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지이 Oct 19. 2023

닮은 사람을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가족

자,


  내가 선택하지 않은 가족이 있다. 남해 출신으로 축구와 등산을 좋아하는 공돌이 출신 사업가 아버지와 진주에서 태어나 명문고를 졸업했으나 집안 사정으로 대학은 다니지 못하고 가정 주부로 한평생을 살아온 어머니. 노래에 재능이 있었지만 취미와 생계를 비교적 냉정하게 분리하고 국내 최대 식품회사에 취업한 누나. 남편과 아내, 딸 하나, 아들 하나라는 20세기 인류 문명의 표준과도 같은 4인 가족이다.

 

  평균 이상으로 공통의 유전자를 공유하는 혈연 가족의 구성원들은 참 닮은 점이 많다. 아버지와 나는 키도 체형도 비슷하고, 친척들의 증언에 따르면 전화를 받는 목소리는 거의 똑같다고 한다. 웜톤의 피부를 공유하는 아버지와 누나, 쿨톤의 어머니와 나처럼 서로 편을 갈라 닮는 경우도 있다. 네 사람은 먹성도 기호도 체질도 비슷해서 조금만 방심하면 금방 살이 찌는 것마저 닮았다. 서로 아끼고 사랑하지만 행동이나 말투는 다정하지 않은 것도, 서로 싫은 소리를 해도 그리 오래 담아두지 않고 금세 헤헤거리는 것도 비슷하다.

 

  닮은 사람을 사랑하지 않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다만, 마음을 주면서도 나는 늘 겉돌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거기에는 취향의 이질감, 또는 그 차이를 만들어낸 가치관의 차이가 있었다.


  가장 상징적인 장면은 내가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일 때 주말 저녁마다 반복되었다. 부모님과 누나가 TV앞에 모여 주말드라마를 보며 하하 호호 웃음꽃을 피우고 있으면, 나는 혼자 방에 들어가 음악이나 라디오를 들었다. 온 가족이 함께 영화를 볼 때면, 혼자 지루해하거나 혼자 감동을 받는 일이 반복되었다. 스무 살이 가까워졌을 때부턴 사회적인 이슈가 밥상머리에 올라올 때마다 1:3으로 배틀이 붙곤 했다. 여러 사회 집단에서의 경험은, 나를 제외한 나의 가족들이 나보다는 더 중심에 가까운 사람이라는 걸 알려주었다. 그래서 늘 세상의 가장자리를 걷는 기분으로 살아왔다.

 

  내가 선택한 가족과 함께한다는 것은 삶의 원심력을 다시 설정하는 것과도 같다.


  가치관을 공유하는 남편과 아내. 그리고 그 두 사람과 이상하리만치 삶의 태도가 닮은, 길거리 출신이면서도 우아하고 순한 겁쟁이 강아지. 이렇게 셋이 내가 선택한 지금의 가족이다.

 

  이 가족에는 가장자리가 없다. 늘 함께이기에 모두가 일상의 중심이 된다.





자.


  결혼 초기였다. 부모님과 언니 가족과 함께 짧은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던 차 안에서, 남편이 내게 말했다.


"장인어른은 당신 스스로가 ‘아빠’인 게 너무 좋으신 가봐."

"응? 그게 무슨 뜻이야?"

"아, 사위인 내게도 몇 번이나 '아빠는' '아빠가 해줄게.'라고 하시더라고. "


  아빠의 '아빠가 말이야'에는 특별한 힘이 있다. 아빠의 말속엔 어딘가 나만 믿고 따라오라는 듬직함이 실려있다. 이를테면 비바람이 부는 궂은날 앞서 걷는 자의 너른 등판에 몸을 숨기고 걸을 때 느끼는 순간적인 아늑한 기분이랄까. 혹은 '어머님은 짜장면이 싫다고 하셨어'라는 노래 가사가 함축한 희생과 양보의 상징과도 같은 부모님의 삶이 압축된 표현이랄까.


  아빠는 내 삶의 모든 인간관계를 탈탈 털어보았을 때, 그중에서 내게 늘 꾸준하고 안정적인 신뢰와 지지를 보내는 사람이었고 지금도 그렇다. 물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엄마도 그렇지만 조금 다른 게 있다면, 엄마와는 미주알고주알 이야기하는 편이라 대개 나의 선택과 고민의 과정을 엄마가 디테일하게 알고 계신 경우가 많았다. 그에 비해 아빠는 조금 멀리서 지켜보는 관찰자의 입장에 계실 때가 많았고. 아빠는 잘 모르지만 우선 내 편, 무조건 내 편에 서 주는 사람이었다.


  아빠는 평생 산전수전 공중전, 흥망성쇠를 모두 겪은 사업가의 삶을 쌓아오셨다. 그래서 그런가 일로 만난 사람들 사이에서는 사업하는 사람 특유의 유연함을 보이셨고 보통 올곧고 빈틈없이 정확한, 그래서 조금 냉정하기도 한 분으로 비쳤다. 친구들 사이에서는 좌중을 휘어잡는 카리스마로 늘 리더의 자리를 맡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엄마와 우리에게 있어 아빠란 언제나 '아빠가 말이야'로 시작해서 '오케이'로 끝나는 사람이었다. 


  아빠는 서른 하나에 나의 아빠가 되었다. 그래서 아빠와 내 나이는 끝자리가 늘 같다. 내가 스물일 때 그는 쉰이 되었고, 내가 서른 일 때 그는 환갑을 맞이했다. 서른을 넘기며 다짐했다. 앞으로 아빠에게 싫어, 아니, 됐어,라는 말을 아끼기로. 평생 나에게 '아빠는 말이야 네가 좋다면 좋다'며 늘 예스를 외쳐준 나의 늙은 예스맨을 위한 작은 보답이 되기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