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7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두 여자네 집

옥천 앙짱감농원엔 이제 두 여자만 산다

by 명랑한 햇빛 Mar 18. 2025


유난히 무기력해진 봄날들이다.

마음은 연두연두하고 싶은데 마음처럼 안 되는 것이 또 마음 아니던가.

종일 어디 마음 붙일 곳 없이 이 책 저책 뒤지고 좁은 집안 여기저기 뒹굴며 다닌다.

햇볕은 좋은데 바람은 싫고 마침 커피도 떨어지고 아무튼 밖으로 나가봐야 할 것 같은데


.................. 차라리 커피를 굶자.......................

커피 인생 이렇게 망가지나 싶다.

확!! 마!! 망가져삐까!! 


지인의 제안으로, 어떡하든 나 좀 데리고 기운차려 보려고 덥석 문 나들이.

차로 한 시간 거리의 옥천 산골에 널찍하게 자리 잡은 우리 밀빵 만드는 곳이 있다네.

첨가물 전혀 없고 외국산 전혀 없는 우리 밀빵과 쿠키 수업.

마을입구에 성모상이 있다. 오래전엔 이곳이 천주교 마을이었다고. 

그래서인지 농장 주변의 아담한 흙집엔 수녀님이나 신부님이 피정을 오신단다.

정말 고요하겠다. 일명 자연농법이라 하여 거의 손을 대지 않고 농작물을 기른단다.

감나무도 그렇단다. 주재료가 감잎을 말려서 가루 내어 빵에 섞는단다.


말캉말캉한 반죽이 말을 거네.

마음만 고쳐 먹으면 하루도 내 시간도 이렇게 말캉할 수 있다고.

질척이지 않고 말캉거리기만 하는 반죽을 손가락 사이로 만지며 눈 녹아 질퍽한 

흙길 같던 마음이 조금은 단단해진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무엇보다

수업해 주시는 선생님은 며칠 전 백세 넘은 

노모 장례를 치렀단다.

예약해 놓은 수업이라 취소하지 않고 몸과 마음을 추스르고 나오신 거다.

그녀의 성실함과 진득한 마음이 내게도 

전염되는 기분이다.

뜨문뜨문 말을 잇지 못하는 얼굴엔 사무치는

그리움이 그대로 묻어났다.


그곳엔 그녀의 어머니와 동생, 세 모녀가 살고

남동생은 신부님이란다.

이제 노모는 안 계시고 두 자매만 남은 것이다.






브런치 글 이미지 2

아는 맛 그림책 "마음먹기"다

늘 궁금했다. 왜 마음은 먹어야 하는 걸까.

우리는 마음을 뒤집기도 하고 들들 볶다가 마구 뒤섞기도 한다. 때론 까맣게 태우기도 하지.

그럴 땐 미련 없이 버리는 게 상책이라고 작가는 조언한다.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세상 사는                  맛이 달라진다"

고 말한다.


그리고

거친 빵의 속살이 내게 묻는다. 

"오늘은 어떤 마음을 먹었나요?"

어떡하든 일어나 보겠다는 작은 의지가 조금은, 아니 오늘은 단단해진 기분이다.

먹은 마음이 잘 소화되어 체화되고 양분이 되었나보다.


오늘, 작은 마음으로, 작은 감사로 한 발 딛는 용기를 먹어본다.

작가의 이전글 다시 봄이 되어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