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꽃반지 Sep 30. 2020

방송국으로 출근합니다


"안녕하세요, 반지현 작가님이시죠?"

12시 땡 하기 무섭게 다들 나가버린 점심시간. 그날따라 유독 입맛도, 기운도 없어 텅 빈 사무실에 혼자 앉아 있는데 '작가님'을 찾는 전화가 왔다. KBS 라디오국에서 걸려온 전화였다. 아, 나 작가였지. 지난여름에 말이 나오기 시작하던 방송을 이제 녹음하게 되었다는 소식과 함께, 평일에 시간을 낼 수 있냐는 피디님의 물음이었다. 추석 당일에 녹음을 하기로 했다. 전화를 끊고 나서 꽤 빽빽한 인터뷰 질문지를 받았다. 늘 내가 인터뷰를 진행하거나 인터뷰 기사를 쓰는 입장이었는데 인터뷰이가 되고 보니 기분이 살짝 묘했다.


추석 당일에 녹음이니 하루 전에 진득하게 책상머리에 붙어 앉아 인터뷰 대답도 작성하고, 내 목소리도 녹음해서 한번 들어보고 만반의 준비를 해야겠다고 계획했지만, 계획은 언제나 계획으로 그치고 만다. 새벽 다섯 시에 눈을 번쩍 뜬 것까진 좋았는데 아무것도 안 하고 누워있었다. 위층에서 들려오는 오랜만에 친적집을 찾은 아이들의 발 구르는 소리와 비명을 어떻게든 견뎌보려고 이를 악물면서. 라디오 녹음이면서 웬일인지 헤어컷 예약을 했는데 그마저도 게으름을 피우느라 가지 못했다.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 이미 아무것도 안 하고 싶지만 더욱더 격렬하게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 오후 네시나 되어서야 미적미적 밖으로 나왔다. 나를 밖으로 밀어낸 건 아이들의 비명과 괴성에 울음이 섞이면서 도저히 견딜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부모들을 존경한다. 아이를 낳고 키우는 엄마들을 존경한다. 길거리에서 아이에게 벌컥 짜증을 내는 엄마들을 (그때는 "왜 아이에게 다정하게 말하지 못할까?" 의아했지만) 이해한다. 조용히 좀 하라는, 가만히 있으라는 화 섞인 부모들의 고함을 동정한다. 그렇지만 나는 둘 다 견디지 못할 것 같다. 지금도 그랬지만 앞으로도.


옆구리에 끼고 간 노트북을 카페 3층에 펼쳐놓고 창밖을 한참 바라봤다. 나무 정수리가 노르스름하게 물이 들어있었다. 손바닥에 노란 물감을 묻힌 누군가가 슬쩍 쓰다듬기라도 한 것처럼. 이렇게 가을이 왔구나, 또 가을이 왔어. 아이들의 비명과 부모들의 고함소리에 쫓기다 시피하며 가방을 싸느라 별생각 없이 집어 들고 나온 수첩을 펼치니 아직 다가오지 않은 10월의 어느 날짜가 적혀있었다. 지난해 이맘때 한참 <스님과의 브런치> 원고를 준비하면서 끼적였던 글귀들이 빼곡했다. "회사 때려치우지 말고 꾸준히 쓸 것"이라는 글귀를 볼 땐 웃음이 픽 났다. 아니, 지금 내 마음을 어떻게 미리 알았대? (인버전인가). 노트를 끼적이던 1년 전의 나와 오늘의 나는 무엇이 다를까. 노랗게 물든 나무 정수리를 바라보며 생각했다. 크게 달라진 건 없다. 여전히 인생에 대해서 막연하고 막막하고, 앞으론 어떻게 살아야 하나 하는 고민이 수시로 고개를 든다. 그래도 달라진 게 있다면.


가방을 뒤적여 챙겨 온 내 책을 꺼냈다. 도망가지 않는, 사라지지 않는, 아무도 훔쳐가지 못하는 내 시간과 고민이 들어있는 분명한 물성. 오늘 오랜만에 검색을 해보니 온라인 헌책방에서 4천 원에 팔리고 있는 내 책(헌책방에 즐비한 책들을 볼 때마다 1. 이걸 왜 팔았을까? 2. 작가는 헌책방에서 자신의 책을 발견하면 어떤 느낌이 들까? 3. 자기의 책을 파는 작가도 있을까... 등의 질문이 줄줄이 떠오르는데, 내가 오늘 느꼈던 감정은 '앗, 나도 이제 잘 나가는 작가?'였다. 논리에 개연성은 없다). 한 친구가 아는 작가의 소식을 전하며 "책 내도 달라지는 건 없다고 하던데?"라고 했던 말을 떠올렸다. 물론 드라마, 영화 한 편에 출연해 인생을 뒤엎은 배우가 있는 것처럼 책 한 권으로 단숨에 스타덤에 오르며 자리매김을 하는 작가들도 있겠지만, 책을 내도 크게 달라지는 건 없다. 지구 상에 책은 이미 넘쳐날 정도로 많고, 오늘도 무수한 작가들이 책을 출판해내고 있으며, 앞으로도 책은 계속 쏟아져 나올 테니까. 책을 내기 전에는 가끔 서점을 돌며 '이 많은 책 들 중에 내 책이 읽힐 확률이 몇 프로나 될까?'싶어 막막하고 막연한 감정이 들었는데, 책을 딱 한권낸 이 시점에도 그 막막하고 막연함은 여전하다. 인생의 기본값은 막연하고 막막할진대 책 한 권으로 해쳐나가겠다는 생각 자체가 오산일지도 모른다. 책을 내도 달라지는 건 크게 없지만, 그래도 달라진 게 있다면 책이 있다는 거다. 도망가지도 않고, 사라지지도 않고, 엎질러진 물처럼 그렇게 이 세상의 어딘가에 제 몫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그렇게 있다는 거다. 하하하. 정답이 좀 싱겁나?


얼마 전에 단골 미용실에 들렀다가 사인을 해드리게 됐다. "누나, 책 내면 어떤 기분이에요?"하고 해실해실 밝은 얼굴로 늘 나를 맞아주는 미용사분이 물었다(뀨 디자이너님, 읽고 계신가요!). "어... 그냥 책을 낸 거예요."하고 덤덤하게 답했더니, 그가 "누나 책 맨날 보세요? 전 제가 책 냈으면 맨날 볼 거 같아요."하고 대답했다. 아니요! 책을 내고 나서 독자의 마음으로 책을 읽은 적은 한 번도 없다. 아쉬운 단어와 문장이 번번이 발목을 잡아서 마음 편히 읽지 못했다. 끝까지 맘에 안차던 꼭지는, 마치 못 나온 졸업앨범을 들여다보는 것처럼 눈을 질끈 감고 뛰어넘기도 여러 번. 빽빽한 인터뷰 질문지에 대한 답을 찾느라 나도 내 책을 들여다보면서, 비로소 독자의 마음으로 읽게 됐다. 잘 쓴 책이구나, 공들여 만들었구나 하는 마음이 이제야 들었다(그리고 안도하기 무섭게 피디님이 추가 질문지라며 뭔가를 또 잔뜩 보내왔다).


나의 첫 책은 잔잔하고 뭉근한 사랑을 받고 있다. 작가로서 감사한 일이다. 해변의 모래알만큼 수많은 책들 중에 누군가 내 책을 읽는다니. 그리고 나는 (나조차 자주 잊는)'작가'로 조금씩 내 세상을 만들어가고 있다. 아무도 몰라줘도 나 스스로 작가라는 사실을 감각하고 있어야 하는데, 늘 송구할 정도로 반대의 입장이다. 다들 나를 작가라고 부르는데 나 스스로 그 호칭에 선뜻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아까 말을 꺼낸 그 노트에 보면 '매일 쓰자'라는 메모가 수시로 등장하는데, 나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회사원이라는 명분이 있지만 쓰려고 했다면 쓸 수 있었다. 쓰려다 못 쓴 글, 쓰다만 글이 대체 몇 편인가. 이 글도 카페에 있다가 갑자기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가 쏟아져 쓰게 됐다. 아니면 일찌감치 집으로 가서 잠옷으로 갈아입고는 배를 두드리며 누웠을 것이다.


지금 바로 '작가적'으로 살진 못할 것이다. 작가적인 삶이라는 게 과연 있나 싶기도 하고. 그렇지만 '작가'라는 자의식을 지니고 좋은 작품에 대한 갈망과 고민을 놓지 않고 살았으면 좋겠다. 좋은 것을 만들려노력하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그런 의미에서 내일은 시월이고, 작가로서 방송국에 출근을 하는 첫날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리추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