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괴물> 줄거리, 결말, 해석
내게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그의 신작이 나오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보는 단 한 명의 영화감독이다. 작가 중엔 무라카미 하루키가 그렇다. 그러고 보니 둘 다 일본인이다. <괴물> 역시 개봉하자마자 보러 갔고, 응당 볼 영화니까-하며 도리어 큰 기대 없는 마음으로 찾았다가, 머리를 한 대 얻어맞고 왔다. 이제 설사 좀 식상해져도, 혹은 자의식이 과해져 다소 초라한 작품을 내놓더라도, '그럴 법도 하지- 그동안 애쓰셨다' 하며 충분히 이해할 만큼 거장이 된 감독이 또 한 번 레벨을 넘어서다니. 적어도 내게는 그랬다. 그리하여 짙고 길게 남는 여운에 며칠이 넘도록 젖어있었다.
영화는 1,2,3부의 플롯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파트마다 1인칭 시점의 인물이 달라진다. 1,2,3부 모두 동일한 며칠 간의 시간을 보여주는데, 이를 각 인물의 시선과 관점에서 보여주기 때문에 같은 시간도 완전히 다른 시간으로 관객에게 다가오는 게 영화의 가장 큰 특징이다. 한 가지 사건을 여러 인물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설정은 한편으론 평이하다. 하지만 감독은 이 구조의 장점을 극대화시켜 시너지를 일으키는 데 성공했다. 각자의 시선 단차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미스터리함은 밀도 높은 긴장감을 조성시켰고, 3인 3겹으로 중첩된 스토리라인은 궁극적으로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 그 자체가 되었다. 바로 세상의 그 어떤 것도 단면만 보아서는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것. 그럼에도 우리는 모두가, 그것도 일상적으로 자주, 한 면만 본 채 게으르고 무성의하게 세상을 판단한다는 것.
(약 스포)
이제 영화의 줄거리를 간략히 정리해본다. 1부는 아들 미나토가 학교폭력을 당한다고 의심하게 된 엄마 사오리의 시선에서 진행된다. 싱글맘으로서 혼자 키우는 아들 미나토가 이상한 낌새를 보여서다. 학교 담임교사인 호리 선생님한테 '돼지 뇌를 가진 인간' 이라는 이상한 소리를 들었다고 하지를 않나, 물통 속에선 진흙이 나오기도 하고 급기야 학교에 가기 주저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사오리는 이 모든 조각들을 종합해보며 미나토가 호리 선생님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고 '합리적 추측'을 하게 된다. 바로 학교를 찾아가 면담을 요청하는데, 교장을 비롯해 책임있는 교사진의 반응은 납득할 수 없을 정도로 '비합리적'이다. 아이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정확히 알고자 하는 엄마에게, 교사들은 공허하고 기계적인 사죄의 말만 반복한다. "당신들 지금 인간의 언어로 이야기하고 있는 게 맞냐"고 사오리가 되물을 정도로 전혀 티카타카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 결국 또 다시 학교에 찾아왔을 때, 호리 선생은 아들 미나토가 괴롭힘을 당하는 입장이 아닌, 오히려 호시카와 요리라는 친구를 괴롭히고 있는 학폭 가해자라고 주장한다. 내가 아는 아들이 학폭 가해자라고? 그 뒤로 이해할 수 없는 불안한 날들이 반복되다가, 태풍이 불던 어느 날 미나토는 사라진다.
뒤이어 2부는 1부에서 (사오리의 시점으로 상황을 바라본 관객의 입장에서) 극도의 '악인'으로 의심할 수밖에 없었던 교사 호리의 시선에서 진행된다. 이 고요한 드라마 같은 영화가 여기서 처음 반전을 준다. 앞서 사오리의 시선으로 봤던 호리는 어딘가 사이코패스 같고 섬뜩한 사람이었다. 하지만 2부 속 펼쳐진 그의 일상과 동기는 더할 나위 없이 평범하고 책임감 있는 여타 교사의 그것이었다. 1부에 연출된 모든 상황들은 호리를 사이코로 믿게 만들었으나, 2부에선 확신범에 가깝던 믿음을 하나씩 깨버리는 반대 정황들이 나오며 경악을 금치 못하게 한다. 호리는 나름의 근거들을 갖고 오히려 미나토가 친구 요리를 괴롭히고 있다고 추측, 이를 막아보려 한 사람이었다(그것이 진실이라면). 그리고 그 과정에서 미나토 등 아이들이 씌운 누명으로 인해 폭력교사로 오인받고는 나락으로 떨어진다.
(3부만 스포 없음) 3부는 미나토의 시선이다. 앞서 1부에선 호리가 '괴롭힘 교사(괴물)'로 보였고, 2부에선 미나토가 '학폭 가해자이자 거짓말쟁이(괴물)'로 보였는데, 3부의 시선이 미나토의 눈에서 시작되는 것을 보자마자 또 한번 경악했다. 그렇다면 3번째 반전으로, 미나토마저 괴물이 아니라는 게 아닌가. 이쯤 되면 더는 참을 수 없는 궁금증을 안고 3부를 본다. 상당한 러닝타임이 흘렀을 게 분명한 데도 양파껍질 같은 플롯 덕분에 몰입도는 오히려 더 고조된다. 미나토의 시선에선 그동안 미나토가 왜 어딘가 모를 이상행동을 보였는지, 미나토와 친구 요리 둘 중 누가 누구를 괴롭힌 게 사실인 것이고 둘의 진짜 관계는 무엇인지 밝혀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왜 앞서 엄마 사오리와 교사 호리가 자신을 오해하게 만들 수밖에 없었는지, 어쩔 도리 없었던 이 아이의 사정을 보여준다.
그렇게 크게 세 파트로 이뤄진 영화를 다 보고 나면, 결국 어떤 한 파트만으로는 온전히 이해할 수 없는 진실의 실체가 나타난다. 그리고 진실이란 것이 아마 대체로 이렇듯 쉽사리 진흙 속에 묻혀있겠구나, 허망한 짐작에 가닿게 된다.
'영화 속 인물들 각각이 조금만 더 서로 소통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면..' 이라는 뻔한 문제의식에 아주 잠깐 닿았다가, 이내 돌아온다. 그렇게 답을 내리자면 아주 편리할 테지만, 바로 그런 무성의한 결론 짓기를 경계하는 것이 이 영화의 핵심이라고 보여져서다. 결론으로 걸어가는 모든 걸음걸음을 조심스럽게 다루는 영화다. 그 과정의 지난함과 고독함을 말하고자 하는 영화다. 이 영화를 보고 일차원적인 문제의식을 경유하는 건, 그 게으름이 미안하고 낯 뜨거워지는 일이다.
인간관계의 몰이해는 피할 수도 극복해낼 수도 없는, 역설적이게도 인간 존재의 근원 요소다. 따라서 우리는 어떻게든 계속 서로에게 무성의 할 것이다. 소통이 중요하다는 건 누구나 다 알지만, 우리는 공허한 격언을 이행하는 대신에 마치 오작동이 세팅된 로봇처럼 미성숙한 행태를 반복할 것이고 서로 상처를 입힐 것이다. 감독은 이 지점을 말하고자 영화를 만든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주장과 대안과 비판을 덜어낸 자리엔 한 겹으로 정의할 수 없는 나른한 패배감이 남는다. 그리고 이곳에 오직 영화만이 창조할 수 있는 감각이 있다. 나는 특히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가 자아내는 감각과 공간을 좋아한다. 게다가 그는 늘 겹겹의 렌즈로 세상을 관찰하는 듯한 감독이었는데 이번 영화엔 말 그대로 겹겹의 렌즈를 아예 영화적 장치로 들여왔으니, 이것은 좋아하는 감독의 시그니처 끝판왕 연출작 격이 아닌가. 영화를 본 후 아이스크림을 한 번에 3개 양껏 먹은 양 즐거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