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월광
피아노 소나타 14번(루트비히 판 베토벤)
주군, 퇴고된 내용을 아래에 반영하여 진행하였습니다.
05. 월광
피아노 소나타 14번 (루트비히 판 베토벤)
장마 비 속을 걷는 아이
월광 소나타, 이 곡은 슬프지 않나요?
옛날에 서쪽에 사는 음악 평론가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14번을 듣고 달빛이 비치는 잔잔한 호숫가를 상상했다고 한다. 하지만 나에겐 이 곡이 잔잔하게만 들리지는 않았다. 이 곡이 내 마음 속에 흐르던 그때, 나는 장맛비를 맞으며 걷고 있었다. 학교에서 하교하던 시간, 미리 우산을 챙긴 아이들은 집으로 서둘러 돌아갔다. 우산이 없는 나를 힐끔 쳐다보던 아이들 중 몇몇은 어머니들의 보호를 받으며 우산 속으로 사라졌다. 나는 홀로 그 자리에 남았다. '금방 그치겠지.' 비는 그칠 생각이 없었다. 점점 거세지는 빗줄기. 우산을 함께 쓰자고 말 한마디 건넬 용기도 없었던 나는 그저 기다렸다.
결국 집을 향해 빗속을 달리기 시작했다. 안경 위로 빗방울이 내리쳤고 앞이 보이지 않아 안경을 벗자마자, 빗줄기는 더욱 거세졌다. 어깨를 때리는 빗방울은 묵직했고, 안경 없이 걸음을 재촉하느라 길이 제대로 보이지 않았다. 내 속은 점점 더 무거워졌다. 그렇게 빗속을 걸으며 결국 집에 도착했을 때, 집 문은 굳게 잠겨 있었다. 하지만 나는 열쇠가 없었다.
욕먹는 거 하나는 잘해요.
간호학과에 진학한 후, 나는 간호사 태움 문화를 검색하며 내가 그 문화를 잘 견딜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을 했다. "어릴 때부터 욕을 먹으며 자라서 태움쯤은 문제 없을 거야"라고 생각했던 내가, 간호사로서의 생활에서 점점 더 많은 욕을 견디며 내가 처한 상황이 더욱 고통스러워졌다는 것을 깨달았다.
---
아버지가 떠난 가정엔 폭군만이 남았다.
엄마가 떠난 뒤, 나는 할머니와 함께 살기 시작했다. 할머니 집에는 언제나 폭군 같은 둘째고모가 있었다. 그녀는 매번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고 폭언과 폭력을 일삼았고, 그 대상은 나와 할머니였다.
---
할머니는 마약탐지 전문가였다.
할머니는 정말로 마약 탐지 전문가였다. 그녀는 둘째 고모에게서 마약 주사로 생긴 멍자국을 귀신같이 찾아냈고, 나의 친엄마와 새엄마에게서도 마찬가지로 멍자국을 찾아냈다. 할머니는 사람들의 허벅지에 생긴 멍자국만 봐도 마약 주사를 맞았다고 확신했고, 나는 그 말을 믿고 살았다. 둘째 고모가 마약에 손을 대고 징역살이를 했다는 것을 나중에야 알았다. 그 후, 할머니는 주변 사람들에게도 똑같이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며 마약 중독자를 찾아내려 했다. 당신의 딸이 마약 중독자였기에, 다른이들도 그래야만 했다. 그래야 할머니의 마음이 편했던건 아닐까.
---
결국 칼을 들었다.
고등학교 시절, 나는 할머니 집에서 자주 밥을 먹곤 했다. 어느 날, 고모는 평소보다 더 화가 나 있었다. 그녀는 부엌에서 식칼을 꺼내 휘두르려 했고, 그 순간 할머니는 나에게 말했다.
"열성아, 그냥 집에 가. 괜찮아."
나는 도망쳤다. 고모가 할머니를 다치게 할까봐 두려웠지만, 그 상황에서 할머니를 두고 떠나버린 죄책감이 나를 짓눌렀다. 다행히 할머니는 무사했지만, 나는 그 날의 기억이 아직도 떠오른다.
**
상담기록 05
"조열성씨와 같이 폭력적이거나 정신질환을 겪는 가족이 있는 경우, 그 가족 구성원도 정신과적 질환을 겪을 확률이 높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가족 중 한 명이 심각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그 자녀나 배우자가 정신질환을 겪을 확률이 2배에서 3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특히, 트라우마를 반복적으로 경험한 사람일수록 불안장애, 우울증, 그리고 PTSD 같은 정신질환을 겪을 확률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그러면 결국 저도 그 가족들처럼 정신질환을 겪을 가능성이 높은 건가요?"
"정확히 그렇지는 않아요. 다행히도, 이러한 상황에서 조기 치료와 개입이 이루어질 경우, 정신적 고통을 완화할 수 있는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조기 상담과 치료를 받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정신질환을 완치하거나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확률이 70% 이상 높은 것으로 나왔습니다. 이는 특히 정신병원 입원 치료가 적절히 이루어졌을 때 그 효과가 더욱 두드러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정신병원을 거부하거나, 가족들조차도 정신병원에 입원시키는 것을 꺼리는 이유가 있나요?"
"맞아요. 정신병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환경이 문제입니다. 입원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을 치료할 시설이 부족하거나, 치료 환경이 교도소와 다를 바 없다는 인식 때문에 많은 가족들이 입원을 꺼립니다. 하지만 만약 사회 인식이 바뀌어 이러한 환경을 개선한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고 건강을 회복할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