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재미있는 책이 아니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병원에서 몇 년째 사는 나를 위해 일요일이면 아내가 병원 근처로 와서 함께 저녁을 먹곤 한다.
오늘은 크리스마스 연휴의 시작이기도 하여 조금 그럴싸한 계획을 잡아 보았다. 병원과 처갓집(아내가 아이들과 함께 얹혀사는)의 중간쯤 되는 광화문 교보 문고에서 만나서 덕수궁 옆의 서울 시립 미술관을 들러볼 계획이었다. 미술관 관람 후 미술관에서 멀지 않은 한식당 달개비에서 근사한 저녁을 먹는 코스. 내 처지에는 과분하지만 연말이니까 그 정도 사치는 부려도 될 것 같았다.
그러나 교보 문고에서 아내를 만나 간단한 눈요기를 하고 나오는 순간 내 계획은 다 헝클어졌다. 아내가 동대문 곱창이라고 불리는 돼지 곱창을 먹고 싶다고 비수와도 같은 한 마디를 날렸다. 아내는 젊은 시절에는 마음씨도 순하고 내가 하자는 대로 다 하던 토끼 같은 사람이었는데 나이가 들어서는 고집불통이 되고 내 주장은 거의 먹혀 들어가지 않게 변했다. 내가 내 주장을 굽히지 않고 우기면 처음 계획한 데로 미술관을 가고 근사한 식당에서 저녁을 먹을 수도 있지만 아내의 바람을 거절하면 별로 뒤끝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아내의 생각대로 하기로 했다.
아내가 안내한 곳은 종로 5가에 있는 돼지 곱창집이었는데 40년 전통의 집이라고 한다. 주말 저녁이라서인지 앉을자리가 별로 없이 북적거렸다. 반면 바로 옆의 곱창 집은 손님이 거의 없이 파리만 날리는 처지였다. 손님도 하나 없이 잘되는 옆집을 물끄러미 쳐다보는 주인아주머니의 얼굴을 멀리서 보니 남의 일 같지 않게 안쓰러운 마음이 든다. 그래도 손님이 없는 집은 잘 안 들어가게 되어 아내가 안내한 곱창집으로 들어갔다. 나름 유명하다는 그 우리 곱창이라는 곱창집은 아내가 전에 등산 모임의 사람들과 함께 와서 먹었던 집이라고 한다. 맛이 있어 얼마 전 혼자서 와서 한번 먹고 싶었는데 혼자서는 먹을 용기가 나지 않아 나를 끌고 가기로 한 것이었다. 나는 혼자서도 잘 먹는데....
저녁을 계획에도 없이 엉망으로 망친 것이 미안했는지 아내는 맛있는 커피를 사주겠다며 내 소매를 잡아끌고 앞장을 섰다. 을지로 3가에 있는 커피집인데 종로 5가에서 을지로 3가까지 걸어서 갔다. 걷는 것을 싫어하는 나를 그 정도 거리까지 끌고 가는 것을 보니 대단히 자신이 있는 모양이다. 한참을 걸어 도착한 커피숍은 정말 예상 밖이었다. 커피숍으로 들어가는 길은 사람 한 명이 간신히 지나갈 정도의 넓이이고 밖에서는 간판도 출입구도 보이지 않는다.
전에 다녀본 적이 있는 북한산의 숨은 벽 능선과 같다고 해야 할까? 일부러 숨겨 놓은 집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다. 들어가는 길이 건물 사이의 자투리 공간이라 도저히 길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웠다. 나 혼자 지나는 길이었다면 당연히 그냥 지나쳤을 만한 길이다. 그런 골목이라 부르기도 초라한 공간의 한 벽면에 가게 간판이 붙어 있다. 커피 한약방이라고 한다. 한약방이라는 이름 때문에 커피에 산삼 같은 한약이라도 섞었거나 아님 설탕 대신 감초라도 넣었나 싶었지만 한약과는 관계없다고 안내문에 쓰여있다. 다만 그 장소가 동의보감을 지은 허준 선생님이 근무하던 혜민서 자리여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간판의 모습에서 이미 눈치를 챘지만 안은 정말 상상 이상 있다. 좋은 말로 하면 고색이 창연했고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골물이 줄줄 흐르는 모습이었다. 거저 주어도 가져가지 않을 만한 꼬질꼬질한 골동품으로 안을 장식했고 천장은 시멘트가 떨어져 골조가 드러나 보였다. 아마 그런 콘셉트로 일부러 그렇게 한 듯 싶다. 족히 100년은 넘었음직한 건물이었다. 커피의 맛에 대하여는 난 잘 모르는데 아내의 말로는 맛이 기막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커피를 마시면서 시간을 눙치는 동안 꽤 많은 사람, 특히 유행을 안다 싶은 젊은 청년 숙녀분들이 다녀갔다. 개중에는 나처럼 멋이라곤 전혀 없는 중늙은이 같은 사람도 있었다. 커피 한약방의 건너편에는 양과자를 파는 역시 고색창연한 빵집이 있다. 빵집의 2층이 쉬기 편하다는 아내의 조언에 따라 50년대 극장식 의자와 송대의 나무로 판들었다는 탁자도 있는 곳에서 차 한잔과 케이크 한 조각을 먹었다. 나로서는 다시 가보고 싶은 집에 속한다고까지는 하기 어렵지만 모르는 사람에게는 한 번쯤 소개하고 싶기는 하다. 아직도 이런 건물이 남아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의미로, 그리고 이런 건물을 활용한 커피 집을 차린 아이디어의 기발함을 기리는 의미로 말이다.
사실 글에서 아내와 아이들 이야기는 별로 하지 않으려 했는데 어쩔 수 없다. 작년에 내가 출연한 KBS 다큐 공감 "어느 분만 의사의 1년"이라는 방송에서도 아내가 완강히 거절해서 끝내 아내와 함께 하는 모습은 담지 못했다. 그러나 이것은 글이니 굳이 아내의 허락을 얻지 않아도 담을 수 있다. 그런 점에서는 글이 요즘 영상 매체에 의해 밀려나서 인기가 없어지는 점에도 불구하고 장점이 있다.
오래전 은평구에 처음 개업했을 때는 병원과 집이 함께 있어서 아내는 3층 살림집과 1, 2 층 병원을 왔다 갔다 하면서 두 집 살림을 맡아했다. 아내는 간호조무사 자격도 있다. 산부인과 분만실 직원은 지금이나 그때나 항상 부족하기 때문에 직원이 갑자기 그만 두어 결원이 생기면 아내가 분만과 수술도 도와야 했기 때문에 아내가 조무사 자격을 따도록 했다. 내 아내만 그런 것이 아니라 예전에는 산부인과 의사들의 부인은 그런 사람이 많았다. 병원 원장의 부인이라면 손에 물도 안 묻히고 사는 것 아닌가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는데 그런 사람도 있겠지만 대체로는 오히려 더 험한 일도 많이 해야 한다. 청소 여사님이 없을 때는 피가 묻은 빨래도 마다하지 않고 해야 한다.
그러나 나는 결국 그 고생을 아름답게 추억할 수 있게 만들어 주지 못했다.
예나 지금이나 가정을 꾸려 나가고 아이들을 키우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 남편이 가장으로 벌어오든 맞벌이를 하든 아내가 혼자 벌든 누군가는 벌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장이 돈을 벌어 오지 못하는 것은 가정으로서 보아서는 끔찍한 일이다.
오래전 출근하는 나에게 아내가 했던 말이 문득 생각이 난다.
"돈 많이 벌어와."
옛날 선사 시대라면 이렇게 말했을 것이다.
"꽬 ㅁㄴ어 ㄹㅂㅈ데ㅍ폫ㅉ쫀에ㅔ옐"
이 말의 뜻은 "물고기 많이 잡아와"라는 의미다. 농담이다.
의사의 부인 중에는 남편과 다르게 강단이 있는 사람들이 많다. 내가 알기로 지금 중형 이상의 분만 전문 병원들은 병원을 개설한 원장에 못지않게 부인의 역할을 크다. 의사는 그저 진료에만 집중하고 병원의 경영은 부인이 하는 곳들이 많다. 일종의 행정 부원장 같은 식이다. 심지어는 직원의 면접도 원장의 부인이 함께 참여하는 곳도 많다고 들었다.
나는 고집이 세서 아내가 병원 경영에 일체 참여하지 못하도록 했다. 진료 수가에 대하여 간섭하는 것도 용납하지 않았다. 벌어 놓은 돈이 있다면 재테크라도 할 수 있었겠지만 그런 돈은 없었다. 결국 자신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으면서 병원 경영을 힘겹게 끌어가는 내 모습을 보던 아내는 어느 날부터는 병원 경영에 일절 관여하지 않았다. 물론 상담 실장이라는 이름으로 병원에 나와 이것저것 잡무를 보던 것도 중단했다. 아마도 그때부터가 병원 경영이 더 힘들어진 시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모든 일에는 때가 있고 기회란 항상 오는 것은 아니다. 내가 빚쟁이 의사가 되지 않을 수 있던 기회가 아마 그 무렵에 사라졌을 것이다. 이미 능력 없는 가장이 되고 만 지금은 전세 역전이 되어 나는 아내의 말이라면 꼼짝하지 못하고 거의 듣는 편이다. 호랑이는 쥐가 되었고 토끼는 호랑이가 되었다. 나는 쥐띠고 아내는 호랑이 같은 토끼띠다.
외젠 드라크루와는 프랑스의 낭만주의 화가다. 1만 점이 넘는 작품으로 다작을 한 화가라는데 그의 그림 중에는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이 제일 많이 알려져 있다. 이 그림은 신화 속에 나오는 자유의 여신과 실제 일어난 사건을 결합한 역사화의 일종이다. 1830년 프랑스 파리에서 일어난 7월 혁명을 그렸다고 한다. 혁명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은 자유, 평등, 박애를 상징하는 프랑스 삼색기를 흔들면서 권총을 든 소년, 일반 시민들과 함께 시체더미를 넘어 자유를 향해 전진하고 있다. 이 그림에서처럼 아내가 그렇게 마음껏 자신의 생각을 펼칠 기회가 있었다면 우리 가족의 모습도 좀 바뀌었을까?
-여기 실은 그림-
외젠 드라크루와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