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허방자 Oct 21. 2024

학교와 자존감

  시험이 끝나고 점수를 확인시켰다. 점수를 보고 만족하며 기뻐하는 학생보다 그렇지 못한 학생들이 훨씬 많다. “실망하지 마라 새삼스럽게. 언제는 잘 봤냐. 원래 시험은 못 보는 거야.” 아이들이 힘을 냈으면 좋겠다.     


  성공한 경험이 쌓이면 자존감이 향상된다. 우리는 성공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갖고 또 다른 도전을 가져간다. 도전에 비록 실패하더라도 경험을 통해 다시 일어날 힘을 얻는다. 그것이 자존감이다. 


    

  학생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낸다. 학교에서의 성공 경험은 대부분 시험, 성적에 기인한다. 그런데 성적을 통해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학교는 사회의 축소판이다. 다양한 개성을 가진 사람들과 어울려 관계를 맺는다. 그 과정에서 배려와 봉사, 리더십 등 자신의 다양한 장점을 발견할 수 있다. 공부가 아닌 다양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그에 대한 칭찬과 인정에 인색한 것이 사실이다. 현재의 학교는 다양한 아이들이 다양한 능력을 발휘하지만 성공 경험을 쌓기가 어렵다.     



  성적이 아닌 다른 능력도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자존감을 키우고 성인이 되어 자신만의 멋진 삶을 꾸릴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성적이 아니더라도 잘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획일된 기준이 아닌 다양한 기준을 가지고 서로의 삶을 인정하면서, 비교하거나 평가하지 않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사회를 만들어 가는 어른들이 더 똑똑해져야 한다. 세상이 변하고 있다. 학력과 학벌의 중요성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예전처럼 뉘 집 아들이 시험을 몇 점 맞았다더라 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살아온 삶이 정말 행복했는지 물어보고 자녀에게도 그러한 삶을 살게 할 것인지를 생각해 봐야 한다. 자녀는 자신이 못다 이룬 꿈을 대신 이룰 도구가 아니다. 공부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 공부만이 살 길이라고 자녀의 자존감을 깎아내리면 안 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시대적으로도 맞지 않고, 교육적으로도 옳지 않다.

작가의 이전글 풀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