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씩씩 Dec 15. 2017

20171017 어떻게든 흘러가겠지

 

오늘의 선곡: https://www.youtube.com/watch?v=Cx4Y68LO_t8

장기하와얼굴들 - 이젠 그랬으면 좋겠네

 

 열심히 계산기 두드리며 문제를 신나게 풀다가 답이 맞지 않는 문제들이 연달아 나왔고, 급 짜증이 밀려와 이불 속으로 피신을 했다. 한참을 이불 속에서 영상을 보고 나와서 다시 책상 앞에 앉으려니, 도대체 나는 왜 이걸 하고 있나 싶은 마음이 들었다. 시험 기간마다 늘 생각했다. 누가 대학 가면 자기가 하고 싶은 공부만 할 수 있다고 했나계산기 두드리며 문제 푸는 건 내가 꿈꿨던 미래에는 전혀 없었는데답을 찾아가는 과정 자체가 재미있게 느껴질 때도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그렇게 한참을 정신없이 문제를 풀다 보면 이걸 왜 하고 있나 싶다. 그럴 때마다 그런 생각을 한다. 하고 싶은 것을 하고 싶어서, 그걸 위해서 그렇게 학창 시절을 보냈던 것 아니었나. 내가 가 본 길을 제외하고 다른 길로는 가 보지 않았으니, 내가 포기한 것들이 얼마나 반짝거리는 것들인지 잘 모르겠다. 다른 사람이 봤을 때는 재미있는 게 도대체 뭐가 있냐 하는 일상 속에서도 내 자신은 행복하다 느꼈으니까, 그렇게 지나온 학창 시절에 대해 아쉬움이 남는 건 없다. 그래서 이걸 하려고 내가 열심히 살았나, 그런 느낌이 들지는 않는다. 대신에 그 당시에는 '하고 싶은 것'이 일종의 빛이었고 나를 지탱해 주는 큰 힘이었는데, 하고 싶은 것이 명확히 존재했기에 지금 내가 여기에 있는 것인데,  막상 그걸 못하고 있구나, 이런 기분이랄까. 이러다가도 나중에 써 먹을 만한 네임 밸류를 가지면, 그래도 그러길 잘했지 하려나. 과연 써 먹을 만한 건지도 모르겠고, 이렇게 해서 써 먹을 만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도 모르겠고. 이건 자괴감이라기보다는 그냥 순수한 고민에 가깝다. 

 안정기이긴 한가 보다. 뭐 이런 생각을 해도 우울한 게 아니고, 순수한 궁금증의 느낌으로 다가오다니. 듣고 싶은 수업들을 우겨 넣었던 이번 학기는 그 어떤 학기보다 만족스러웠기에, 조금 더 하고 싶은 일들이 의무가 되는 전공을 택했더라면 조금은 더 즐겁고 열과 성을 다하고 싶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지만 아무리 좋아하는 일도 지쳐 버리면 아무 것도 안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느리게 가더라도 지치지 않으려고 애써 왔다. 무너지지 않으려고. 빠르게 달리다가, 지쳐서 주저 앉아 버리는 사람들을 너무나 많이 봤다. 그래도 지쳤을 때 지친 것을 인정하고 쉬어가기를 택할 줄 아는 사람들이라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지쳐서 주저 앉는 게 두려워 아예 지치지 않을 만한 속도로 살아가야겠다고 늘 생각해 왔지만 요즘은 한 발 물러서게 되었다. 지쳐도 괜찮고, 쉬어가도 괜찮다고, 그렇게 말하게 된 것 같다. 그렇지만 여전히, 괜찮지 않은 상태가 오는 게 너무 두렵다. 그 괜찮지 않은 상태가 오는 건 별스러운 일이 아니고, 그렇기에 괜찮지 않은 상태가 와도 괜찮다고 생각하면서도 상상만으로도 두렵다. 내게 바닥은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좋아하는 것이고 뭐고 다 놓아 버리고 싶은 순간이 오는 것은 너무 끔찍하니까. 모든 것을 다 놓아 버리고 싶어지면, 어떻게 해야 다시 행복해질지 감도 오지 않을 것 같았다. 좋아하는 것을 오래 좋아하고 싶다고, 굳이 '오래'에 집착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었다. 행복하지 않은 순간이 오더라도 행복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거기에 남아 있었으니까. 좋아하는 것을 잃고 싶지 않다. 이렇게 생각하면서도 어쩌면, 그냥 다른 이유 없이 멈추는 것 자체가 두려운 걸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다. 계획해 두었다가 쉬어가는 것과, 어쩔 수 없이 고장나서 쉬어가는 것은 명백히 다르니까. 

 늘 강박에서 벗어나고 싶다 생각하면서, 늘 생각하다 보면 이것도 강박인가 싶은 게 너무나 많다. 그냥 어디인가에나 잘 맞는 사람이 될 수 있었던 건, 그만큼 많은 프레임 속에 나를 잘도 끼워 맞췄다는 말일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그렇게 사는 게 뭐 어때서, 그렇게 살면 안 될 건 또 없지 않나 싶기도 하고, 그냥 살고 싶은 대로 사는 거지, 싶다. 늘 하고 싶은 것과 해야 하는 것의 균형을 잃지 않고 살아 왔다. 그래서 양쪽 다 나쁘지 않은 결과를 얻어 왔고, 그 속에서 만족하면서 살아 왔다. 하지만 그건 그 어떤 것에도 제대로 올인하지 못했다는 말도 되니까, 그렇게 계속 살아가도 되나 싶기도 했다. 10대 때의 나는, 입시만 지나고 나면 내가 하고 싶은 일에 올인하며 살 줄 알았으니까. 고작 몇 년 전일 뿐인데, 그때의 나는 왜 현실과는 거리가 먼 이상을, 이상인지 몰랐던 걸까. 이상이 현실이 될 것이라고 굳게 믿었던 걸까. 로망이나 기대 같은 건 없는 사람인 줄 알았는데, 자잘한 로망이 많은 것 대신, 이상이 현실이 될 것이라 믿고 꿈꾸고 동경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물론 그런 이상들은 황당무계한, 아예 거리가 먼 이상은 아니었고, 이제는 동경 대상도 아닐 만큼 가까워져 있다. 그렇지만 가까이에서 볼 수 있게 되자 현실적인 문제가 함께 보이고, 과거에 바라봤던 것처럼 마냥 멋있다든지 하고 싶다든지, 지금 당장 뛰어들고 싶다 이런 맹목적인 열정은 사라지게 되었다. 그래서 지금은 그 문제들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게 되면서도, 동경하던 마음은 여전히 남아 하고 싶다는 열망은 완전히 놓지 못하는 그런 상태다. 어떻게든 흘러 가겠지, 라고 생각한다. 어떻게 되었든 내 자신을 믿을 수 있을 만큼으로 인생을 꾸려 왔다는 것만으로도 지금까지 괜찮게 살아온 게 아닐까 싶고. 그 와중에 옛날 노래가 좋아서 감탄하는 중이다. 옛날 노래의 익숙하고 포근한 느낌이 좋다. 다락방에서 이불 뒤집어 쓰고 있는 기분. 밖은 추운데 안은 따뜻한, 난로 앞에서 손을 녹이는 기분. 


매거진의 이전글 20170927 방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