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예 Aug 04. 2021

반성문

  초등학생 때 반성문을 쓴 적이 있다. 정확히 왜 썼는지는 기억이 안 나지만, 같은 반 말썽꾸러기 남자애랑 나란히 앉아서 썼던 장면만은 떠오른다. 아마 그 친구랑 싸웠던 모양이지? 나는 나름 범생이(?)라 반성문을 써 본 일이 없었는데 반해 그 아이는 베테랑이었다. 대체 무슨 말을 써야 할지 모르겠어 연필만 굴리고 있는데, 친구는 옆에서 일필휘지로 백지를 빼곡히 채워나가기 시작했다.


“너 뭐라고 쓰고 있는 거야?”


  친구는 가소롭다는 듯이 피식거리더니 ‘한 수 가르쳐주지’하는 표정을 지어 보이며 입을 열었다. 생각해보면 서로가 원인이 되어 반성문을 쓰는 지경이거늘, 그 와중에도 내게 뭘 알려주려 했던 그 친구야말로 대인배가 아니었나 싶다. 좌우간 친구는 이미 시커멓게 물든 반성문의 한 문장 한 문장을 가리키며 말했다.


“양을 늘리는 게 핵심이야.”


  가만 보니 친구의 반성문은 캐면 줄줄이 엮여 나오는 감자 같았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잘못했습니다…’ 하는 식이라 안 읽어도 다음 문장이 대강 보이는. 초등학생의 지식 선에서 알고 있는 긴 문장이란 문장은 죄다 동원해 놓은 모양이었다. 어이가 없어 너털웃음이 나왔는데 친구는 발끈하며 덧붙였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일단 수십 줄씩 되면 선생님도 좀 봐준단 말이야.”


  나는 연필만 굴리다가 일단 내가 뭐를 잘못했나를 곰곰이 떠올리고 친구의 충고를 적당히 섞어서 양도 맞춘 반성문을 써서 제출했다. (어쩌면 당연한 일이겠지만) 걔는 반성문을 다시 써야 했고, 나는 1회의 반성으로 마칠 수 있었다. 투닥거린 친구와는 묘하게 반성문을 쓰는 과정에서 엉겁결에 자연스럽게 화해도 했으니 나로서는 어느 면으로 보나 잘 된 일이었다.


  커서는 반성문을 쓸 필요가 없었다. 어느 선생님도 나타나서 내게 반성문을 쓰라고 종이를 나누어주지 않았으니까. 백지를 눈앞에 놓고서 나 스스로를 반추하고 돌아보며 무엇을 잘못했을까, 무엇을 더 잘할 수 있었을까를 끄적여볼 일이 생기지 않았다. 만일 그랬다면 정말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잘못했네, 하는 깨달음에 이르렀을 수도 있었을까? 성인이 된 후로는 하지 않을 자유가 부여됐고, 자연히 반성문을 쓰라고 종용하는 이도 없었다. 더욱이 반성문을 쓴다한들 누구에게 제출하며, 누가 ‘너의 죄를 사하노라’며 용서를 해 줄 것인가!


  나는 요령껏 미루고 외면하고 있었다, 초등학생 때의 그 베테랑 친구가 그랬듯이. 그래서일까, 뒤늦게 나는 반성문을 새로이 쓴다. 제출할 대상도 없고, 용서해주는 이도 없을지언정 쓴다. 이는 유년의 단순 명료함과는 꽤나 거리가 먼 심오한 과업이다. 오늘날 나의 반성은 오로지 스스로에 대한 반성이며, 나 스스로가 자신을 따끔하게 질책해야 하는 일이므로. 허투루가 아닌, 진정한 의미의 반성과 반성문 작성이 필요한 시점이 도래한 것일 테다.


  하루키는 에세이집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에서 나이 드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나에게 있어 — 혹은 다른 누구에게 있어서도 아마 그렇겠지만— 나이를 먹어간다는 것은 태어나서 처음으로 체험하는 것이고, 거기에서 느끼는 감정 역시 처음으로 맛보는 감정인 것이다. 그 이전에 단 한 번이라도 경험해본 일이라면, 좀 더 분명하게 여러 가지 일을 따져볼 수 있을 테지만, 아무래도 처음 겪는 일이기 때문에 그렇게 간단히 치부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지금 나로서는 자질구레한 판단 같은 것은 뒤로 미루고, 거기에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것과 함께 우선 살아갈 수밖에 없다. 마치 하늘이나 구름이나 강을 대하는 것처럼.”


  하루키의 말마따나 나 역시 아무리 나이가 들어도 자연스럽게 새로 경험하는 좌충우돌이 자꾸만 생긴다. 가끔은 어린 시절처럼 누군가가 어디로 가면 된다고, 어디에 정답이 있다고 말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오늘은 그저 미지의 순간을 따라 살게 될 뿐이다. 다만 정말 중요한 건 아마 그 선택 이후겠지. 돌이켜 보고 반성할 일은 없는지, 있다면 무엇을 반성해야 하는지, 그 반성이 제대로 된 반성인지 아닌지를 면밀히 따질 수 있어야 하므로….


  여전히 이따금은 이 반성까지도 누군가 판가름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야 만다. 잘했는지, 못했는지. 그렇게 주체성의 결여를 희망하는 나약함은 안개처럼 스멀스멀 피어오른다. 허나 누구에게도 그런 타인이 존재할리 만무하며, 존재해서도 안 된다는 것을 안다. 그저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자신이다. 오직 나만이 끊임없이 나를 반추하고, 반성하고, 질책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다. 부끄러움을 외면하지 않을 용기가 필요하다. 이런 태도가 건강하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내게 주어진 인생의 정도를 걸을 수가 있겠구나— 하고 절감하고야 만다. 부단히 노력하자. 오늘도.


매거진의 이전글 오히려 좋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