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을밤 Nov 28. 2023

그건 응급하지 않은데요

저는 이만 퇴근할게요

독일에 오래 살았지만 여태까지 '응급했던 사건'을 꼽으라면 급히 병원에 가야 했던 날들이 제일 먼저 떠오른다. 응급으로 병원을 찾았던 게 약 세 번이었는데 두 번은 늦은 저녁과 주말 오전이었던지라 종합병원 응급실외엔 선택지가 없었지만, 나머지 한 번은 퇴근 시간쯤 상태가 좋지 않아서 병원에 가려던 날이었다. 


당시 몇 달 전부터 손목 부분에 멍울 같은 게 잡히기 시작하더니 시간이 갈수록 크기가 커지고 부위에 통증이 오기 시작했다. 병원에 가야겠다고 다짐한 그날은 컴퓨터 타자만 쳐도 통증이 느껴져서 직감적으로 징후가 좋지 않음을 느꼈다.




퇴근길에 들르려고 며칠 전 봐뒀던 정형외과에 급히 연락을 했다. 병원이 아직 문 닫기 전이고 상황이 급하니 기다려서라도 당일 진료를 볼 수 있냐고 물었다. 그런데 전화를 받은 직원의 말투가 상당히 퉁명스러웠다.


"급해요?"

-"네, 급합니다. 통증이 점점 심해져서 일하기가 어려워요."


"저 10분 뒤에 퇴근하거든요. 다음 주에 오세요."

-"네? 급하다니까요. 아파요."


"제가 보기엔 안 급해요. 퇴근시간이니 이만 끊습니다."

-"그럼 제가 뭐 피라도 철철 흘려야 갈 수 있습니까?"


"네 맞아요."


뚜뚜뚜. 


그리고 직원은 전화를 끊어버렸다. 그렇게 병원과 허무한 통화가 끝나자 정말 화가 났다. 독일에 살며 '정기적으로' 열불 나는 일들이 터지는데, 아마 그 해에 가장 크게 분노했던 날이었던 것 같다. 




환자의 통증보다 직원의 퇴근시간이 중요한 나라, 통증의 응급성을 리셉션 직원이 판단하는 나라인 독일!


물론 그 직원의 취지를 이해하지 못한 건 아니다. 독일에서 '응급하다'는 말의 의미는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로 아프거나, 말 그대로 피를 흘려 생명이 위독할 정도의 통증이어야 응급으로 판단한다. 즉 '스스로 병원에 올 수 있고 전화통화를 할 정도라면 응급이 아니니 그보다 자신의 퇴근할 권리'가 더 중요하다는 의미였다. 


이런 독일의 시스템에는 두 가지 이면이 존재한다. 객관적으로 생명에 지장이 있을 정도가 돼야 응급이므로, 그 정도로 위험에 처하거나 지병이 있는 사람들은 우선적으로 진료를 받을 권리가 철저히 지켜진다. 반면 이렇다 보니 중간정도의 응급이나, 통증은 심하나 이를 악물고라도 어떻게든 참을 수 있는 정도라면 응급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그래서 독일에 살다 보면 병을 의도치 않게 쑥쑥(?) 키우는 경우가 자주 일어난다. 


게다가 말로 천냥 빚도 갚을 수 있는 건데 똑같은 말도 정말 얄밉게 해서 그렇지 않아도 아픈 환자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사람들이 곳곳에 빌런처럼 숨어있다. 




아무튼 그날 나는 병원에 가지 못했고 (그다음 주에도 못 갔다), 다른 병원을 찾아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시간이 너무 많이 지체되어 증상이 안 좋아졌다. 결국 수술 외엔 다른 방도가 없다는 진단을 받았고, 약 한 달 뒤 독일에서 처음 수술대에 눕게 되었다. 


만약 그때 직원이 나에게 바로 오라고 했다면 결과가 달라졌을까? 과거에 만약이란 없지만 어쨌든 의료계에 종사하는 사람인데 대처가 참 아쉽고 이기적이었다는 느낌을 씻을 수가 없다. 


제목 및 본문 사진출처: unsplash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