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한국이 싫어서

★영화

by 초대받은손님 Jan 15. 2025

시청 동기는 역시 한국을 떠나 먼 해외에서 살아보고 싶은 나의 꿈 때문이었다.



일단 계나와 또라이의 첫 만남이 인상적이었다.

초면에 반말을 하는 것

그리고 그렇게 친해지는 것

현실에서 저런 식으로 대화하면 관계가 긍정적으로
형성될까?

누군가 내게 저 똘갱이처럼 다가오면 난 어떻게
대응할까?

초면의 어떤 어색함은 사실 불필요한 것이 아닐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가식적이고 위선적인 모습을 보이려는 인간의 습성도



이 영화는 행복에 대해서 알고 싶어 한다.

계나는 말한다.
행복은 과대평가된 단어 같아.
나는 배고프고 춥지만 않으면 좋아.
나한테는 그게 행복이야.

똘갱이는 말한다.
고생해도 이런데 살면서 고생하고 싶다.


지금 이 순간 님께서 원하시는 행복이 뭔가요
내일이나 내년 말고 10년 뒤도 말고
당장 이 순간에 원하는 행복.


이 말을 한 강사가 죽었다는 뉴스가 나왔다.

그리고 고시생도 죽었다.

나는 이 둘의 죽음으로부터 메시지를 받았다.

인생은 언제 어떻게 죽을지 모른다.

고시생은 뒤에 있는 행복을 위해 참고 참다가
죽음에 이르렀고.

강사는 당장의 순간의 행복을 찾고 원하다가
죽음에 이르렀다.

먼 미래의 행복을 위해

지금 당장의 행복을 포기하는 것은

되려 너무 위험한 일이 아닐까.



할머니도 평생 참고 기다리다가 돌아가셨잖아. 




전적으로 이 영화가 전달하려는 메시지에

동의한다.

유한하고 불완전하며 불확실한 세상 속에서

지금 당장의 행복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행복을 위한 도피도 괜찮다는 것.

도망간 곳에 낙원은 없을지라도


작가의 이전글 하이재킹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