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규섭 Aug 30. 2023

헛것을 보고 놀라 짖으니 모두가 따라 짖는다.

김득신의 출문간월

긍재 김득신(1754년~1822)은 조선 후기 화원이다. 

이름 난 화원 가문 출신이며 단원 김홍도와 비슷한 연배였다.

김득신은 도화서 화원으로 그림으로 밥벌이를 했다.  

풍속화를 잘 그렸다고 하지만 여러 미술 갈래에 능통했다.   

  

김득신의 출문간월(出門看月)이라는 작품은 독특하다. 

사물을 정확히 그리고 채색할 수 있음에도, 마치 대충 그린 것처럼 문인화 기법으로 그렸다.

문인화 기법은 사물을 정확히 그리는 능력보다는 내용과 필력을 중요하게 여긴다.     

문인화는 자기 수양을 위한 용도로 사고 파는 그림이 아니다.

그림으로 내면을 살핀다. 

마음이 흔들리면 붓질도 흔들리고, 마음에 속된 생각이 있으면 그림에 허영이 드러난다.

그림은 속이거니 위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김득신/ 출문간월(出門看月)/종이에 먹/25.3×22.8㎝/18세기/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득신이 이렇게 허술한 기법으로 그린 것은 작품의 내용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위에서 한 번, 아래에서 한 번 붓질을 한 오동나무에 이파리는 짙은 먹으로 툭툭 찍었다.

집이나 동자의 모습도 그리다 말았다. 

그나마 검둥개만 성의 있는 붓질을 했다.      


김득신은 짖고 있는 개를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일까?

그림 좌측에는 글을 써 두었다.      


‘한 마리 개가 짖자 두 마리 개가 짖고, 

한 마리 개를 따라 만 마리가 짖네. 

아이에게 문밖에 나가보라 했더니, 달이 오동나무 높은 가지에 걸렸다 하네.

(一犬吠 二犬吠 萬犬從此一犬吠 呼童出門看 月挂梧桐第一枝).’  


검둥개가 달빛에 어른거리는 오동잎을 보고 짖는다. 

헛것을 본 것이다. 

한 마리가 짖자 동네 모든 개가 따라 짖는다.

개 짖는 소리에 동자가 사립문을 열고 나와 살피는데 별 것 없다는 표정이다.     


내가 보고, 알고 느끼는 것이 과연 진짜일까?

탐욕, 무지, 나약함이 만들어내는 허상은 아닐까?

작품을 보고 있으니 가슴이 따갑고 부끄러워진다.


작가의 이전글 북어가 외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