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렌 6시간전

어려운 정신적 과제에 도전하는 기쁨

-<원라이너> 12화. 민태기 <조선이 만난 아인슈타인> 독후감



어려운 정신적 과제에 도전하는 과정 자체를 즐기는 법을 배운다.



수학을 왜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으로 수학자 허준이 교수님이 하신 말씀이다.

부끄럽지만 수포자로서 이 말을 들으면서 아픈 탄식이 새어 나왔다.



구립도서관 독서모임에 나가고 있다. 한 달에 한번 있는 모임이고 한 번에 한 권이니 한 달에 한 권, 꽤 여유로운 느낌이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개인적으로 읽는 책이나 다른 일들을 병행하면서 지속해 가려면 분량을 정해서 꾸준히 읽어나가는 충실한 태도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 정해진 독서 목록의 경우, 내가 읽고 싶어서 선택한 책이 아닌 경우도 있어서 잘 안 읽히는 책은 더 읽기가 힘든 경우도 있다. 이번 달 책 <조선이 만난 아인슈타인>이 그랬다. '100년 전 우리 조상들의 과학 탐사기'라는 부제가 달린 이 책은 유체역학 관련한 논문을 발표하고 누리호 및 차세대 발사체 엔진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민태기 박사가 쓴 책으로 1895년 에서 1955년 어두운 시대를 건너온 우리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는데, 역사도, 과학도 기본적인 소양이 부족해서 맥락을 놓치지 않으려면 집중력이 요구되는, 꽤 힘든 읽기였다.



분량이나 내용면에서 매우 방대하고, 새롭고, 깊은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소화하기 힘든 면이 있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사실들의 설명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 있듯이 암울한 현실 속에서도 결코 무기력하지 않고, 극복하고자 노력했던 우리 선조들의 열정에, 어두운 시대를 최선을 다해 건너온 우리 과학자들의 용기에, 가슴이 뜨거워지는 장면들을 여럿 만날 수 있었다.

가령, 이런 대목이다.



일제강점기, 우리 선조들은 나라 잃고 떠도는 유대인에게 동질감을 느끼고 있었다. 그런데 유대인은 이스라엘이라는 '국가'보다 '대학'을 먼저 설립한 것이다.

대체 아인슈타인이라는 과학자가 어떤 인물이길래, '상대성이론'이 얼마나 대단하길래 나라도 없는 터에 대학을 세우는지 궁금해했다. 그 이후 갑자기 아인슈타인에 조선 사회의 관심이 쏠리기 시작한다.

식민지가 된 조선에서 비로소 모두가 새로운 학문에 대한 교육, 즉 과학을 외쳤고, 해결책은 오로지 과학이었다. 나라를 뺏긴 이유가 서구의 과학기술에 무지했기 때문이라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었다.


과학은 말만이 아닌, 이념이 아니라 생생한 현실 현실이기에, 과학을 하려면 제대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학이 조선의 살길이라는 것은 명백했고, 조선의 지식인들 사이에 '과학을 배우자'라는 구호로 이어졌다.

이러한 요구는 3.1 운동을 거치며 더욱 절실해졌으며 1920년 한규설, 이상재 들의 주도로 설립된 '조선교육협회'로부터 본격화된다. 이들은 일반 대중의 교양 수준을 올리기 위해 교육 기회를 더 보장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확대가 필수적임을 알고 있었다.

이처럼 교육을 통한 민족 화복에 온갖 노력을 기울이던 무렵, 나라 잃은 유대인 과학자가 이끈 대학 설립 소식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 만했다. 특히 '상대성이론'이 단순한 지식이나 과학에 머무른 게 아니라 세상을 움직일 정도로 영향력을 가졌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이 책은 잘 알려지지 않은, 시대의 비극으로 역사 속에 묻혀버린, 그러나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기록이다. 오염된 이념으로 과거를 재단하기보다 그들이 어떤 삶을 살았든, 그 흔적 자체를  존재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걸러지지 않은 날것으로 과거를 살펴야 현재를 제대로 알 수 있고, 그래야만 끊어진 이야기를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미래는 기억하고 기록할 때 비로소 만들어진다.



에필로그에서 요약하고 있는 문장대로 세계의 역사, 민족의 역사처럼 개인의 서사도 가감 없이, 날것 그대로 기억하고 기록하면서 미래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생각을 해본다.

불편한 기억은 억압하고 좋은 것만 인정하려는 선택적 기억, 어려운 것은 회피하고 쉽고 재미있는 것만 하려는 나약한 정신으로는 진정한 의미의 성장을 이루기 어렵다.

스스로 선택한 고통, 행복한 고통을 통해서만 단절되지 않고 연결되는 혁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재생의 욕조> 후원 페이지 가기

https://tumblbug.com/rebath0



 텀블벅 크라우드 펀딩은, 이미 제작된 종이책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시안으로 된 작업물을 공개하고, 책 값을 후원 방식으로 선지불하시면, 그 자금으로 인쇄를 해서 차후에 보내드리는 방식입니다.


 강가 출판사와 함께, 종이책을 원하는 대로, 마음껏 제작하는 우리만의 출판 지형을 만들고자 실험 중입니다. 많은 관심과 성원 바랍니다.


이전 11화 나는 나를 사랑한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