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걸음 Mar 25. 2021

개조(改造)와 자각(自覺)

동학네오클래식

[편역자주] <동아일보> 창간호(1920년 4월 2일) 축사로 당시 천도교중앙총부 현기관장, 오상준(吳尙俊, 1882-1947)이 쓴 글이다. 오상준은 1900년대 초 의암 손병희가 주선한 '일본유학생'의 일원으로 일본에서 유학하고 1905년 전후(?)로 귀국하여 천도교중앙총부에 근무하면서 <<초등교서>>라는 단행본을 발간하고, <천도교회월보> 등에도 많은 글을 투고하였다. 이 글에서 오상준이 '새[新]'와 '개조(改造)'를 중시하는 것은 당시의 핵심적 시대 흐름[트렌드]이기도 하지만, '다시개벽'을 강조하는 천도교 특유의 관점이 잘 표현된 것이라고 본다. 특히 이 글이 <개벽> 잡지가 창간(1920.06.25)되던 때보다 2개월이나 앞섰다는 점에서, '개조=개벽'에 대한 관심은 <개벽>과 '청년'들만의 관심사가 아니라 일반 천도교(인)들의 주요 관심사였음을 짐작케 한다.


개조와 자각

천도교중앙총부 현기관장(玄機觀長) 오상준(吳尙俊)


온 세계 모든 인류 날로 부르짖는[叫呼] 소리, 오직 개조의 소리뿐이로다. 천시(天時)가 새로워지고[新], 인사(人事) 새로워지고, 일체 만리(萬理)가 날[日]로 새로움하는 중이니 이를 이른바 개조(改造)의 세계라 하리로다.


오랫동안 암흑에 퇴굴(退屈)하고, 게으른 잠[惰眠]에 취하였던 반도의 우리, 이제야 겨우 새로우을 음미하며, 새로우을 동경하면서 나도 남과 같이 살아 보리라는 각성 하에서 비록 불완전할지라도, 비록 불충분할지라도 날[日]로 신생활의 낙원을 건축(建築)하려 노력하는 중이니 이를 이른바 개조의 조선이라 하리로다.


개조란 필연히 방식과 순서를 요(要)할 것이요, 방식과 순서란 필연히 자각(自覺)을 의미한 것이라. 자각이 없는 개조는 이[是] 맹목(盲目)이요, 이는 모순이니, 우리[吾人]는 무엇보다도 먼저 상당한 자각을 요할 것뿐이라. 개인이면 개인, 단체면 단체, 전민족이면 전민족 도두 다 그러하여야 할 것이라. 이를 이른바 개조의 오인(吾人)이라 하리로다.


우리[吾人]는 미약[微]하나마 민중(民衆)의 한[一] 분자(分子)로, 약하나마 사회의 한 정원(正員)으로, 명명(冥冥)의 중, 개체적 자각, 민중적 자각을 절망(切望: 절실히 바람)하는 성의(誠意)하에서 문득 동아(東亞) 군(君)의 출세(出世: 태어남)를 고 스스로 만강(滿腔)의 감상(感想)을 금치 못하였나니, 이 실로 동아 군은 자각의 선각(先覺)이 있음으로써요, 개조의 책임을 졌음으로써요, 교화(敎化)의 정편(正鞭: 바른 채찍)을 가졌음으로써요, 활동(活動)의 수단이 넓음으로써며, 그리하여 우리[吾人]의 희망을 답(答)할 것임으로써며, 따라서 우리가  조선의 우리 됨이며, 동아 군이 조선이 동아 군 됨으로써라.


군의 사업과 부담(負擔)은 이미 우리 사회로부터 정평이 있으므로 우리가 구구히 그 내부와 장래를 *설(*說)함은 도리어 무식에 근(近)하고, 공론(空論)에 치우치는 것으로 아노라. 고로 우리는 무조건으로 군을 신앙(信仰)하는 하에서 심대한 축하의 말[賀辭]을 피(避)하며, 과분한 요구를 꺼리노니, 이는 군의 책임이 이미 광대무량하며, 군의 용심(用心)이 이미 공명정대함으로써라.


오호, 풍상(風霜) 몇 십년[幾十年]의 조선에 동아군의 금일이 있게 됨은 이 세계의 문운(文運)이 이마만치 진보한 까닭[故]이며, 조선의 풍화(風化)가 이마만치 향상한 까닭이니, 장하다 군의 장래! 진보를 따라 항상 이마만하고, 향상을 따라 영구히 이마만하리라 자신하되 마지아니하노니, 이를 이른바 개조의 동아 군이라 하리로다.


오상준의 책...



   

매거진의 이전글 3.1운동 민족대표 의암 손병희 일대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