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미희건이나비 May 18. 2024

 텃밭 안에 숲이 생기고

채소반 잡초 반인 텃밭

  작년 여름 2023년엔 비가 정말 많이 왔다. 텃밭은 약간 진땅이라 특별히 물을 안 주어도 작물들이 잘 자랐다. 처음 모종을 옮겨 심을 때도 걱정이 안 된다. 특히 비가 온 뒤 비닐을 덮고 모종을 심으면 축축한 기운이 오래간다. 그래서 대구는 늘 강수량이 부족하다 해도 그럭저럭 견디어 온 것이다. 그런데 작년 봄부터 비가 자주 내렸다. 그러면 땅이 질어서 밭에 못 가는 날도 많았다. 급기야 지난해 여름이 되자 장마며 태풍이며 비가 너무 많이 내렸다.


  일단 비가 오면 밭에 못 가는 것이 젤로 단점이다. 왜냐하면 진땅을 밟으면 울퉁 불퉁한 채로 땅이 굳어지기 때문에 비가 오면 밭에 안 들어가는 것이 좋다. 그리고 풀이 무성히 자란다. 농작물이 자라는 속도보다 비 온 뒤의 풀은 정말 우후죽순처럼 잘 자란다. 비 오기 전에 어느 정도 정리 한 것 같은데 비 온 뒤에 가면 내가 다녀간 흔적을 완전히 지워 놓는다. 풀들이 얘기한단다. “모자 쓴 멍청이는 이제 갔는가?”  하면서 다시 살아난단다. 

 그리고 습해져서 모기랑 벌레가 많다. 특히나 나는 약을 안 치기 때문에 세상의 모기들이 다 달려드는 것 같다. 사람 잘 오지 않는 밭에 가면 그들은 얼마나 반갑겠는가? 몸엔 옷을 길게 입어서 들어올 틈이 없지만 실수로 짧은 양말을 신은 날은 귀신처럼 발목을 물어놓는다. 또한 바지가 얇으면 엉덩이 또한 남아나지 않는다. 그러나 얼굴은 어쩔 수 없이 내어 놓아야 하니 어찌 벌집에 쏘인 듯하지 않겠나. 엥엥소리가 귓전을 계속 울린다. 벌레 퇴치제를 만들어 가서 뿌리면 잠시 조용하다가 어느 사이 달려들곤 한다.


  하지만 속상한 건 그게 아니다. 얼굴이야 버물리를 바르면 집에 가는 동안 가려움도 삭고 부기도 빠진다. 잠시 물릴 때의 가려움만 견딜 수 있으면 참을 만하다. 누가 독하다고 하더구먼.. 정말 속상한 것은  염치없는 풀들이 많다는 것. 나무든 새순이든 무엇이든 가리지 않고 다 덮어버리는 거다. 키우는 채소 옆에 올라오지 않으면 그냥 두는 편인데-풀도 생명이라.. 어쩌지 못한다. 하지만 그냥 쭉 자라는 것은 덜한데 가시까지 달고 덩굴로 올라오는 풀은 정말 밉다. 같은 식물인데 어찌 저렇게 사람들에게 또는 다른 식물들에게 저렇게 해를 끼치는지 …그런 거 보면 우리 삶이랑 같다. 남에게 피해를 주는 사람 따로 있고 도움 주는 사람 따로 있는 것처럼 말이다.


  어제도 기어이  낫을 들고 잘라냈다. 그땐 낫 질 하면서 스스로 모질게도 자른다는 생각이 든다. 미움의 감정이 내 손에서 묻어난다. 그때  살생하지 말라는 부처님 말씀이 생각난다. 순간이지만 이렇게 내 손에 살기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함이겠지. 집에서 어쩌다 바퀴벌레가 보이면, 그때도 잡으면서  살기를 느낀다. 그래서 부처님께선 아예 죽일 생각을 하지 말라는 말씀 아닌가. 여하튼 모질게 그 풀들을 베어낸다. 그러면 숨어있던 작물들이 나타나고 햇볕이 들어가고 바람이 통해서 흔들거리는 것을 보면 그리 반가울 수가 없다. 그리고 미안 한 생각이 많이 든다. 말 못 하고 있었겠지만 얼마나 답답했을꼬. 다들 어울려 잘 살아야 하는데 말이다.


  텃밭을 가꾸는 사람이라면 모두 잡초와의 전쟁을 치른다. 가족 건강을 위해 텃밭을 가꾸는 것이 대부분이라 제초제를 쓰지 않고 비닐로 덮거나, 식초를 대신해 뿌리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그저 땅속에 무슨 씨앗이든 넣는 일이다. 무슨 채소나 꽃이 올라오면 잡초도 덜 나오기 마련이니 뭐라도 심어주는 것이 전쟁을 덜 치르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꽃을 피우는 잡초를 보면 쉬 뽑아버리지 못한다. 그러다 보니 채소반 잡초 반이되어 숲이 된다. 하지만 그것도 어쩌랴. 꼭 뽑아내야 하는 아이들만 제거하면서 함께 지낸다.


  이렇게 여러 일들을 겪으면서 늘 내 삶을 돌아보게 된다.  루틴대로 하고 미루지 않으면 괜찮을 텐데.. 어김없이 자연은 시련을 주고 우리는 또 헤쳐나가면서 얻을 것을 얻고 배울 것을 배운다. 농사짓는 일은 그래서 좋은 거 같다. 몸을 쓰면서 건강도 찾고 힐링도 되지만 늘 상황에 직면하면서 배우는 것이 많다. 내가 게을러서 미룬 일들을 결국은 내가 또 마무리를 해야 한다. 올핸 숲이 되지 않도록 부지런을 떨어보자.

이전 11화 지렁이가 무서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