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순자 Jun 25. 2024

연과 아이들의 꿈


최순자(2024). 연과 아이들의 꿈. 국제아동발달교육연구원 공명재학당. 6. 25.


평소에는 조용한 동네 골목길에서 아이들 목소리가 들린다. 주말인 전날부터 옆집에서 들렸던 아이들 소리다. 두 손주 아이가 온 모양이다. 골목에서 한동안 어른과 아이들 목소리가 오간다.


무슨 일이 있나 하고 창밖으로 내다봤다. 뜻밖의 장면이 눈이 들어왔다. 예전 같으면 겨울에나 볼 수 있는 연이 보였다. 연을 본 순간 명절을 맞은 기분도 들었다. 빨간 꼬리를 단 흰색 가오리 모양 연이 전깃줄에 걸려 오도 가도 못하고 있었다. 서울에 사는 아이들이 왔다가 연날리기를 한 모양이다. 연을 사 온 부모나 연날리기를 한 아이들도 기특하다.


잠시 후 인사를 나누는 소리가 들리고 아이들을 태운 자동차가 움직인다. 아빠가 연을 올려보더니 “다시 올 때까지 잘 있어.”라고 한다. 아이들은 속상해서 연을 아예 보지 않은 걸까.


최근 ‘하늘만은 남겨두자’라는 김기석 목사의 글(경향신문 2024. 6. 14.)을 읽었다. 그는 “풍선은 일종의 꿈이다. 중력을 거슬러 상승하려는 인류의 꿈 말이다. (중략) 땅에 그어진 경계선 때문에 하늘조차 나뉘었다. 그 하늘을 오물 풍선과 대북 전단을 담은 풍선이 점유하는 이 현실이 가슴 아프다. (중략)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하늘만은 남겨두었으면 좋겠다. 증오와 적대감이 오가는 공간이 아니라 숭고함과 아름다움을 향한 상승의 꿈을 위한 공간으로 말이다.”라고 적고 있다.


연도 풍선과 같이 상승의 꿈이라 할 수 있다. 내가 어렸을 적만 해도 농사일이 한가한 겨울부터 정월 대보름까지 연 날리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었다. 주로 남자아이들 놀이였다. 가운데가 뚫린 사각형 모양으로 얇게 자른 대나무에 창호지를 발라 만든 연이었다. 연날리기는 줄을 잘 풀어주어야 했다. 또 방해물이 없어야 해서 넓은 공간에서 날렸다.


전깃줄에 매달린 연은 멈추지 않고 항상 하늘을 날고 싶었던 걸까? 어쩌면 경쟁 속을 헤쳐 나가고 있는 현실의 아이들 꿈인 줄도 모르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싸리나무 빗자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