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독서] 문학

베니스의 상인 The Merchant of Venice(威尼斯商人)

by durante Mar 18. 2025

- William Shakespere -


 금전 차용의 조건으로 약속을 어길 경우 ‘살 1파운드(0.45kg)’라는 유명한 계약이 생각나게 하는 셰익스피어의 희극. 그래서 어렸을 때 읽었을 것으로 착각하게 하는 책.


2024년 4월 10일, 중국 출장 중 수조우苏州에서 허페이合肥로 가는 기차高铁에서 '베니스의 상인'을 읽는다.


요즘도 역시 시간이 많지 않지만 나는 4가지 종류의 책을 동시에 읽는 습관을 들였다. 경제/경영서, 자기계발서, 세계문학/소설, 과학/철학 이 4가지 종류의 책들을 선별해 놓고 특정 시간대마다 다른 종류의 책을 읽어가며, 책 읽는 다양한 재미를 느끼곤 한다. 예를 들어 출근 후 퇴근이 싫어질 때는 자기계발서를, 퇴근 후 여유시간에는 경제/경영서를, 잠을 이루기 어렵거나 새벽에 일찍 깨어 ‘잡생각’이 일어날 때는 과학/철학서를, 여행 등 이동할 때는 세계문학소설을 읽는 등 나름 규칙을 정한 것이다.


이번 차례는 ‘아비투스Habitus(도리스 매르틴 Doris Martin)’ ‘생각에 관한 생각 Thinking Fast and Slow(대니얼 카너먼 Daniel Kahneman)’, 명상록(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Marcus Aurelius) 그리고 이 책 ‘베니스의 상인’이다.


Shakespere는 37편의 희곡 작품을 남겼다고 하는데 이중 희극은 13편이며 베니스의 상인은 5대 희극(말괄량이 길들이기, 베니스의 상인, 뜻대로 하세요, 한여름 밤의 꿈,  십이야)에 속한다고 한다.


이 책을 금번 독서 목록에 추가한 이유는 Shakespere의 작품을 좋아해서라기보다 유대인에 대한 비유대인들의 '편견' 또는 '오해', '반유대주의'에 대한 궁금증 때문이다. 이후 언젠가 유대인의 핍박과 성공에 대한 역사를 정리해 보고자 하는데(KBS 다큐 ‘유태인’,  ‘나무위키의 반유대주의 - 나무위키 (namu.wiki)’는 좋은 참조가 된다), 이 희곡 내에서도 여지없이 '샤일록'이라는 유대 고리대금업자를 등장시켜 유대인의 배금주의(영국의 극작가 크리스토퍼 말로가 쓴 문학 작품인 《몰타의 유대인》(The Jew of Malta)에 영향을 받음), 잔인함, 기독교인에 대한 복수심 등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 길지 않은 글을 읽어가면서 주된 주제는 포셔(여)와 바사니오(남)의 사랑이야기로 생각했으나, 그보다 남자 간(바시니오, 안토니오)의 우정이 더 중요한 주제로 보이기도 한다. 간간히 인용되는 성경 문구나 그리스/로마 신화의 여러 주인공들을 적절히 인용하는 문장을 만날 때면 나는 다시 성경과 변신이야기 Metamorphoses(오비디우스 Ovidius)를 다시 들추어 보는 영광을 맛본다.


완독 후 알 파치노(Al Pacino), 제레미 아이언스(Jeremy Irons)가 주연한 동명의 영화(2005년작)를 감상한다. 원작과 너무 유사하게 제작되었지만 알 파치노의 탁월한 연기력과 제레미 아이언스에 대한 개인적 호감 때문인지 원작 희곡과 사뭇 다른 영화로서의 맛을 느끼게 되었고, 특히 감성적으로는 유대인에 대한 핍박에 다소 안쓰러움이 들게 한다.


Youtube Brad TV의 '영화 속 유대인들' 연재는 유대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1. 바스터즈 : 멋진 녀석들

2. 뮌헨 Munich

3. 킹덤 오브 헤븐

4. 피아니스트

5. 벤허

6. 디파이언스

7. 우먼 인 골드

8. 베니스의 상인

9. 아이히만 쇼

10. 라이언 일병 구하기, 밴드 오브 브라더스

11. 레바논

12. 나는 부정한다


그런데, 민음사는 이 책의 표지그림으로 왜 '타르키니우스와 루크레티아'를 선택했을까?


책을 덮으며, 나는 새로운 궁금증에 다시 새로운 이야기를 찾아 여행을 떠나고 있다.

작가의 이전글 [독서] 철학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