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피해의식은 사회적 문제다

부정적 감정은 언제 자기 파괴적이 되는가?

   

 피해의식은 개인적인 문제인 동시에 사회적인 문제다. 피해의식은 개인적이다. 그것은 분명 한 사람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일이니까. 하지만 동시에 피해의식은 사회적이다. 피해의식은 특정한 사회 권력이 기쁨을 독점할 때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자본이라는 거대한 권력이 온갖 기쁨을 독점하지 않았다면, 가난이라는 피해의식은 애초에 없거나 매우 미미하지 않았겠는가.     


 우리의 피해의식에는 이미 사회적 문제가 깊이 개입되어 있다. 이 사실을 분명하게 하는 것은 중요하다. 거기에 우리의 피해의식을 옅어지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 안에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감정(분노‧짜증‧불안‧우울…)들이 있다. 그 감정들은 언제 우리의 영혼을 파괴하는가? 부정적인 감정들 자체가 우리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다. 그 부정적인 감정들이 모두 자신으로부터 기인했다고 믿을 때다.  

    

 직장을 생각해보라. 직장이 언제 우리의 영혼을 파괴하는가? 직장을 다니다 보면 여러 가지 일들 때문에 화가 나고 짜증나고 불안하고 우울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분노‧짜증‧불안‧우울 자체가 우리의 영혼을 파괴하는 것은 아니다. 부정적인 감정(분노‧짜증‧우울)들이 모두 자신의 문제(무능력‧게으름)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믿을 때 자신이 싫어진다. 바로 그 자기부정이 우리의 영혼을 파괴한다. 자신에게 닥친 모든 불행이 모두 자기 탓이라고 믿을 때, 영혼은 파괴될 수밖에 없다.


     

피해의식은 사회적 문제다


 피해의식 역시 그렇다. 피해의식은 분명 삶에 이러저런 문제들을 야기한다. 피해의식은 결코 건강하지 않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 피해의식 자체가 우리의 영혼을 파괴할 만큼 유해한 것은 아니다. 피해의식이 심각하게 유해해질 때는 그 피해의식을 모두 자기 탓이라고 여기게 될 때다. “내 피해의식은 내가 모자라서 생긴 거지.” 이런 마음은 피해의식을 더욱 증폭하고, 그렇게 증폭된 피해의식은 어느 순간 우리의 영혼을 파괴할 지경에 이른다.    


 직장에서 겪을 수밖에 없는 부정적인 감정(분노‧짜증‧우울)을 잘 다루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 부정적인 감정이 ‘나’(개인)의 문제와 ‘직장’(사회)의 문제 모두에서 기인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더 정확히 말해,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 중 어느 부분의 얼마만큼이 ‘나’의 문제 때문에 발생했고, 또 어느 부분의 얼마만큼이 ‘직장’의 문제 때문에 발생했는지를 명료하게 구분해내는 것이다. 그것을 구분할 수 있다면, 직장에서 겪는 많은 부정적인 감정들을 잘 다룰 수 있다.  


 이는 자명하다.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 중 자기 잘못으로 인해 발생한 부분이 어디인지 알 수 있다면, 그 부분은 스스로 성찰해서 스스로를 바꾸어 갈 수 있다. 반대로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 중 직장의 잘못으로 인해 발생한 부분이 어디인지 알 수 있다면, 구조적인 문제를 바꾸거나(이직‧창업…) 그것이 여의치 않다면 정당하게 그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할 수 있다. 그렇게 한다면, 영혼을 파괴하는 자기부정에 이르는 불행은 충분히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피해의식을 잘 다루는 방법 역시 마찬가지다. 자신의 피해의식을 전적으로 ‘나’의 문제라고 여겨서는 안 된다. 우리에게 피해의식이 있다면, 그것은 개인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문제 모두에서 기인한 것이다. 어떤 피해의식이든, 그것에는 개인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문제가 뒤엉켜 있다. 이 사실을 분명히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더 나아가 우리의 피해의식 중 어느 부분의 얼마만큼이 개인적인 문제 때문이고, 어느 부분의 얼마만큼이 사회적인 문제 때문인지를 구분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것을 구분할 수 있다면, 피해의식 때문에 겪게 되는 많은 부정적인 감정들을 잘 다룰 수 있게 된다. 피해의식 중 ‘나’의 문제에 기인한 부분은 스스로 성찰해보면 되고, ‘사회’의 문제에 기인한 부분은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거나 그것이 여의치 않을 때는 부당하게 자신을 탓하지 말고 정당하게 감정을 표출하면 되니까 말이다. 피해의식에 휩싸여 있다면, 모든 문제를 자신의 탓으로 돌려서는 안 된다. ‘나’의 문제와 ‘사회’의 문제 사이에 절묘한 균형 감각을 찾을 수 있을 때, 우리는 피해의식을 훨씬 지혜롭게 다룰 수 있다. 

이전 01화 피해의식의 근본 원인, 기쁨의 독점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