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43 댓글 2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모든 전투에서 이기려들면 결국 전쟁에서 진다.

by 이승훈 Hoon Lee Jun 13. 2024

과거 컨설턴트 시절, 4명의 부문장급(사장급) 임원이 관여된 프로젝트를 한 적이 있었다 (정말 별들의 전쟁이었다)


당시 Main contact 이었던 임원분은 상대적으로 나머지 분들 대비 '부서의 힘'이 쎄지는 않았었다. (끝발 날리던 조직 또는 실권자와 독대하는 조직은 아니었다)


하루는 임원들이 모여 conference call 을 하는 미팅이 있었다. 그런데, 기세 좋기로 유명했던 임원 한 분이, 본인의 실수를 우리의 main contact 임원분 탓을 하며 '결국 당신 책임'을 시전하고 있었다. 듣는 내가 다 화가 날 정도였다.


그런데, 우리의 임원 분은 얼굴색 하나 변하지 않고, 허허 웃으면서 '제가 잘못했습니다. 제 실수에요. 저희가 보완해서 다시 보고를 사장님께 올리겠습니다' 말씀하시는 것이었다.


미팅이 종료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임원분과 개인적으로 대화나눌 기회가 있었어서, 당시 왜 그러셨는지? 여쭤봤다.


'저... 하나 여쭤봐도 될까요?'


'네 물어보세요'


'그 때 임원님 실수가 아니었는데, 왜 받아들이시고 떠안으셨는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승훈님도 나중에는 임원이 될테니.. 솔직하게 말씀드려 볼께요. 큰 기업에서 임원 생활 하다보니.. 결국 전투는 2가지 유형이 있음을 깨달을 수 있었어요. 1. 정말 중요한 전투, 2. 중요하지 않은 전투. 그리고, A. 내가 이길 수 있는 전투, B. 내가 이길 수 없는 전투가 있음을 시행착오를 통해 느낄수 있었습니다. 정말 중요한 전투에서는, 가. 싸움을 시작했으면 무조건 이겨야 하고요, 나. 이길 수 없으면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지는 순간 조직이 큰 피해를 보니까요. 중요하지 않은 전투일 경우에는, 사실 조금 손해 보고.. 져도 됩니다. 그런 전투에 힘 뺄 필요가 없습니다. 지난 번 conference call 에서 논의된 이슈는, 사실 중요하지 않은 건이었어요. 그래서 '내가 잘못했다. 미안하다 내가 고친 후 보고할께' 한 것입니다.


재밌는 것은, 모든 전투에서 이기려들면 결국 큰 싸움에게 지게 되어있어요. 내 편이 안생기거든요. 그리고 불필요한 전투력 낭비이기도 하고, 주변 사람들이 피곤해하고 같이 일 안하려고 하죠. 


승훈님도 나중에 임원이 되거나, 리더가 되면... 1) 모든 논쟁에서 굳이 다 이기려들지 마세요. 때로는 전략적으로 져 주세요. 2) 정말 중요한 전투의 경우, 이길 수 없으면 피하세요. 피하는 법을 아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3) 정말 중요한 전장에서 싸움을 시작했으면 무조건 이겨야 합니다. 안그러면 내 소중한 사람들을 잃어요. 확실한 내 편이 있으면, 그리고 초집중하면, 그리고 '지면 난 끝이다'라는 각오로 임하면 이길 수 있어요. 이기는 법을 꼭 배우시고, 이길 수 있는 network 을 꼭 구축하세요'


'바쁘실텐데, 상세히 설명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그 때 그 대화는 나에게 너무 큰 가르침을 주었고, Ringle 창업 후 10년이 지난 오늘도 그 때 말씀해 주신 부분을 명심하며 정말 다양하고 많은 미팅에 임하고 있다.


모든 전투에서 이기려들면 안된다. 전략적 패배도 당할 줄 알아야 한다.

피할 줄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진짜 중요한 싸움에서는 결국 이겨내는 역량도 있어야 한다. 그래야 조직을 지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당시 뒤집어씌웠던(?) 분은 얼마 지나지 않아 회사를 떠났고(떠남을 당했고), 나에게 큰 가르침을 준 분은 아직 회사에 남아있으신 듯하다. 

작가의 이전글 요즘 시대의 브랜드/브랜딩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