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r Kim Jan 11. 2024

되돌아봐야 할 것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자연스럽게 해보는 것이 있다. 이른바 되돌아보기다. 그런데 사실상 매년 반복되는 일이기에 어느 순간부터는 기계적으로 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의미를 찾지 못하기도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이와 같은 시간을 갖는 것이 불필요한 것은 아니다. 바둑에서는 이와 같은 행위를 복기(復期)라고도 한다. 대국이 끝난 후 처음부터 순서대로 다시 두는 것을 의미한다.


복기는 잘잘못을 가리기 위해 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로부터의 배움이자 미래에 대한 준비의 과정이다.


이와 같은 복기를 개인으로 가져오면 성찰(省察)이라고 할 수 있다.


성찰의 방법은 다양하다. 그리고 양(量)보다는 질(質)이다. 즉 얼마나 많은 시간을 성찰의 시간으로 할애했느냐보다는 얼마나 깊이 있는 성찰을 했느냐가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개인이 성찰해봐야 할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자기 자신을 되돌아봐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난 1년여 간의 기록을 살펴봐야 한다. 라이프 로그(life log)라고도 일컬어지는 자신의 SNS가 대표적인 기록이다.


그동안 자신이 어디를 다녀왔고 무엇에 반응을 보였으며 어떤 생각들을 해왔는지 등이 담겨 있을 가능성이 크다.


휴대폰 통화의 상대나 주고받은 메시지 등도 기록 중 하나다. 주로 만나고 연락했던 사람들은 누구인지를 비롯해서 왜 만났는지 등과 같은 내용들을 돌이켜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에서 찾아봐야 하는 것들이 있다. 아쉬움이 남았던 것, 설레임을 느꼈던 것 그리고 호기심이 생겼던 것들이다. 자신의 삶 속에서 이와 같이 느낀 것들은 대개 흥미나 욕구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 하고 있는 일을 되돌아봐야 한다. 이 때 주관적인 생각에 국한되면 안된다. 주관적인 생각은 자칫 스스로를 보호하거나 자기만족에 치우치게 만들 수도 있고 거꾸로 스스로를 비하하거나 불만족스러웠던 일이나 결과를 타인의 탓으로 돌리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고 있는 일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사실과 결과들을 함께 살펴봐야 한다. 가시적인 성과나 인사평가 결과 또는 학점이나 성적 등도 포함된다.


아울러 공식적인 내용은 아닐지라도 주변으로부터 받은 피드백도 놓치지 말아야 할 요인이다. 이와 같은 자료들을 통해 찾아봐야 하는 것들 중 하나는 자신이 하고 있는 일과 관련해서 스스로가 보유하고 있는 강점이다.


그리고 주변에서 자신에게 기대하는 것들도 포함된다. 이와 함께 철저한 분석(deep dive)도 빠져서는 안된다. 이는 개선과 변화 측면에서 유용하다.


셋째, 주변을 되돌아봐야 한다. 주변은 자신의 관심사라고 볼 수 있으며 한 걸음 더 내딛어보면 의미라고 볼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이 관심을 갖고 있거나 의미를 두고 있는 분야나 주제의 뉴스와 책은 물론이고 만나는 사람들도 되돌아봐야 한다.


이를 통해 이슈나 트렌드를 읽어낼 수도 있으며 의미를 공고히 하거나 새롭게 찾을 수도 있다. 만일 그동안 자신이 만들어 놓은 생각과 행동의 울타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면 주변을 되돌아보는 것을 통해 울타리를 넘어설 수도 있고 울타리를 넓혀 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주변을 되돌아봄으로써 자기자신과 자신이 하고 있는 일 그리고 관계에 대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이미 지나간 일을 되돌아본다는 것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큰 의미가 있다.


되돌아보는 것이 배움의 과정이자 방법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되돌아보는 것은 자신의 미래와 관련이 있다.


되돌아봤을 때 발견한 아쉬움이나 설레임 그리고 호기심은 물론, 개선사항이나 의미 등은 앞으로 자신이 내다봐야 할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대충 되돌아볼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 정성껏 되돌아봐야 한다. 그래야 제대도 배울 수 있고 새롭게 시작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되돌아보는 것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결과를 끝맺음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출발점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리고 그동안 해왔던 성찰(省察)을 달리 해보면 사뭇 다른 느낌을 받을 수도 있고 이를 통한 도약의 발판을 마련해 볼 수도 있다.

작가의 이전글 플러스를 추구하는 삶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