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크리스 May 13. 2023

문장이라는 이름의 지문(指紋)

fleeting notes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39618?sid=102


모든 작가는 지문을 가졌다. 장갑을 끼고 쓰지 않는 한, 그것을 지울 수 없다.


소설가 장정일(1962-)의 말을 빌리면 한겨레신문 기자 이문영은 기자라기보다 차라리 작가에 가까울 것이다. 이름부터 던지고 보는 디지털 세상과 달리 지면의 세계에서 기자의 이름은 마지막 대목에 이르러 등장한다. 하지만 처음 몇 문장만에 스스로의 이름을 떠올리게 하는 것을 보면 그의 문장에는 지문이 있음에 틀림없다. 이런 문장에는 분명한 호불호가 있다. 그럼에도 이런 시도가 뜻깊은 까닭은 지면의 세계가 열병식에 나서는 군인들처럼 서로 동일해지려는 욕망에 지배당하고 있다는 사실과 무관치 않다. 기자들이 다름을 틀림으로 여기는 것과 무관치 않다.


updated : 2023-05-13


관련문서(브런치 링크)

- 제텔카스텐 인덱스

- 저널리즘 인덱스

- 인용구 인덱스

매거진의 이전글 현실이라는 독(毒)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