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환희 Nov 21. 2022

⟪유령신부⟫ 저본 미스터리

팀 버튼의 ⟪유령신부⟫(The Corpse Bride, 2005년)는 옛이야기에서 소재를 끌어온 애니메이션이다. 내가 ⟪유령신부⟫를 DVD로 처음 보았던 때는 십여 년 전이었다. 이 영화는 현실과 환상, 골계미와 비장미가 절묘하게 어우러진 좋은 작품이었다. 무엇보다도 ⟪유령신부⟫를 보면서, 팀 버튼이 옛이야기를 무척이나 사랑하고 잘 이해하는 감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령신부⟫에 관해 알고 싶어서 ⟪씨네 21⟫을 뒤적여 보다가, ⟨살아있는 시체와의 결혼, ⟪유령신부⟫⟩ (2005년 8월 18일)라는 김혜리 평론가의 흥미로운 영화평을 읽게 되었다. 


<유령신부>의 원형은 실수로(!) 시체를 신부로 맞게 된 유대인 사나이에 관한 19세기 러시아 민담이다. 민담에 나오는 남자는 신랑을 기다리고 있는 새색시를 두고 별 뜻 없이 땅속에서 튀어나온 손가락뼈에 반지를 끼워주는 바람에, 신성한 언약을 지키라고 다그치는 시체 신부에게 발목을 잡힌다. 이미 죽은 신부라니 “이 결혼 무효야!”라고 외치기에 이보다 버젓한 이유가 없을 것 같지만, 청년은 랍비들의 판단에 운명을 맡긴다. 언뜻 단순한 괴담 같은 이 옛날이야기 뒤에는 끔찍한 역사의 흔적이 스며 있다. 반유대주의가 유럽에 팽배했던 19세기에 무모한 인종주의자들은 유대인의 결혼 행렬을 습격해, 다음 세대의 아이를 잉태할 신부를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의복을 입은 채 매장하는 전통에 따라 신부는 웨딩드레스 차림으로 지하에 묻혔고, 이 민담은 그녀들에 대한 위령의 노래가 아니었을까 짐작된다.


 이 영화평에서 언급한 러시아 민담의 전문이 읽고 싶어서 관련 논문들도 읽어보고 인터넷 서핑도 해보았다.1 ⟨팀 버튼 컬렉티브⟩, 영문판 위키백과 인터넷 사이트에서 네티즌들이 저본(底本) 또는 원전이라고 주장하는 러시아 민담을 읽을 수는 있었다. 하지만 출처가 적혀 있지 않아서 진위를 가늠할 수 없었다. 애니메이션을 전공한 여러 학자의 논문을 읽어보아도, “스토리의 원전은 시체를 신부로 맞는 유대인 남자에 대한 러시아 민담,” 19세기 “반유대주의자들에게 살해당한 유대계 신부들의 위령곡” 따위의 정보만 간단하게 적혀 있을 뿐이었다.2  이러한 학자들은 인터넷에 올려진 출처가 밝혀지지 않은 러시아 민담을 저본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2011년에 워너 브라더스 영화사가 ⟪유령신부⟫ 소개글에서 저본으로 소개한 유일한 민담은 러시아가 아니라 팔레스타인에서 전승된 ⟨손가락⟩이라는 유대 설화뿐이었다.3 ⟨손가락⟩은 하워드 슈워츠라는 유대 설화학자가 ⟪릴리트의 동굴⟫(Lilith's Cave: Jewish Tales of the Supernatural, 1988)이라는 옛이야기 선집에 수록한 이야기이다. 얼마 전 영화사 사이트에 다시 들어가보았더니, ⟪유령신부⟫ 소개글에서 저본을 ‘19세기 러시아 민담’이라고만 간략하게 언급해 놓고, 저본의 출처를 밝히지 않았다.4 영화사도 ⟪유령신부⟫의 저본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 같지 않다. 


 팀 버튼은 ⟪유령신부⟫의 저본 설화를 직접 읽은 것이 아니라 스토리 구루로 불리는 조 랜프트(Joe Ranft)로부터 줄거리만 간단하게 전해 들었다고 한다. 팀 버튼이 ⟪유령신부⟫를 헌정한 조 랜프트가 2005년에 교통사고로 사망해서 저본 설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오리무중이다. 하지만, 팀 버튼이 인터뷰에서 언급한 내용을 통해 저본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는 있다. 


팀 버튼은 ⟪크리스마스 악몽⟫ (The Nightmare Before Christmas 1993)을 끝마쳤을 무렵, 또 다른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 그런 그에게 조 랜프트가 유럽 민담 한 편을 들려주었다. 팀 버튼이 들었던 유럽 민담은 몇 줄로 요약할 수 있는 짧은 이야기였다.


“조(Joe)가 옛 우화에서 발췌한, 한 문단 정도나 될까 싶은, 짧은 이야기를 들었어요. 저는 그 이야기가 어떠한 나라에서 온 것인지 조차도 모릅니다. 내 기억으로는 어떤 특정한 나라에서 전승된 이야기는 아니었던 것 같아요.”5


“내 기억으로는 그 이야기 속에는 시체신부를 제외한다면 캐릭터들이 없었어요. 짧은 단편소설 같았어요. 두 세 문단 정도의 짧은 이야기였지만 내 마음을 사로잡았지요. 그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에는 딱 맞는 이야기였어요”6


 팀 버튼은 자신이 전해들은 옛이야기가 유럽민담이라는 사실만 막연하게 기억할 뿐, 어느 나라의 이야기인지 자세히 알지 못했다. 그가 기억하는 줄거리는 몇 줄로 요약할 수 있다. 청년이 약혼녀와 결혼식을 하기 위해서 고향으로 가는 길에 어쩌다 결혼반지를 살해당한 여자 시체의 썩은 손가락에 끼우게 되었다. 그러자, 시체가 무덤에서 살아나서 자신이 합법적으로 결혼한 아내라고 주장하였다. 젊은이는 사태를 바로잡기 위해서 지하세계로 내려갔고, 그의 약혼자는 미래의 남편이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면서 산자의 세계에 머물렀다.


팀 버튼이 들었다는 유럽 민담은 유대 설화 ⟨손가락⟩이나 출처 불명의 19세기 러시아 민담 ⟨시체신부⟩와는 전승 지역과 후반부의 서사가 다르다. ⟨손가락⟩은 유럽이 아니라 팔레스타인에서 전승된 유대 전설이고, ⟨시체신부⟩는 러시아에서 전승된 유대 민담이다. 팀 버튼이 전해 들은 유럽 민담에는 주인공이 지하세계로 내려가고 인간신부는 지상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팔레스타인 민담이나 러시아 민담에서 주인공들은 모두 지하세계로 내려가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점은 여러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랜프트가 버튼에게 들려준 민담 속의 ‘지하 세계 여행’ 모티프는 도대체 어디에서 온 것일까?  랜프트가 전통 설화를 개인적인 상상력을 동원해 고쳐쓴 것일까?  아니면 진짜 저본은 유럽 민담인 데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일까? 


⟪유령신부⟫의 저본을 밝히고 싶어서 많은 유대 설화를 읽어보았지만, 유사한 모티프들을 지닌 설화들은 찾을 수 있었을 뿐이다. 딱히 저본이라고 꼽을 수 있는 특정 설화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내가 특정한 저본을 찾지 못한 것은, 조 랜프트가 다양한 유럽민담을 재편집해서 팀 버튼에게 들려주었거나 자신이 개작한 유대 민담을 들여주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특정한 저본 설화를 찾는 데는 실패했지만, 시도 자체가 무의미했던 것은 아니다. 나는 팀 버튼의 ⟪유령신부⟫를 통해, 유럽과 팔레스타인에서 전승된 여자 악령 설화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었으며, 대담하고 지혜로운 옛 여성들도 많이 만날 수 있었다. 또한, ⟪유령신부⟫의 전반부에 펼쳐지는 흥미로운 사건—초자연적인 존재의 손가락에 반지를 끼우고 결혼 서약을 했다가 곤경에 처하는 사건—을 다룬 유사 설화가 유럽 문화권에서 오래 전부터 폭넓게 전승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브런치에 쓸 글은 팀 버튼의 ⟪유령신부⟫의 저본을 찾다가 만난 여러 설화들을 소개하고, 그 설화들이 전승 문화권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살펴볼 생각이다. 또한 그러한 설화들과 비교해서, 팀 버튼의 ⟪유령신부⟫가 지닌 특징과 서사적인 가치는 무엇인지 짚어보려고 한다. 



✽✽ ⟪유령신부⟫라는 제목은 사실 원제와는 아주 다르다. 원제 'Tim Burton's Corpse Bride'는 ⟪팀 버튼의 시체 신부⟫로 번역되어야 그 의미가 제대로 전달이 된다. '유령'이란 단어의 사전적 정의는 '죽은 사람의 넋' 또는 '이름만 있고 실제로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 ⟪유령신부⟫에서 에밀리는 넋으로만 존재하지 않고 실제로 시체라는 몸을 지니고 있다. 에밀리의 부패하여 가는 몸은 구더기가 서식하고 있어서 영화 속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팀 버튼의 시체 신부⟫가 ⟪유령신부⟫로 번역되어 통용되고 있어서, 어쩔 수 없이 그 제목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1] 이 브런치에 연재할 글은 2011년에 내가 쓴 논문을 재편집하고 증보한 것이다. 김환희, ⟨팀 버튼의 ‘유령신부’와 그 근원설화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동화번역⟫ 22집, 2011, 106-132면.

[2] 서수정. ⟨팀 버튼' 작품에 나타난 통과제의성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애니메이션 이론 전공. 석사학위논문. 2007.; 김효일. 「장편 애니메이션 '유령신부'에서 나타난 신화적 수사법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2집, 2006, 183-195.

[3] <http://corpsebridemovie.warnerbros.com/dvd.html> 2011년 10월 20일에 검색.

[4] <https://www.warnerbros.com/movies/tim-burtons-corpse-bride#about> 2022년 9월 20일 검색.

[5] Salisbury(2006), Mark, ed.. Burton on Burton. London: Faber and Faber, 2006, 247~248면.

[6] Salisbury(2005), Mark. Tim Burton's Corpse Bride: An Invitation to the Wedding. New York: New Market Press, 2005. 18면

[7] Salisbury(2006), 247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