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준유 Oct 13. 2023

이별까지도 연애의 과정이다

 연애 서사는 대개 ‘만남부터 끝’까지를 다룬다. 어떻게 만나서, 어떻게 사귀었고, 그래서 어떻게 헤어졌는지. 서사의 4단계처럼, 연애 또한 기(만남)-승(사귐)-전(만나고 다툼)-결(헤어짐)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연애 서사에서는 이별 이후를 다루는 경우는 드물다. 이별의 후폭풍까지 지난 뒤, 이별 이후의 삶은 대개 세 가지 결과로 나뉜다.  “그런 쓰레기 새X랑 헤어져서 다행이야.”, “아직도 잊지 못했어.”, “감정이 모두 사라진 건 아니지만, 이젠 괜찮아.”


 그런데 이 감정들은 자세히 들여다보면 마치 여행 이후에 느끼는 감정과도 닮았다는 사실. 한바탕 즐거운 여행을 다녀온 뒤에 우리의 반응 또한 세 가지로 나뉜다. “최악이었어.”, “기회만 있으면 다시 가고 싶어.”, “좋았지만, 그 기억으로 잘 살아가야지.” 이별 이후의 반응과 상당히 유사하다.


 따라서 연애도 일종의 여행이라고 가정한다면, 이별을 연애의 과정에 넣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여행을 다녀온 뒤 금액을 정산하고, 느낀 점을 정리하고, 친구들과 추억을 나누며 다시금 그때를 기억하듯이. 다시 말해, 이별 직후는 물론, 이별 이후도 연애의 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는 뜻이다.


 행복했던 여행과 좋은 여행은 조금 다르다. 그저 마냥 즐거웠던 여행은 당시에는 즐겁지만, 시간이 지나면 곧 휘발된다. 딱히 그 여행으로 말미암아 바뀐 것도 없다. 반면 좋은 여행은, 당시에는 힘들고 괴로웠을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면 오랜 추억이 된다. 여행으로 말미암아 내 생각과 사고, 나아가 가치관이 바뀐다. 연애도 마찬가지다. 행복한 연애도 있지만, 좋은 연애도 있다. 그리고 좋은 연애는 연애의 과정보다도 연애 이후, 즉 헤어진 다음이 더 중요하다. 이별은 괴로웠을지 몰라도 그 사람과의 연애가 내 생각과 사고, 가치관을 (조금이나마 긍정적으로) 바꾸었다면, 그것은 분명 좋은 연애라고 할 수 있으리라.


 이별 이후의 삶까지도 연애에 포함한다면, 그 연애의 끝은 언제일까. 성급하게 ‘다음 연애가 시작하는 순간’이라고 정의 내리면 안 된다. 전에 했던 연애로 말미암아 나의 가치관이 변화했다면, 다음 연애 또한 이전 연애의 연장선상에 포함될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반대로 생각해야 한다. 진정한 연애의 끝은, 그 연애의 결과가 나에게 완전히 흡수되어 변화된 삶이 더 이상 변화된 삶으로 느껴지지 않을 때 찾아온다. 다시 말해, 변화된 삶이 완전히 나 자신이 될 때 그 연애는 끝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가령 전 연인이 돈까스에 마요네즈를 뿌려 먹길래 나도 몇 번 따라 해 보았을 뿐인데 언젠가부터 돈까스에 마요네즈를 뿌려 먹는 것이 진심으로 맛있다는 생각이 들 때, 더 이상 그게 (전) 연인이 좋아했던 취향이 아니라 내 취향이 될 때, 그 연인과의 연애는 종결된다.


 이별을 겪은 사람들에게는 ‘시간이 약’이라는 말을 하곤 한다. 정말로 시간이 지나면, 열렬히 사랑했던 연인이 조금도 기억나지 않을 만큼 잊힌다. 그런데 왜 시간이 지나면 잊히는 걸까. 부분적으로는 헤어진 연인에 대해 망각해서겠지만, 한편으로는 낯설었던 그 사람의 취향과 습관과 행동과 가치관이 나에게 스며들었기 때문일 터. 즉, 내 안에 이질적이었던 ‘당신’의 요소가 완전히 사라질 때, 우리는 비로소 헤어진 연인과의 연애가 완전히 종결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사랑은 서로 닮아가는 것이다. 우리가 결국 연인과 헤어지는 이유도, 서로 결코 닮아갈 수 없는 지점, 평행선과 같은 지점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 이상 닮을 수 없는 지점을 발견했다는 이유로 헤어졌다면, 거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야 한다. 왜 나는 당신을 사랑하는데 당신을 닮을 수 없는가, 왜 당신은 나를 사랑하는데 나를 닮을 수 없는가. 나의 욕심 때문인가, 자라온 환경 때문인가, 가치관 때문인가, 쓸데없는 자존심 또는 고집 때문인가.


 이별을 갈무리하는 과정은 불필요한 자기연민이나 자기혐오를 극복하게 해 주고, 정말로 나에게 중요한 가치관은 무엇인지 깨닫게 한다. ‘당신과 닮았지만 이제는 나인 것’을 포섭하고 ‘원래부터 나인 것’을 찾게 되었을 때, 그리하여 예전의 나에게는 새롭지만 지금의 나에게는 더 이상 새롭지 않은 ‘내’가 탄생할 때, 종전의 연애는 완전한 끝을 맺는다.


 헤어졌다고 연애가 끝나는 것이 아니다. 만약 그 이별에서 어떠한 갈무리도 하지 않은 채 지나갔다면, 직전의 연애는 끊임없이 다음 연애에 (악)영향을 미친다. 헤어짐을 극복하는 방법은 헤어짐을 직시하는 것이다. 자신을 불로 태워 타버린 재 속에서 다시 태어나는 불사조처럼, 변화한 자기 모습을 받아들이는 것이야말로 연애를 종결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BingImageCreator #여행길


이전 27화 겨울이 오면 여름의 고통은 잊히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