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꽃정원 May 30. 2023

정원은 공짜가 아니야

단독주택 살아보니 #18

 나는 주택으로 이사오기 전부터 정원 유튜브를 즐겨봤다. 부드러운 음악소리가 흐르고 아름답고 풍성한 꽃들이 비친 뒤 알프스 소녀 같은 앞치마를 두르고 정원 일을 하는 그녀들의 모습은 꼭 그림 속의 한 장면 같았다. 영상을 보며 나도 땅만 있으면, 땅만 있으면 했다. 얼떨결에 그 꿈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주택으로 이사를 오니 50평의 땅이 생겼다. 게다가 내 집 앞에 떡하니 있는 생활 밀착형 땅이다. 하지만 나의 일상은 정원 유튜브 속 그녀들과는 달랐다. 내 식물들은 키가 크지도 풍성하지도 않았고, 정원에는 그냥 잡초 품은 벌거벗은 땅에 불과했다. 왜냐면 나는 일하지 않았고 식물도 잘 몰랐기 때문이다. 텅 빈 땅을 잡초가 아닌 것으로 채우려면 정원사는 부지런히 움직여야 했다. 아름다운 식물과 휴식의 공간도 모두 내 손 끝에서 탄생하는 것었다. 그래서 동네에 오색의 장미가 화려하게 터져 나오는 5월 어느 날, 나는 아름답고 지속가능한 정원을 이루기 위해 정원 습관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첫 번째 습관은 주기적으로 물 주는 시간을 갖는 것이다. 식물 키우기의 기본이 물 주기이다. 하지만 노지는 비도 오니까 괜찮다고 생각하며 물은 생각날 때만 줬고, 물주는 시스템도 많이 허술했다. 정원 첫 해인 작년에는 1m도 안 되는 호스에 강력 물조리개를 붙여서 물이 포물선을 그리며 멀리까지 날아가도록 뿌려서 애쓰게 물을 줬다. 호스가 안 닿는 공간은 시장에서 구입한 파란색 물통을 이용해 가끔 뿌렸는데 이마저도 잘 안 하게 되었다. 그래서 집 건물 뒷 화단은 극도의 건조한 환경에 준공 때 심어놓은 회양목이 반 정도 죽었다. 어느 폭우가 이어지던 날, 나는 그 끝없는 비를 맞으며 정원의 식물들이 생명력을 더해가고 텃밭 식물들의 사이즈가 두 배로 뻥튀기되는 모습을 보았다. 과연 식물들이 충분한 물은 생명이자 기쁨이었다. 얼마만큼의 물이 충분한 물인 지 체감한 나는 물 주기 시간을 대폭 늘려주기로 마음먹었다.

 물 주기는 몸이 힘들진 않지만 시간과 비례한 작업이다. 30평 기준 간단하게 뿌려도 최소 20분, 충분히 하나하나 적시려면 1시간 동안 호스를 들고 서 있어야 할 수도 있다. 게다가 화분과 달리 노지는 땅이 평평해서 세게 쏘면 물이 그냥 낮은 곳으로 흘러 내려가버린다. 그래서 올해는 20m 호스릴을 마련했다. 긴 호스와 다양한 물 쏘는 방식으로 1년 동안 물을 따로 주지 않아 회양목도 죽어나갔던 뒷 화단까지도 물을 줄 수 있게 됐다.

 올해 뒷 화단에 지피식물로 건조에 강하다는 휴케라, 돌나물을 얻어다 심었다. 낮에는 출근을 해야 하고, 또 해가 있을 때라 잎이 타버리므로 아침 일찍 또는 퇴근 후 물을 준다. 나는 저혈압이라 아침이 힘든 사람인데 자연의 기운을 빌어 아침을 열어본다. 식물에 물을 주며, 물을 조용히 받아마시는 식물들에게 오늘 하루 열심히 자라라며 긍정적인 마음의 말을 나눌 수 있고, 또 퇴근 후 물을 주며 하루의 구질함을 씻어내고 식물의 변화를 칭찬한다. 항상 그곳에서 말없이 아름다운 그들이 뿜는 에너지가 아침에도 저녁에도 나를 위로하는 듯하다. 물 주는 것은 결국 관심 아니던가? 매일 찾아가서 들여다보고 또 애정을 주는 것. 그것이 정원과 나를 성장시킨다.

물조리개의 진화
뒷화단의 지피식물 3총사

 두 번째는 주기적으로 식물을 심어 보는 것이다. 2년 차 정원에는 아직도 많은 빈칸이 있다. 인터넷에 다양한 식물과 식물 정보가 있지만 정답이 없다. 내가 가진 환경에서는, 나라는 사람에게서는 항상 다른 결과가 나온다. 직접 해보고 경험해 보는 것 말고는 믿을 것이 없었다. 화원이라는 곳에 다녀본 적이 없어서 망설이다가 과감히 혼자 걸음을 해봤다. 일 년생 식물 포트를 고른다. 마치 주식을 고르는 것처럼 어떤 식물이 보기도 좋고 알아서 잘 클까 고민해 본다. 일 년생 포트는 저렴하면서도 금방 크니까 기분 전환에 딱이다.

 나무는 비싸지만 삽목 해서 재테크를 해보고 싶어서 눈독을 들이고 있다. 삽목으로 월급쟁이 은퇴하는 꿈을 꾸기도 한다. 아니면 인터넷으로 씨앗을 사서 실내에서 파종을 하고, 더 크게 키우고 싶거나, 더 이상 키우고 싶지 않으면 마당으로 보낸다. 눈앞에서 사라지게 하여 무관심한 시간을 갖는 것인데, 대부분의 식물은 밖에서 적응 과정을 거친 뒤 무한 성장을 한다. 실내 파종한 램스이어는 거의 100배의 자구를 달고 쑥쑥 자라고 있고, 델피늄 또한 꽃대를 올리며 위로 쑥쑥 자라고 있다. 바질은 올해의 작물로 간택되어 50개 이상 파종하여 밭을 만들어볼 셈이다. 한련화는 새롭게 자리를 잡아 더 크게 자랄 틈만 노리고 있다.

 정원 습관 두 가지를 통해 정원도 변화하고 나도 변화하고 있다. 좀 더 정원에 책임감을 갖게 되고, 정원의 변화에 민감하게 호흡하게 되었다.

램스이어(앞)과 델피늄(뒤)의 폭풍 성장
홍가시나무, 국화, 사철나무 삽목상자

 인터넷에서 조경은 공공의 개념, 정원은 개인의 개념이라고 설명하던데 과연 정원이라는 단어에 걸맞은 공간이 되었다. 주인과 호흡하는 식물들이 모인 공간. 그 공간이 아름다울 수도 짐일 수도 있을 것이다. 본인이 본인의 정원을 성장시키길 원하는 사람이라면 나는 두 가지 습관을 꼭 가져볼 것을 권한다.

작가의 이전글 무난한 이웃

매거진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