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초이 Aug 14. 2022

11. "외진 가고 싶습니다"

아상(我相)과 삼륜공(三輪空), 무심(無心) 

#20220727 #아상 #삼륜공 #무심


 그 친구를 3번째로 봤을 때였다. 처음은 신병 정밀검사에서 불안하다고 와서 항우울제와 신경안정제를 쥐어서 보냈고, 두 번째도 불안하다고 왔는데 약은 안 먹었으며, 비약물적인 치료로 증상을 조절하고 싶다고 했다. 나는 이 친구가 입대와 군대의 강압적인 분위기 등으로 인해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잘 안 쉬어지는 등의 공황 증상이 계속 있는 것으로 판단해서 약을 처방했던 거였는데, 안 먹고 왔다니 일단 화가 불쑥 났다. 그러나 이유라도 들어보자는 생각에 화를 누르고 다시 물어보니, 신경안정제만 한 번 먹어봤는데 너무 까라져서 안 먹었다는 거다. ‘그래, 약에 한 번 데이면 먹기 싫을 수 있지.’ 그를 이해하려고 하면서, 다시 한번 “약이 증상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은데 까라지는 약은 뺄 테니 그래도 안 먹을 거냐?”라고 물어봤다. 그래도 안 먹겠다기에, “그럼 나는 방법이 없다. 공황의 비약물적 치료를 공부해올 테니 다음에 다시 오라”라고 했다. 


 그 뒤로 교과서를 한 번 찾아보았으나 뾰족한 수는 없었다. Progressive relaxation 정도? 교과서에 나온 표를 캡처해놓고는 나중에 봐야겠다며 미뤄두었다. 


 그 친구는 오라는 시간에 안 오고, 두 번째 외래 이후 일주일 뒤에 왔다. 진료실에 들어와서는 다짜고짜, “계속 불안하니 외진을 가고 싶다.”라고 했다. ‘이건 또 무슨 외진 타령이지?’ 싶어서 왜 가고 싶냐고 물어보니, “밖에 나가서 '전문적인' 진료를 보고 싶다”라고 했다. ‘네 눈앞에 있는 나도 전문의란다’라는 생각에 또 화가 불쑥 났다. 올라오는 화를 꾹꾹 누르고는 “밖에 나가서도 선생님이 약 먹으라고 하면 어떡할래?” 하고 물어보니, 그래도 전문적인 진단을 받고 싶단다. 


 ‘네가 날 못 믿겠다면 어쩔 수 없지.’, ‘네가 그렇게 해서 마음이 편하다면야.’ 이런저런 생각을 하면서도, 그래도 기본적인 정신상태 검사는 해야 하니까 물을 걸 다 묻고 외진 소견서를 써주는데, 그때까지도 무시당했다는 생각 때문이었는지 분이 안 풀려서, 전문적인 진료라는 말에 큰따옴표까지 쳐서 써줬다. ‘다음에 오면 실컷 비꼬아줘야지’, ‘진료 안 보고 싶다’, ‘다음번에도 외진 보내고 싶다’ 이런 생각도 마구 들었다. 


 생각에 생각이 꼬리를 물었다. 그그하 그그하. 그냥 그러려니 하자. 너도 끌려왔고 나도 끌려왔으니 피차 괴롭겠지. 그래. 차라리 나간다고 하니 내가 계속 진료 안 봐도 되고, 그게 낫지 뭐. 




 이게 다 내가 ‘전문의’라는 상(相)에 갇혀 있어서 무시당했다고 느꼈기 때문이리라. 팩트는 이것들 뿐이다. ①훈련병의 불안, ②치료자인 나는 비약물적 치료 잘 모름, ③외진. 거기에 다른 감정들은 다 부가적인 것들에 불과했다. 내 자만도 부가적인 것이지. 여기에서 포인트는 그 친구의 불안 및 공황 증상을 낫게 하는 거였지, 내 자존심을 지키는 게 아니었는데. 


 자만(自慢)이었구나, 아상(我相)이었구나. 실은 나도 없고 너도 없고, 진료하는 행위도 없는 것인데. 그저 그사이의 마음만이 남는 것인데 나는 또 한 번 마음을 못되게 써버렸구나. 괴로워하는 사람이 편안해지는 게 중요한 거고, 거기에 내가 어떻게든 도움이 된다면(직접 치료하든, 병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을 소개해주든) 그거에 만족하면 되는 거였는데 쓸데없는 마음까지 내었구나. 


 덕분에 내 자만을 알고, 진료에 삼륜공(三輪空)을 적용할 생각을 했으니 그거로 만족해야지. 실패에도 성공에도 매이지 말고 그냥 계속 부딪히는 것. 무심(無心)이 이런 경지일까 감히 생각해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에 관하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