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토리위너코치 Mar 09. 2022

메시지만 분명해도 글이 살아난다

대학생 코칭을 하며 느낀 '글쓰기 잘하는 법'


작년 한해 동안 청운대학교 글쓰기 첨삭 지도 코치로 활동을 했습니다.

청운 인성교육센터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한 건데요.


발표 PPT, 과제, 자유글 등 학생들이 글을 올려주면, 전체적인 글의 방향성에 대해 피드백을 해주는 식으로 진행을 했습니다. 


코칭을 해주다 보니 공통적으로 이야기하게 되는 부분이 있더라고요. 

그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것만 염두에 두고 글을 써도 글쓰기가 쉬워질 거예요. 




이 글에서 뭘 말하고 싶은지? 
글에서 말하고 싶은 메시지(주제)를 구체화해보세요


‘뭘 말하고 싶었던 거지?’

아쉬움을 느꼈던 글에서는 어김없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빠져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자신의 대학생활'에 대해 쓴 글을 보내줬어요.

내용은 열정적으로 대학생활을 하고 있다는 거였는데, 그냥 나열하듯 자기의 일상을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읽으면서 아무런 감흥도 없었고 '이걸 왜 썼을까?' 하는 의문만 들었어요.

그런데 만약에 이 학생이 글을 쓸 때 처음부터 글의 대상과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정했다고 해볼게요.


대상 : 나 또래 대학생

(그 대상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 : 대학 시절만큼은 힘들어도 더 많이 도전하고 살자


그러면 ‘자신의 대학생활’에 대해서 그냥 나열하는 게 아니라, 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조금 더 짜임새 있게 구성을 짜서 글을 쓸 수 있었을 거예요.



나는 왜 이 글을 쓰는가?

이 글에서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누구를 대상으로 이야기를 하고 싶은가?


이것만 잘 정리해도 글쓰기가 쉬워집니다. 



글쓰기의 방향을 정했으면 그 방향으로 일관되게 (이미지= 픽사베이)



서두와 마무리에 일관성 있게 그 메시지를 담아주세요


메시지를 정했다고 끝이 아닙니다.

그 메시지를 전달하는 짜임새 있는 구조를 짜는 것이 중요한데요.


무엇보다 서두와 마무리를 일관성 있게 해주는 게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기 소개서를 보내준 학생이 있었어요.

그 소개서의 첫문장은 이렇게 시작했습니다.


저를 두 개의 키워드로 표현하자면 도전과 열정입니다.


이 문장을 읽고 나서 '자신이 도전과 열정을 가진 사람이다' 이런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나 보다 생각을 했어요. 그리고 도전과 열정이라는 키워드에 대해 하나씩 설명하겠구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그 뒤에는 도전과 열정과는 전혀 다른 또 다른 성격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당연히 그 학생의 자기 소개가 인상 깊지는 않았어요.


만약에 '도전과 열정'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자신의 사례를 잘 풀어주면서 마무리를 했다면 훨씬 더 인상 깊게 각인이 됐을 거예요.




글을 잘 쓰기 위해서 기억할 3W


내 글의 대상은 누구인가? (Who)

글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What)

그것을 왜 말하고 싶은가? (Why)


글을 쓰기에 앞서 이 부분에 대해서 우선 정리를 해보세요.

그리고 그 메시지를 잘 전달하기 위한 글의 구조를 간단히라도 짜본 후 글을 써보세요.

그러면 훨씬 더 편하게 글이 써질 거예요.^^





#일기콘 359, 일상의 기록을 콘텐츠로 359일째 글입니다 

(* 화목에는 꼭 글을 씁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2021년 대학교 글쓰기 코치로 활동하며 받은 선물

- 글쓰기 연습하기 좋은 필사 사이트 

- 진정성의 시대, 꾸준한 기록이 갖는 힘

- 제목 유형 8가지 기본 패턴 익히기

- 전자책 출판 7주 작가 과정 모집 (9기 얼리버드 모집)


매거진의 이전글 글쓰기 표현력, 카피라이팅 연습하기 좋은 앱 시요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