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불안 - 밑천이 드러나기 시작한 몸 I
여자나 남자나 마흔쯤 되면 정말로 몸이 예전 같지 않다는 것을 절실히 느낀다. 그래서 ‘몸이 예전 같지 않다’는 말이 자연스럽게 입에 밴다. 이 말에는 약간의 논리적 허점이 있긴 하다.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노화는 20대 중반부터 시작해서 30대 후반까지 빠르게 진행되다가 40대에 들어서 오히려 완만해진다고 한다. 30대 시절을 더듬어 기억해 보면 맞는 얘기인 듯하다. 그때도 몸이 20대 때와는 정말 다르다고 생각했고, 20대의 젊은(40대 입장에서는 30대도 한없이 젊은 나이지만) 친구들을 보면서 “나는 네 나이 때 날아다녔어.”라며 시샘 어린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연구 결과가 옳다면 노화가 완만해지는 40대에는 노화에 무뎌져도 될 법한데, 유독 마흔 줄에 접어들면 몸이 예전 같지 않음을 절실히 느낀다. 그것은 노화(老化), 다시 말해 늙어감의 표시가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하는 때가 40대이기 때문이다.
과학적으로는 30대에 노화가 급속히 진행될지 모르지만, 30대는 아직 ‘노화’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은 ‘젊은 시절’이 분명하다. 20대 시절과 비교해서 좀 덜 ‘쌩쌩’ 한 것일 뿐, 30대의 몸은 여전히 활력이 가득하다고 여긴다. 적어도 30대까지는 ‘늙음’을 생각할 정도의 나이는 아닌 것이다. 하지만 40대에 들어서면 ‘늙음’, 또는 ‘늙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기 시작한다. 늙어감의 표시들이 몸의 곳곳에서 기다렸다는 듯이 쏟아져 나온다. 기본적인 체력이나 스태미나의 저하는 말할 것도 없다. 머리카락은 수를 줄이며 두피를 휑하니 드러내고, 칠흑 같던 머리카락들이 드문드문 잿빛을 띠기 시작한다. 젖가슴과 옆구리의 살은 탄력을 잃어 힘 없이 처지고, 잔글씨를 보려면 목을 뒤로 빼서 피사체와 동공과의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사람 이름이나 단어가 생각이 잘 나지 않을 때가 잦아지고, 눈가에는 잔주름이 자글자글 해진다. 30대에 급속하게 진행되었던 노화가 40대에 이르러 그 결과물을 쏟아내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쯤 되면 그저 몸이 예전 같지 않다 정도가 아니라 늙어감이 내 몸에 각인되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몸으로 직접 체험을 하는 수준이다. 그러니 체력이나 스태미나 정도가 비교 대상이던 30대, 20대 시절보다 ‘몸이 예전 같지 않음’이 절실하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왜 하필이면 40대에 들어서면 그러냐고 항변해봤자 몸이 그런 넋두리를 들어줄 리도 없다. 그저 늙어감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조금 어른스럽게 생각하면 나이가 들고 늙어간다는 것은 자연의 이치이고 섭리이니 그렇게 민감하게 받아들일 것까지 없다. 하지만 늙어감을 무덤덤하게 받아들이긴 쉽지 않다. 몸의 변화는 생활의 변화, 또는 그런 변화의 가능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노안, 주름, 흰머리 같은 것들은 분명 질병은 아니다. 신진대사에 큰 영향을 주는 것도 아니고 아픈 것은 더더욱 아니다. 하지만 그런 늙어감의 표시들은 전보다 신체적으로 강건하지 못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 쉽게 말해 아플 확률도 전보다 높고, 회복력도 전과 같지 않다는 뜻이다. 그렇다 보니 건강검진이라도 받으려고 하면 괜히 긴장이 되기도 한다.
40대는 한창 일할 나이다. 아침 일찍 나가서 저녁 늦게나 집으로 돌아오는 일이 일상이다. 그러다 보니 몸 관리를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몸 관리라고 해 봤자 영양제를 챙겨 먹거나 주말에 몸을 좀 움직이는 정도가 고작이다. 그러니 건강검진이라도 받으러 갈라치면 괜스레 긴장하게 된다. 실제로 건강검진을 하고 나서 의사들에게 좋은 얘기를 듣는 경우도 드물다. 사회초년생 시절부터 건강검진 때마다 들었던 술, 담배 줄이고 운동하라는 말을 또다시 들어야 한다. 그나마 젊었을 때는 그 정도 말을 듣는 것으로 충분했겠지만, 40대에 들어서면 진짜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건강검진을 해보니 간 수치가 나쁘다거나, 위나 식도에 염증이 있다거나, 대장에 용종이 발견되었다 하는 정도는 40대 남자들 사이에서는 흔히 있는 일이다. 다시 말해 남자에게 40대는 의사로부터 좋지 않은 얘기를 들을만한 나이인 것이다.
그나마 40대 초반은 덜 아픈 편이다. 마음도 30대에 머물러 있고 몸도 30대 후반과 비교해 그렇게 많은 차이가 나지도 않는다. 그러다가 40대 중후반이 되면서부터 슬슬 아프기 시작한다. 40대 후반쯤 되면 비슷한 나이의 지인이나 친구들 중에 병원 신세를 진 사람을 찾기는 어렵지 않다. 당장 내 주변만 보아도 그렇다. 위암 판정을 받아 위를 절반이나 잘라낸 친구, 신장이 좋지 않아 투석 치료를 하고 있는 지인, 혈관에 문제가 생겨 수술을 받은 대학 동기, 허리 디스크로 수술을 받은 직장 선배 등 아픈 사람은 의외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렇게 얘기하는 나 역시 몇 해 전 대장에 용종이 발견되어서 제거한 적이 있다.
본격적으로 아파지는 때가 40대 중반을 이후라는 사실은 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7년 연령별 진료실적 자료를 보면 40~44세 남성의 진료비 총액은 1조 5천7백억 원이다. 진료비 총액이 1조 3천억 원인 35~39세 남성의 진료비 총액보다 2천7백억 원 정도 많다. 이 차이는 45~49세 남성의 진료비가 2조 1천억 원으로 뛰면서 약 5천3백억 원 정도가 된다. 30대 중후반과 40대 초중반의 차이 보다 거의 두 배에 가깝다. 이 차이만 봐도 40대 중반을 넘어서면 전보다 더 많이 아파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할 수 있는 한 오래, 건강하게 살고 싶은 것이 인간의 바람이다. 늙고 쇠약해지는 것은 그런 바람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불안의 원인이 된다. 반드시 40대가 되어야 그런 불안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 다만 노화가 본격적으로 드러나는 40대가 되면 그 불안이 더 크게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나마 젊고 몸이 건강할 때는 “나는 괜찮을 거야. 이 나이에 무슨 큰 병이 들겠어?”라고 생각하는 ‘낙관주의적 편향’으로 어느 정도 불안을 잠재울 수 있다. 하지만 40대에 들면 늙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된다. 여전히 나는 괜찮을 거라고 생각은 하지만 그 생각은 젊고 건강할 때 가졌던 오만한 낙관주의적 편향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나는 건강하다”가 아니라 “건강해야 한다”, “건강하고 싶다”는 염원에 더 가까워진다. 사망 원인에 관한 통계를 보면 건강에 대한 40대 남자들의 불안한 마음은 철저히 현실을 반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10대, 20대, 30대의 사망원인 1위는 자살이다. 아직은 신체적 노화나 질병에 대한 낮은 저항성 따위로 죽는 일은 드물다는 얘기다. 그런데 40대부터 사망원인 1위 자리는 암이 차지한다. 40대가 되면 몸의 강건함과 저항력이 예전과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