 한 편씩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큰딸의 일상은 단순한 듯 바쁘게 지나갔다. 아침 일찍 남편 출근시키고, 집안 청소하고, 장을 보고, 반찬을 하면 하루가 뚝딱 흘렀다. 하루 온종일 일해도 티도 안나는 집안일이었지만, 일을 놓는 순간 티가 확 났다. 


그래도 큰딸은 둘째딸과 장을 같이 보거나, 반찬을 함께 만들며 바쁜 일상 속에 할머니를 위한 시간을 짜 넣었다. 나중에는 둘째가 일하는 날에는 아예 할머니를 자기 집으로 모셔왔다. 지난 번 육남매 잔치 때 할머니가 좋아하시는 모습을 보고 마음이 약해진 탓이었다. 살아생전 노인네가 그만큼 웃고 울 일이 얼마나 있을까 싶었다. 큰딸은 할머니 정신이 맑으실 때 한시라도 더 곁에 있겠다고 다짐했다. 


이런 큰딸의 다짐에도 불구하고, 할머니는 자꾸 자기를 어디로 데려가냐며 짜증을 냈다. 기껏 남편을 출근시키고 달려오면 할머니의 짜증이 기다리고 있었다. 자꾸 큰딸이 찾아오는 것이 자신을 요양원에 내다 버리려는 건지, 더이상 이 집에서 환영받지 못해 쫓겨나는 건지 할머니는 할머니대로 불안해했다. 


덕분에 큰딸은 아침마다 둘째딸네서 “왜 자꾸 나를 어디 가라 그래!” 빽 소리를 지르는 할머니와 전쟁을 벌였다. 그때마다 딸들은 “엄마, 그게 아니고 엄마 집에 혼자 있으면 심심할까봐 그래”하며 할머니를 어르고 달래야 했다. 


남들 보기엔 귀여웠지만 가까운 사람에게는 함부로 대하는 할머니 성격은 젊어서나 늙어서나 그대로였다. 둘째딸이 일하는 낮 시간 동안 겨우 큰딸 집으로 모셔오면 할머니는 온종일 입이 뾰루퉁 나와 소파에서 꼼짝도 하지 않았다. 


큰딸네 동네가 집도 더 넓고 공기도 더 좋았지만 할머니는 주인 잃어버린 똥개 마냥 불안에 떨며 끙끙거렸다. 빈 집에 할머니를 홀로 두는 것보다 큰딸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게 모두에게 더 나은 일이었다. 가족들이 퇴근하는 저녁 무렵 다시 둘째딸네로 모셔다 드리면 할머니는 그제야 자기 방에 들어가 두 발을 뻗고 드러누워 “하이고 내가 못살아” 하며 서러운 티를 팍팍 냈다. 


그렇게 두어 달이 지났다. 두 달 간의 실랑이 끝에 낮 시간 동안 할머니를 큰딸네 모시는 게 일상이 되었다. 그 모습이 꼭 어린아이를 매일 아침 유치원에 보내는 것 같았다. 자기를 집에서 쫓아낸다고 노발대발하던 할머니는 이제는 큰딸이 도착하면 군말없이 외투를 입고, 지팡이를 짚고, 얌전히 신발까지 신었다. 자신을 버리러 가는 게 아니라는 것도 확인했으니 예전만큼 저항하지 않았다. 


어찌되었건 노인네에게 필요한 건 적막이 아닌 사람 온기가 있는 공간이었다. 매번 못 이기는 척 큰딸을 따라 나왔지만, 이제는 아침마다 내심 큰딸이 오기를 기대하는 것 같기도 했다. 큰딸 집에도 서서히 할머니의 물건들이 하나둘 쌓여, 할머니의 칫솔과 간식과 옷 여분이 구비되었다. 코로나로 혹독했던 겨울이 지나고 봄이 얼쩡거리던 때였다. 


할머니는 빈 집에 우두커니 있는 대신 누군가와 함께 있는 시간을 더 좋아했다. 고여서 흐르지 않던 자신의 시간에 누가 돌멩이를 던져 물결이 일었다. 그렇다고 큰딸네서 큰딸과 살갑게 지내는 것도 아니었다. 대부분 시간을 큰딸은 집안일을 하거나 반찬을 했고, 할머니는 멀뚱멀뚱 소파에 앉아있었다. 어려서부터 딱히 친하다고 하긴 힘든 모녀였다. 여기서도 보지도 않는 TV를 켜놓는 건 여전했다. 


그러나 같은 공간 안에 한 사람이 더 있고 없고의 차이는 어마어마했다. 할머니는 더이상 예전만큼 세상에 홀로 남은 것 같은 적막감을 느끼지 않았다. 가만히 앉아 있어도 도마에 탁탁탁탁 칼질하는 소리나 보글보글 김치찌개 끓는 소리가 들려오는 게 좋았다. 둘째딸네 고층 아파트와 달리 큰딸 동네의 주택 단지는 산으로 둘러 쌓여 수시로 밖에 산책하러 나가기도 적합했다. 


게다가 그곳에서 할머니는 의외로 사위와 티키타카가 잘 맞았다. 둘째딸의 퇴근이 늦는 날은 아예 큰딸네 집에서 이불을 깔고 자기도 했다. 그렇게 큰딸네서 밤을 세는 날에는 사위가 꼭 할머니 먹을 연어회를 사왔다. 젊었을 때부터 연어를 좋아했던 할머니는 이빨이 다 빠지고 나서도 연어회 만큼은 혼자 앉은 자리에서 한 판을 뚝딱 비웠다. 거기에 사위가 “엄니” 하며 한 번씩 소주를 까는 날에는 할머니도 물인 줄 알고 소주잔을 들이켜다 같이 알딸딸 취하기도 했다. 


사위는 몇 안 되는 할머니와 대화가 통하는 사람 중 하나이기도 했다. 뭔가 할머니만의 문법과 단어로 얘기를 하면 사위는 신기하게도 얼추 그 말을 다 알아들었다. 어쩌면 말귀가 통한다기보다 사위가 아무 말이나 해도 할머니가 깔깔 웃는다는 게 더 맞는 표현인지도 몰랐다. 자신과 놀아주고 맛있는 것도 사다주는 사위가 있어 할머니는 큰딸네만 오면 “까꿍까꿍”과 “좋아좋아”를 입에 달고 살았다. 


잘 먹고 사는 걸 인생의 최우선순위로 여기는 큰딸네 집에서 할머니는 통통히 살이 올랐다. 일반 가정집 반찬이라고 믿기 힘들 만큼 매끼 육첩 반찬이 올라왔다. 할머니가 소파에 가만히 앉아있으면 뱃살이 앙증맞게 접혀 고무줄 바지 위에 얹혔다. 둘째딸 집에서는 혼자서 숟가락도 안 드는 할머니였지만, 사람 사이에서 매끼를 챙겨 먹은 덕분이었다. 


할머니를 닮아 손이 큰 큰딸은 빵이니, 과일이니, 요구르트니 간식을 골고루 내왔다. 먹을 것이 없던 보릿고개 시절에도 할머니는 항상 주위사람 챙기는 걸 잊지 않았다. 큰딸이 과일을 내오면 사위와 큰딸 입에도 과일 한 조각이 들어갈 때까지 “얼른 머거”하고 보챘다. 


몇 달 사이 통통하게 살이 오른 할머니를 보고 둘째딸은 밥 좀 적당히 먹이라며 할머니 뱃살을 쪼물딱거렸다. 둘째딸은 자기가 없어도 지나치게 잘 지내는 할머니를 보며 수월하면서도 한편으로 야속한 마음이 들었다. 


할머니는 둘째딸의 손길이 간지러운 듯 깔깔 웃다가 “에이, 이제 고만혀”하며 둘째딸의 손을 쓱 밀쳐냈다. 둘째딸은 그렇게 오랜 시간을 함께 살았는데도 여전히 처음 보는 할머니의 모습을 발견하는 것 같았다. 그러면서도 자기 대신 할머니를 건강하게 보살펴준 언니와 형부에게 자못 감사했다. 


큰딸네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며 할머니는 새 환경에 천천히 적응하기 시작했다. 한 번 도시에 적응한 경험이 있었기에 두 번째 적응은 비교적 수월했다. 


처음엔 “거거 가면 나 밥은 누가 주냐”며 진지하게 걱정하던 할머니였다. 그러나 이제는 다시 집에 데려다 주려고 하면 “왜 자꾸 왔다갔다 하라혀” 하며 오히려 짜증을 냈다. 둘째딸은 이때다 싶어 “엄마, 큰딸네 집에도 놀러가고, 우리집에서도 지내고 그래야지”며 할머니를 달랬다. 


10년 동안 “여기가 엄마 집이야” 하고 둘째딸이 열심히 일러준 덕분에 할머니는 둘째딸네를 자기 집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다 큰딸네서 보내는 시간이 서서히 더 길어지자 좋으면서도 “자기 집”에 대한 개념에 혼란이 오는 듯했다. 


가끔 둘째딸과 큰딸 집을 왔다 갔다 할 때면 “여가 어디냐” 하고 자기 위치를 확인하곤 했다. 혹은 자신을 물건 마냥 이곳저곳에 옮겨 두는 것 같아 불쾌한 기분이 들었는지도 몰랐다. 둘째딸은 두 곳 모두 딸들 집이니까 둘 다 엄마 집이라고 열심히 부연 설명했다. 할머니는 미심쩍고 귀찮아 하는 것 같으면서도 막상 큰딸 집에 도착하면 집주인처럼 이 방 저 방을 휘젓고 다녔다. 




9편에서 계속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