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푸른 오리 Jun 08. 2023

사랑의 생애/이승우 장편소설/예담

 -외로울 땐 독서



‘사랑’이라는 말은 너무 흔해서 닳고 닳은 말 같다. 그렇지만 정작 ‘사랑’이 어떤 것이라고 쉽게 정의할 수는 없다. 너무 많은 정의는 어쩌면 ‘정의 불능’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일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런데 사랑의 생애라니!

물론 모든 일에는 시작과 끝이 있다. 그러니 사랑의 시작이 있다면 사랑의 종말도 있을 것이고, 사랑의 시작과 종말, 둘을 묶으면 사랑의 생애라는 말도 가능하겠다. 이런 제목 때문에 호기심이 솟구쳤다.


이 작품은 소설이지만, 형식상으로는 ‘사랑’에 관한 아주 객관적이고 냉철한 관찰 보고서 같다. 그런 아이러니한 형식이 이 작품의 매력이었다.


 사랑에 관한, 작가 나름대로의 치밀하고 독특한 분석에 고개를 끄덕이며 읽는 재미에 빠졌다. 사랑에 관한 그 멋진 분석의 글들을 다만 옮겨본다. 왜냐하면 이 작품에 대해 내가 더 덧붙일 말이 없어서이다.



 사랑하는 사람은 사랑의 숙주이다. 사랑은 누군가에게 홀려서 사랑하기로 작정한 사람의 내부에서 생을 시작한다.
 어떤 사람은 사랑이 마치 물이나 수렁이라도 되는 것처럼, 아니면 누군가 파놓은 함정이라도 되는 것처럼, 난 사랑에 빠졌어,라고 말한다. 사랑이 사람이 빠지거나 잠길 수 있는 것인 양 물화시켜 말하는 이런 수사는 사랑의 불가항력적 성격을 표현하면서 동시에 그에 대한 무의식적인 저항을 암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어딘가에 빠진 사람은 무력하다는 인식이 이 문장의 바탕에 자리하고 있다. 그곳이 어디든, 어딘가에 빠진 사람은 그 스스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매우 곤란한 상황에 놓인다. (9~10쪽)


 사람이 사랑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사람이 빠질 사랑의 웅덩이가 대체 어디 있단 말인가!) 사랑이 사람 속으로 들어온다. 사랑이 들어와 사는 것이다. 숙주가 기생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기생체가 숙주를 선택하는 이치이다. 물론 기생체의 선택을 유도하는, 기생체의 마음에 들 만한 숙주의 조건과 환경에 대해 언급할 수는 있다. 그렇더라도 그 선택이 숙주의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숙주는 자기 몸 안으로 기생체가 들어올 때는 물론 몸 밖으로 빠져나가는 순간까지 어떤 주체적인 역할도 하지 않거나 못한다. 숙주는 기생체가 욕망하고 주문하는 것을 욕망하고 주문한다. 자기 욕망이고 자기 주문인 것처럼 욕망하고 주문한다. 그것 말고는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전에는 하지 않거나 할 거라고 상상할 수 없었던 말과 행동을 사랑의 숙주가 된 다음에 하게 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10~11쪽)


잘 아는 사람이 아니라 모르는 사람에게 끌린다. 아는 사람은 편하지만 매혹의 대상은 아니다. 모르는 사람은 편하지 않지만, 때때로 매혹의 대상이 된다. 아는 사람이 매혹의 대상이 되지 말라는 법은 없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모르는 사람으로의 변신의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안 된다. 매혹은 불편한 경험이다. 매혹당하기 위해서는 전에 알던 사람을 모르는 사람으로 바꾸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30쪽)

 


분명하고 알아듣기 쉽게 고백하기가 쉽지 않다. 사랑하는 자의 말은 불가피하게 우회하는 말이다. 사랑의 말은 직선을 모른다. 아니, 모르지는 않지만 쓰지 못한다. 쓰면 안 되는 건 아니지만 두근거림과 조심스러움, 즉 수줍음이 쓰지 못하게 한다. 직선의 언어는 빠르지만 날카로워서 발화자든 청자든 누군가를 다치게 하기 쉽다. 자기든 남이든 다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사랑이 시작되는 현장에서 직선의 언어는 여간해서는 채택되지 않는다. (48쪽)



 사랑에 대해 두려움을 갖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사랑에 대해 더 진지하다. 더 진지하기 때문에 함부로 하지 않는다. 함부로 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에 시도하지 못한다. 함부로 하는 것은 사랑을 모독하는 것이기 때문에, 함부로 함으로써 모독하느니 아예 하지 않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피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두려움은 멸시가 아니라 공경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싫기 때문에 다가가지 않는 것이 아니라 존경하기 때문에 다가가지 못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다가가지도 못하고 떠나지도 못하는 비극이 그래서 생겨난다. (82쪽)



 사랑의 행위를 하고 있는 사람, 사랑하느라 바쁜 사람은 사랑이 무엇인지, 그것의 근거나 방식이 어떠한지 궁금해하지 않는다. 진정으로 살지 않는 자가 삶이 무엇인지 묻는다. 참으로 사랑하지 않는 자가 사랑이 무엇인지 알고자 한다. 중요한 것은 아는 것이 아니라 ‘삶을 하고’ 사랑을 하는 것이다. 정의 내리는 것이 아니라 경험하는 것이다. 그 속에 들어가는 것이다. 어떻게 해도 정의되지 않는 것이 신이고 삶이고 사랑이기 때문이다. (285쪽)


그대들이여, 이제 사랑이 무엇인지 알겠는가?




매거진의 이전글 인간으로 사는 일은 하나의 문제입니다/김영민/어크로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