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라일락 Feb 17. 2022

엄마와 내가 함께 공유하던 옷들

옷들마다 시간이 묻어나 있다

  엄마의 유품들을 정리하며 피식 웃음이 나온 순간이 있었다. 언젠가부터 엄마는 출근할 때마다 내 원피스나 바지, 코트 등을 입었다. 그 시절, 엄마는 옷을 사기엔 아깝고 나와 체구가 비슷하단 이유로 내 옷을 함께 입었다. 형제자매가 없었던 나는 엄마와 항상 친구처럼 지냈다. 그리고 언젠가부터 내 옷을 엄마와 공유했다. 

  언론고시 준비를 한다는 이유로 오피스룩 스타일의 원피스를 꽤나 많이 샀었다. 엄마는 오피스룩 원피스를 60대에 입었다. 60대여도 50대로 보이는 동안 외모의 엄마는 옷을 잘 소화했다. 엄마가 입으면 옷들이 꼭 명품처럼 보이기도 했다. 그러다 보니 엄마의 유품을 정리할 때 정말 엄마의 물건은 많지 않았다. 

  오히려 정리한 옷들은 새 옷들이 더 많았다. 엄마가 사서 쟁여놓은 새 옷 말이다. 엄마는 항상 할인하는 상품들을 많이 사놓았다. 원피스 속에 받쳐 입는 나시, 스타킹, 기모 폴라티 등 계절마다 입을 수 있는 옷들이 한가득 남아 있었다. 나는 옷들을 뒤적거리며 무조건적으로 세일 기간에  많이 사두자는 엄마의 마음 한편을 들여다보았다. 


  옷이라고 해서 무조건 엄마와 공유를 했던 것은 아니다. 어느 날 새 옷을 산적이 있었는데 엄마는 내가 산 옷이 새 옷인지 몰랐나 보다. 밖에 걸려 있는 옷을 입고 무작정 출근한 적이 있었다. 그때 나는 화가 머리끝까지 나서 왜 그 옷을 입고 갔냐며 버럭버럭 화를 냈었다. 분이 안 풀려 카톡으로 씩씩대기도 했었다. 현실 자매가 아닌 이건 뭐 현실 모녀와 딸의 모습이기도 했다. 

  엄마가 입었던 원피스를 입지 않은지 오래됐다. 옷들을 보고 있자니 엄마가 입었던 모습이 오버랩돼 애써 모른 척하려고 한다. 그래도 그 옷들을 보고 있노라면 엄마의 실루엣이 눈앞에 아른거린다. 그래서 엄마가 보고 싶은 날이면 가끔 그 옷을 꺼내본다. 그리고 가끔 그때 그 옷들을 엄마와 공유할 수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훗날 딸을 낳는다면 저 옷을 물려주고 싶다.  할머니 엄마 그리고 딸까지 내려가는 옷이라고. 

역사가 있는 옷이라고 말해주고 싶다.

저 옷들은 기억하겠지. 엄마가 지나온 시간과 모습, 체취들을 품고, 지금은 긴 여행을 갔으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의 오래된 필름을 인화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