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신화 Jan 29. 2022

동물이 자신의 생각과 판단으로 이름을 결정한다면

  

  로운이가 상어에 대한 책을 읽어 달라며 내밀었다. 오랜만이었다. 마지막으로 읽은 것이 다섯 살 즈음이었다. 그때는 백상아리가 물개를 잡아먹는 장면에 큰 관심을 보였는데, 이제 갓 일곱 살이 되어서는 어떤 것에 흥미를 느낄까?   

 녀석은 여전히 백상아리의 사냥이 나온 페이지에서 한참을 머물렀다. 그리고 전에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페이지에서 새로운 반응을 보이며 장난스레 말했다.

  “이름이 레몬 상어야? 레몬 상어? 흐흐.”

  “응. 여기 등 부분 색깔이 레몬처럼 노란색이어서 레몬 상어라고 하는 것 같네.”

  로운이는 사진을 유심히 보더니 조금 전과는 달리 진지한 말투로 말했다.

  “그럼 얘도 생각이 있고, 판단을 할 수 있으니까 자기 이름은 자기가 결정하겠네?”

  일곱 살이 이런 말을 한다는 자체도 놀라웠지만, 동심의 언어 활용 감각도 새삼 감탄스러웠다. 아이들은 여러 곳에서 접한 다양한 표현들을 차곡차곡 모아두었다가 필요할 때 꺼낸다. 녀석 나름대로 판단했을 때 적절해 보이는 상황일 테지만 어른의 시각으로는 어울리지 않아 보일 때가 많다. 내 시각으로 보면 로운이의 말은 문학 작품이나 청중의 가슴에 울림을 주는 강의에서 나와야 자연스러웠다. 상어의 이름을 두고 그런 말을 하다니! 하지만 분명한 건 로운이의 방식이 매우 멋스럽다는 것이다. 의외성의 힘이리라.

  “물론, 그렇겠지. 우와! 로운아, 정말 멋진 생각이다.”

  “그런데 왜 ‘레몬 상어’야?”

  “그건 사람들이 정해서 부르는 이름인 거지. 아마 바닷속에서는 이 상어가 결정한 이름이 있지 않을까? 바닷속 친구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된 이름으로.”

  “맞아.”     

  로운이 덕분에 물음표들이 머릿속에 피어올랐다. 지금껏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는 궁금증들이었다. 레몬 상어의 실제 이름(인간의 언어가 아닌 상어의 언어로 된 이름)은 무엇일까? 만약 그들이 인간의 언어를 안다면, 자신이 '레몬 상어'라고 불리는 걸 어떻게 생각할까? 혹시 개명을 원하지는 않을까?

  또한, 생명체의 소중함을 다시금 느꼈다. 로운이의 말대로 모두들 생각이 있고, 판단을 할 수 있고, 자기 결정권이 있는 존재들이니 말이다.

  한편, 동물원과 수족관에 있는 생명체들을 생각하니 안타깝고 미안해지기도 했다. 그들은 매일 어떤 기분으로 지낼까? 언젠가 관광지로 유명한 숲에 갔을 때가 떠올랐다. 철조망이 설치된 곳이 있었는데 그 안에는 새 몇 마리가 새 장속에, 다람쥐가 작은 우리에 있었다. 굳이 그곳에 있을 필요가 없었다. 숲 조성이 잘 되어 있어서 조금만 걸으면 새와 다람쥐를 얼마든지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날 봤던 한 장면은 언제고 내 기억 속에 남아 있다. 우리 속 다람쥐가 쳇바퀴를 돌리고 있을 때, 철조망 밖에 다람쥐 한 마리가 다가와 두 앞 발을 들고 서서 코를 씰룩거렸다. 나는 똑똑히 봤다. 쳇바퀴를 돌리던 다람쥐가 멈추더니 철조망 밖 다람쥐를 물끄러미 쳐다본 것을. 녀석도 한때는 우리가 아닌 숲 곳곳을 자유로이 누비지 않았을까? 안타깝기 그지없었다. 나는 녀석을 위해 뭐라도 해주고픈 마음에 그 숲의 관리소에 전화를 걸었다. 내가 본 것을 전하며 철조망을 없애달라고 했다. 그로부터 1년 후, 다시 그 숲에 갔다. 철조망은 여전히 그 자리에 있었고, 나는 혀를 끌끌 차며 씁쓸함을 달랠 수밖에 없었다. 
   부디 그 다람쥐가 숲에서 도토리도 줍고, 나뭇잎을 밟으며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마음껏 내는 날이 오길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밥에게 사랑과 짜증을 보내면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