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삼삼한 수의사 May 31. 2021

[수의사가 보는 동물 캐릭터] 마블 로켓 라쿤

수의사가 보는 라쿤 로켓

  이번 17에서는 마블 시리즈의 캐릭터를   건드려 보고자 합니다. 마블 시리즈에서 유일하게 동물로 등장하는 히어로인 로켓 라쿤(본명 89p13)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로켓이 라쿤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촬영할 때는 실제 라쿤을 데리고 촬영을 했으니 로켓이 라쿤인 것은 어느 정도 사실인  같습니다. 작중 로켓은 동물의 유전자 변형 실험을 통해 생긴 결과물로 일반적인 동물보다 단단해진 골격과 뛰어난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로켓을 분석할    똑똑한 라쿤임을 가정하고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로켓은 라쿤이다.


 앞에서 설명드렸듯, 로켓은 라쿤입니다. 라쿤은 크기는 40-70cm, 몸무게는 5-26kg까지 나가는 식육목 북아메리카 너구리과의 동물입니다. 수명은 5-20년 정도이며 완전한 야생보다는 도시나 사람들의 케어를 받는 라쿤이 훨씬 오래 사는 편입니다. 사실 너구리와 아주 비슷한 외모를 가졌으나 너구리와는 계통이 다르다고 합니다. 라쿤이 서식하는 지역은 북아메리카 지역으로 숲이나 연못 습지, 호수 등에서 서식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오히려 더 많은 라쿤이 북아메리카 지역의 대도시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특히 토론토 지역에서는 우리나라의 비둘기만큼이나 그 개체 수가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로켓 역시 눈 주변부의 검은색 부분, 사람과 비슷한 5개의 손가락 등을 고려해보면 너구리보다는 라쿤과 훨씬 가까운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

라쿤 서식지


 참고로 라쿤과 너구리를 혼동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너구리라고 네이버에 너구리를 검색했을 때 상위에 있는 이미지들의 대부분이 라쿤들이었습니다. 너구리와 라쿤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앞발가락으로 거의 사람과 비슷한 것처럼 손가락이 긴 라쿤과는 달리 너구리는 강아지에서 볼 수 있는 발바닥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로켓도 너구리가 아니냐라고 하지만 로켓은 5개의 긴 손가락을 가졌으므로 너구리가 아니라 라쿤임이 확실합니다.


너구리(좌측 위), 라쿤(우측 위), 너굴맨 짤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라쿤맨이 더 맞는 말이다.(맨 아래)


​​


로켓은 색맹일 것이다.


 ​

 라쿤은 어두운 밤에서도 잘 볼 수 있는 반사판(Tapetum lucidum)이 있습니다. 이 반사판은 고양이에서도 볼 수 있어 밤에 고양이를 보면 눈이 밝게 빛나는 것을 우리는 볼 수 있습니다. 라쿤 역시 이러한 반사판이 있어 밤에도 잘 볼 수 있으며 고양이와 다르게 눈은 붉게 빛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라쿤이 야행성이기에 밤에 잘 볼 수 있도록 진화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라쿤은 물체의 명암을 구별하는 능력은 뛰어나지만 색을 구별하는 능력은 떨어진다고 합니다. 아직 확실하지는 않으나 거의 색맹과 가까울 정도로 색을 구별하지 못한다고 하며 오로지 녹색 정도만 구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라쿤인 로켓은 사실 색을 구별하지 못하는데 색을 구별하는 척을 하는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

로켓이 무기를 잘 다루는 이유는 뛰어난 손 감각과 지능 덕분이다.



 라쿤은 앞발의 감각이 매우 뛰어납니다. 일반적인 포유류의 4-5배에 해당하는 감각수용기 숫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감각을 처리하는 뇌 영역의 비율은 전체 뇌의 2/3 수준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라쿤은 앞발을 통해 감각을 예민하게 수용하고 더 잘 받아들입니다. 이는 물 안에 있는 먹이를 손으로 더 잘 사냥하기 위해 진화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라쿤은 지능이 뛰어나 고양이보다 똑똑하다고 합니다. 참고로 도시에서 서식하는 라쿤은 일반 교외에서 서식하는 라쿤보다 더 똑똑하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도시의 라쿤은 인간의 음식을 빼먹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해결 방법을 고안하다 보니 교외의 라쿤보다 더욱 똑똑해진 것 같습니다.


 


 어쨌거나 유전자 변형을 통해 두뇌가 뛰어나도록 태어난 로켓 라쿤은 일반 사람들만큼이나 똑똑할 것이고 손의 감각은 인간보다 훨씬 뛰어나 무기를 잘 다루지 않나 추측해봅니다.

​​


로켓은 광견병에 걸려있을지도 모른다.



 야생에 서식하는 개과 동물과 라쿤은 광견병에 아주 많이 노출되어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야생 너구리의 경우 거의 80% 이상이 광견병에 노출되어 있다고 예측할 정도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야생 라쿤 역시 광견병에 노출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광견병에 걸린 라쿤은 뭔가 아파 보이고 걷는 것이 불편해 보이며 공격적인 성향이 있다고 합니다. 작중 로켓 라쿤은 상당히 공격적인 면모를 보여주는데 로켓 역시 광견병에 걸려있을 수도 있다고 추측해봅니다. 인간이 로켓 라쿤에 물리면 아프지는 않겠지만 광견병으로 엄청난 고생을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마치며


 지금까지 로켓 라쿤(본명 89p13)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로켓은 라쿤일 것이며 색맹이고 뛰어난 두뇌와 예민한  감각 덕분에 무기를  다루며 광견병에 걸려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  결론이었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수의사가 보는 동물 캐릭터] 커밋 더 프로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