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해우소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연아빠 Jan 22. 2023

너무 늦은 제사상 간소화 홍보

명절 단상

어릴 적 우리 집안은 제사가 많았다.

설 또는 추석 외에 돌아가신 날에도

큰 집과 작은 집에 친척들이 모여 제사를 지냈다.

가문의 화목과 뿌리를 중시한 나의 어머니는

나를 아버지와 함께 꼭 제사에 참석시키곤 하셨다.


그때 들었던 사자성어 같은 표현들...

홍동백서, 조율이시 등 등

제사상의 음식 배치는 항상 큰집 아저씨가 하셔서

어린 내 눈에는 제사는 매우 오래전부터

절대적인 질서로 전해 내려 온 것처럼 보였다.


그 젊던 새댁들도 아줌마가 되고

형들은 군대 가고 사회인이 되면서

제사에 참석하는 인원은 점차 줄었다.

내가 중학생 때 큰집 제사에서

친척들에게 할아버지가 하셨던 말이 생각난다.

'자꾸 사람이 주네. 큰 일이야. 큰일...

조상 고마운 것을 알아야 하는데...

우리 죽으면 얼마나 가겠나?'

이 제사를 마지막으로 우리 집안도 설과 추석에만

함께 모이는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했다.


며칠 전 포털뉴스에서 성균관의 홍보기사를 봤다.

제사는 간소화해야...

기름에 튀긴 음식은 유교식 아님... 등 등


지금 내 지인 중에 제사 지내는 집안 자체가 드물다.

성균관의 제사 간소화 기사가 30년 전인 90년대에 나왔으면 어떨까?

지금보다는 제사 지내는 가정이 많이 유지되었을까?


한 편으로는 성균관이 이해된다.

제사는 농산물 소비가 가장 활발한 의례이며

제사상의 질서를 잡아온 집안 어른들의 권위는 어떻게 되는가?


부동산 가격을 내리지도 올리지도 못하는

역대 우리 정부들처럼 말이다.


끝.





매거진의 이전글 통계가 중요한 이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